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8.19 / JUN
한국의 주요 SI 기업인 삼성SDS, LG CNS, 현대오토에버, SK AX의 AI 산업전환 및 최근 비즈니스 동향을 정리합니다.
목차
- P3. 삼성SDS, LG CNS, 현대오토에버, SK AX의 R&D 투자동향
- P2. 2025 2/4분기 삼성SDS, LG CNS, SK AX 사업동향 비교
- P1. 2025 1/4분기 삼성SDS, LG CNS, SK AI 전환전략 비교
P3. 삼성SDS, LG CNS, 현대오토에버, SK AX의 R&D 투자동향
2025 상반기 주요 SI 4사 실적·R&D 투자 전략 비교
구분 | 현대오토에버 | 삼성SDS | LG CNS | SK AX (舊 SK C&C) |
---|---|---|---|---|
매출 규모 | 약 1조 8천억 원 수준 (상반기, 추정치) | 3조 5,120억 원 (2Q) | 2조 6,715억 원 (상반기) | 1조 2,335억 원 (상반기) |
영업이익 | 약 1,300억 원대 (상반기, 추정치) | 2,302억 원 (2Q, +4.2%) | 2,197억 원 (+29.2%) | 790억 원 (+32.1%) |
R&D 비용 | 380억 원 (+49%) | 1,080억 원 (–0.6%) | 238억 원 (–5.9%) | 공개치 미비 (AI/디지털 전환 중심 투자 확대 발표) |
매출 대비 R&D 비중 | 2.03% (작년 1.55%) → 상대적 집중도 가장 높음 | 1.54% (작년 1.64%) | 0.9% (작년 1.0%) | 상대적으로 낮음, 구체 수치 공개 안 됨 |
개발비 자산화 | 229억 원 (+169%) | 145억 원 (+47%) | 13억 원 (작년 0원 → 신규 반영) | AI·DX 플랫폼 중심 자산화 추진 |
전략 방향 | 차량 SW·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집중, R&D 공격 투자로 점유율 확대 | 클라우드·생성형 AI·HPC·공공 클라우드, 안정 성장 | AI·클라우드 중심, 공공·금융 대형 프로젝트 확대, 하반기 CBDC·스테이블코인 진출 | 사명 변경 통한 ‘AI 전환(AX)’ 강조, 스마트팩토리·디지털 제조 DX 집중 |
특징 요약 | 🔼 공격적 R&D 투자로 SW 주도권 확보 | 🔼 안정적 매출 성장, 클라우드 강화 | 🔼 실적 고성장, 공공/금융 AI 확대 | 🔼 구조적 전환기, 수익성 개선에 초점 |

JUN AX | 한국 SI 4대기업 경쟁력 시각화 (2025 상반기).ipynb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eLGRVKFPsFFZUoMlF84LBe1P1F5_6mZA?usp=sharing
✅ 인사이트
- 현대오토에버: 매출 대비 R&D 투자 집중도가 압도적, 미래 모빌리티 및 차량 SW에 선제적 투자.
- 삼성SDS: R&D 비용은 줄였으나 클라우드와 AI 중심의 안정적 성장을 지속.
- LG CNS: 실적 호조 속에 R&D 축소 대신 CBDC·스테이블코인 등 신사업 준비에 집중.
- SK AX: 사명 변경을 통해 AI 전환 강조, 스마트팩토리·제조 DX 솔루션에 집중하며 수익성 개선.
P2. 2025 2/4분기 삼성SDS, LG CNS, SK AX 사업동향 비교
SI 3사 전략 방향 비교
항목 | 삼성SDS | LG CNS | SK(AX) |
---|---|---|---|
전략 키워드 | 멀티 LLM 기반 엔터프라이즈 플랫폼, 하이퍼오토메이션 | GenAI 솔루션 라인업, 클라우드+ERP 지능화 | AI 인프라 풀스택(AIDC~에이전트), 그룹사 통합 |
시장 타깃 | 공공·금융 | 금융·제조·공공 | 통신·B2C+B2B·제조 |
핵심 차별점 | FabriX + Brity 연계 | EXAONE + CloudXper + PerfecTwin | AIX + AI Pyramid + Aster |
SI 3사 2025년 상반기 실적 비교
기업 | 매출 (2025 상반기/2분기) | 영업이익 (증감) | AI·클라우드 비중 및 전략 핵심 포인트 |
---|---|---|---|
LG CNS | 상반기 2조 6,715억 원 (+6.0%) | 2,197억 원 (+29.2%) | AI·클라우드 60% 비중, 공공·금융 프로젝트 주력, 하반기는 CBDC·스테이블코인 확대 ↴ |
삼성SDS | 2분기 매출 3조 5,120억 원 (+4.2%) | 2,302억 원 (+4.2%) | 클라우드 매출 약 6,652억 원 (+20%), 생성형 AI, 공공 클라우드 확대 ↴ |
SK AX | 상반기 매출 1조 2,335억 원 (+0.4%) | 790억 원 (+32.1%) | 사명 변경 통한 AI 전환 전략 강조, 디지털 제조·AI 융합 사업 확대 ↴ |
3사 포지셔닝 맵

- X축: 제품 적용 범위(내부 프로세스 중심 ↔ 외부 서비스 중심)
