바이브코더를 위한 터미널 명령어

25.09.14 / JUN

터미널은 소트프웨어 개발의 조종석 같은 도구예요.
소프트웨어 개발을 처음 접하는 바이브코더에게 터미널은 낯선 환경이지만 꾸준히 활용하며 적응만 되면 생산성을 크게 높여줄 수 있어요.

  • P1. 바이브코더에게 터미널이란?
  • P2. 터미널을 활용한 React/Vite 프로젝트 관리
  • P3. 바이브코더의 깃허브 활용을 위한 터미널 명령어 TOP15
  • P4. 다른 개발자가 공개한 우수한 소스코드 활용하기

P1. 바이브코더에게 터미널이란?

1. 터미널 개요

  • 터미널(Terminal)은 컴퓨터와 대화하는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예요.
  • 마우스로 클릭하는 대신, 명령어(Command)를 입력해서 폴더 이동, 파일 생성, 프로그램 실행 등을 합니다.
  • Mac → 기본 앱이 “터미널(Terminal)”
  • Windows → “명령 프롬프트(CMD)” 또는 “PowerShell”, 최근엔 Windows Terminal 많이 사용
  • 개발자용 IDE (예: Cursor, VS Code)에도 터미널이 내장돼 있어 바로 명령어 실행 가능

👉 바이브코딩에서는 터미널을 주로

  • 프로젝트 생성
  • 서버 실행
  • 패키지 설치

같은 작업에 사용합니다.

2. 터미널 입문자를 위한 핵심 명령어 TOP10

(폴더 이동 → 내용 확인 → 프로젝트 생성 → 실행 흐름에 맞춰 정리)

명령어설명예시
pwd현재 내가 있는 폴더 경로를 보여줌/Users/jun/projects
ls현재 폴더 안의 파일/폴더 목록 보기lssrc App.jsx index.html
cd <폴더명>해당 폴더로 이동cd my-app
cd ..한 단계 위 폴더로 이동cd ..
mkdir <폴더명>새 폴더 만들기mkdir test-project
rm -rf <폴더명>폴더/파일 삭제 (⚠️ 조심)rm -rf dist
npm create vite@latest <이름>새 React/Vite 프로젝트 생성npm create vite@latest my-app
npm install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npm install
npm run dev개발 서버 실행http://localhost:5173 접속
Ctrl + C실행 중인 서버 종료dev 서버 끌 때 사용

3. 입문자 포인트

  • 터미널은 폴더와 파일을 다루는 곳 → 기본 흐름은 “어디에 있는지(pwd/ls) → 이동(cd) → 작업 실행(npm run dev)
  • 잘못 입력해도 걱정할 필요 없음 → Ctrl + C로 중단 가능
  • 프로젝트 작업할 때는 보통 순서가
    1. 폴더 만들기/이동
    2. 프로젝트 생성(npm create)
    3. 의존성 설치(npm install)
    4. 개발 서버 실행(npm run dev)

👉 요약

바이브코딩 입문자는 pwd, ls, cd, npm run dev 네 가지부터 익히면 충분합니다. 🚀

지금 바로 터미널을 켜고 pwd, ls, cd, npm run dev 명령을 실행해 보세요.


P2. 터미널을 활용한 React/Vite 작업 흐름 요약표

단계명령어 / 키설명
1. 실행npm run devVite 개발 서버를 켬 →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5173 접속
2. 종료Ctrl + C실행 중인 개발 서버를 멈추고 터미널 제어권 회수
3. 재실행npm run dev서버를 다시 시작 → 코드 변경 사항 반영된 상태로 실행
4. 브라우저 새로고침Cmd + R (Mac)
Ctrl + R (Win)
서버는 켜져 있는데 화면만 갱신하고 싶을 때
5. 코드 저장 후 자동 반영⌘ + S (Mac)
Ctrl + S (Win)
파일 저장 시 Vite가 자동으로 브라우저 갱신(Hot Reload)

핵심 기억법

  • 실행npm run dev
  • 종료Ctrl + C
  • 재실행 → 다시 npm run dev

즉, “dev → Ctrl+C → dev” 사이클만 기억하면 됩니다 🚀


P3. 바이브코더의 깃허브 활용을 위한 터미널 명령어 TOP15

깃허브 입문자가 꼭 알아야 할 필수 + 유용한 터미널 명령어
(깃허브 = Git 원격 저장소를 이용하는 서비스 → 터미널에서는 Git 명령어 중심으로 사용)

명령어설명예시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깃허브 계정 정보 설정 (최초 1회)git config --global user.name "jun"
git init현재 폴더를 Git 저장소로 초기화git init
git clone <URL>깃허브에 있는 원격 저장소 복제(다운로드)git clone https://github.com/user/repo.git
git status변경된 파일 상태 확인git status
git add <파일>특정 파일 스테이징git add index.html
git add .모든 변경 파일 스테이징git add .
git commit -m "메시지"변경 내용을 로컬 저장소에 커밋git commit -m "add: 로그인 페이지 구현"
git push origin main로컬 변경사항을 깃허브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git push origin main
git pull origin main원격 저장소의 최신 코드 가져오기git pull origin main
git log --oneline커밋 내역 간단히 확인git log --oneline
git branch -M main브랜치 이름 변경(master → main)git branch -M main
git checkout -b <브랜치명>새 브랜치 생성 및 이동git checkout -b feature-ui
git merge <브랜치명>다른 브랜치의 내용을 현재 브랜치로 합치기git merge feature-ui

✅ 입문자 핵심 워크플로우

  1. 프로젝트 시작 git init git branch -M main 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URL>
  2. 변경 → 업로드 루틴 git status git add . git commit -m "메시지" git push origin main
  3. 팀 협업 시 최신 코드 가져오기 git pull origin main

👉 요약:

  • 로컬에 저장: git add → git commit
  • 깃허브로 업로드: git push origin main
  • 깃허브에서 가져오기: git pull origin main

P4. 다른 개발자가 공개한 우수한 소스코드 활용하기

다른 개발자가 만든 우수한 (깃허브 리포지토리로 공개된) 프로젝트 소스코드를 나의 Cursor 프로젝트로 가져와서 실행하고, 기능을 추가한 뒤 푸시/PR까지 이어가는 핸드북용 절차 + 터미널 명령어에 대해 알아볼까요?

0) 준비물

  • GitHub 계정, Git 설치
  • Node.js LTS(≥18) & npm
  • Cursor 에디터

1) 리포지토리 가져오기(권장: Fork → Clone)

(A) 내 계정으로 포크

  1. 깃허브 리포 열기 → Fork 클릭
  2. 내 계정에 vibe-0912-stock-tree-map-viewer가 생김

(B) 로컬로 복제(Clone) + 원격 연결

# 1) 원하는 작업 폴더로 이동
cd ~/projects

# 2) 내 계정의 fork 리포를 클론
git clone https://github.com/<내-아이디>/vibe-0912-stock-tree-map-viewer.git
cd vibe-0912-stock-tree-map-viewer

# 3) 원본(upstream)도 연결해 최신 업데이트를 받을 준비
git remote add upstream https://github.com/junsang-dong/vibe-0912-stock-tree-map-viewer.git
git remote -v

2) Cursor에서 열기 & 실행

# Cursor 열기
cursor .

# 의존성 설치
npm install

# 개발 서버 실행
npm run dev
# → http://localhost:5173 접속

문제 해결

  • 포트 충돌 시: npm run dev -- --port 5174
  • 패키지 오류 시: rm -rf node_modules && npm install

3) 주 데이터 소스 연결(선택지)

  • 정적 JSON(기본) : public/data/stocks.json(티커, 섹터, 시가총액/등락률) 두고 로드
  • 간단 API 프록시 : CORS 회피 위해 /api/prices(Vercel Serverless) 구성
  • 실사용 API : Finnhub/Alpha Vantage 등(무료 키) → 요청은 서버 라우트에서 수행 권장

4) 기능 추가 아이디어(입문자 우선)

  1. 섹터별 필터: 체크박스/멀티셀렉트로 섹터 on/off
  2. 컬러 스케일 옵션: 등락률 기준 빨강↔초록/단색 그라데이션 토글
  3. 기간 스위치: 1D / 1W / 1M 버튼 → 데이터셋 교체
  4. 검색: 티커/종목명 입력 시 하이라이트
  5. 툴팁 강화: 시가총액, 거래대금, 등락률(%) 표시
  6. 반응형 레이아웃: 모바일/데스크톱 자동 리사이즈
  7. 새로고침: “Refresh” 버튼으로 최신 데이터 재요청

시각화 라이브러리 예시: ECharts, Nivo, D3 treemap(리포에 이미 포함된 게 있다면 그걸 사용)

5) 브랜치 전략(기능별 작업)

# main 최신화
git checkout main
git pull origin main
git pull upstream main    # 원본에 업데이트가 있으면 당겨오기

# 기능 브랜치 생성
git checkout -b feature/sector-filter

작업 후 커밋/푸시:

git status
git add .
git commit -m "feat: sector filter & color scale toggle"
git push -u origin feature/sector-filter

6) 깃허브에서 PR 열기

  • 깃허브 리포에서 Compare & pull request → 설명/스크린샷 첨부
  • 코드리뷰 받기 → 머지

7) 배포(Vercel)

  1. 리포지토리 Import
  2. Framework: Vite 자동 인식
  3. Build: npm run build / Output: dist
  4. (API 키가 있다면) Environment Variables 설정
  5. Deploy → URL 공유

8) 자주 쓰는 깃 명령 모음

git clone <url>                      # 리포 복제
git remote add upstream <url>        # 원본 연결
git pull origin main                 # 내 리모트에서 최신 가져오기
git pull upstream main               # 원본에서 최신 가져오기
git checkout -b feature/<name>       # 새 브랜치
git add . && git commit -m "msg"     # 변경 저장
git push -u origin feature/<name>    # 원격 푸시
git merge feature/<name>             # 브랜치 병합(로컬)
git log --oneline --graph            # 커밋 히스토리 요약

9) 체크리스트

  • 로컬 실행(npm run dev) & 주요 페이지 정상 노출
  • 최소 2개 기능 추가(예: 섹터 필터 + 툴팁 강화)
  • README에 실행 방법/스크린샷/데모 GIF 추가
  • 브랜치 전략 사용(PR 1회 이상)
  • Vercel 배포 링크 제출

첫 포스팅: 25.09.14 / 포스트 문의: JUN (naebon@naver.com)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