- Y축: AI 통합 수준(단일 LLM ↔ 멀티LLM·플랫폼화)
- 배치
- 삼성SDS: 상단 좌측(내부 프로세스 하이퍼오토메이션 중심 + 멀티LLM)
- LG CNS: 중앙 상단(내외부 ERP/운영/플랫폼 균형 + 멀티LLM)
- SK(AX): 상단 우측(외부 서비스·AI 인프라 중심 + 풀스택 생태계)
삼성SDS 아키텍처 & 제품군
- FabriX 아키텍처
- 오케스트레이션 계층: 멀티 LLM, 사내 데이터·API 연계
- 거버넌스·보안 계층: 접근제어, 로깅, 컨텐츠 필터링
- 서비스 계층: 업무 코파일럿, 문서 분석, 챗봇
- Brity Automation 연계
- GenAI → RPA 트리거 → 승인·처리 자동화
- 적용 범위: 7대 메가프로세스·4,000+ 서브프로세스
LG CNS 아키텍처 & 제품군
- GenAI Platform 구조
- 멀티클라우드 지원(AWS·MS·GCP)
- LLM·sLLM 연계(자체 EXAONE 포함)
- 데이터 레이크 + 보안·컴플라이언스 모듈
- 제품군
- EXAONE / ChatEXAONE (검색·문서 QA)
- PerfecTwin ERP Edition (테스트 자동화)
- CloudXper ProOps (운영 자동화)
- 강점: ERP·운영 업무 지능화에 특화
SK(AX) 아키텍처 & 제품군
- AIX 비전 구조
- AI Data Center (GPUaaS) → AIX 플랫폼 → B2B/B2C 에이전트(Aster)
- sLLM·LLMOps 기반 맞춤형 엔터프라이즈 AI
- 제품군
- AI Pyramid 2.0 (모델·데이터·서비스 통합)
- AIDC (대규모 AI 인프라)
- Aster (CES 2025 공개 에이전트)
- 강점: 인프라-에이전트-서비스 풀스택
레퍼런스 유즈케이스 비교
회사 | 유즈케이스 | 효과 |
---|---|---|
삼성SDS | 금융사 서류심사 GenAI+RPA | 처리시간 70% 단축 |
LG CNS | 제조 ERP 테스트 자동화 | 테스트 인력 50% 절감 |
SK(AX) | 통신사 고객센터 AI 에이전트 | 상담처리 속도 2배↑, 고객만족도 개선 |
SI 3사에 대한 주요 수치 정보
LG CNS
- 2025년 상반기 매출 2조 6,715억 원, 영업이익 2,197억 원 (+29.2%)
- AI·클라우드 매출 1조 5,897억 원으로 전체의 약 60% 차지
- 주요 수주: 금융권 AX 프로젝트, 공공 AI 플랫폼, 인도네시아 AI 데이터센터 설계, 스마트팩토리 수주 7배 증가 등
- 재무 상태: 부채비율 67%, AA등급 유지, 현금성 자산 1.5조 원 이상
- 하반기 목표: CBDC 및 스테이블코인 사업 진출 Stock Market+15Daum+15조선일보+15비즈워치+4ZDNet Korea+4samsungsds.com+4samsungsds.com
삼성SDS
- 2025년 2분기 매출 3조 5,120억 원, 영업이익 2,302억 원 (+4.2%) samsungsds.com+2ZDNet Korea+2
- 클라우드 매출은 약 6,652억 원, 전년 대비 약 20% 성장! IT서비스 매출 내 클라우드 비중 약 40%
- 생성형 AI, 공공 클라우드, 고성능 컴퓨팅(HPC), SI 사업 등 중심으로 성장 중 Daum+3ZDNet Korea+3samsungsds.com+3
- 무차입 경영 유지, 현금성 자산 수조 원 확보 ZDNet Korea+2투데이신문+2
SK AX (구 SK C&C)
- 상반기 매출 1조 2,335억 원, 영업이익 790억 원 (+32.1%) 비즈워치+3Daum+3files-scs.pstatic.net+3
- 2분기만 놓고 보면 매출 6,505억 원, 영업이익 511억 원 (+58.5%) 조선일보
- 사명 변경(‘SK AX’)은 AI 전환의 의지 표시, 디지털 제조·금융 DX 등 중심으로 사업 확대
- AI 반송 물류 시스템 등 스마트팩토리 중심 솔루션 도입, 효율성 향상 기대
- 수익성 강화와 AI 네이티브 혁신 선언 비즈워치+3CEO Score Daily+3Daum+3yesexpo.co.kr비즈워치
인사이트 요약
- 매출 규모: 삼성SDS가 압도적으로 앞서며, 다음이 LG CNS, 그 뒤를 SK AX가 따름.
- 수익성 측면: SK AX가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고, LG CNS도 영업이익 증가폭이 컸음. 삼성SDS는 안정적 성장세 유지.
- 주요 전략:
- LG CNS: AI·클라우드 중심, 공공·금융 중심 수주 확대, 하반기엔 CBDC 및 스테이블코인 진출
- 삼성SDS: 클라우드 및 생성형 AI 강화, 고성능 컴퓨팅, 글로벌 SI 확대
- SK AX: 사명 변경과 함께 AI 중심 구조 전환, 스마트 팩토리·디지털 제조 솔루션에 집중
종합 비교 & 시사점
- 공통점
- 멀티LLM + 클라우드 네이티브 + 보안/거버넌스 강조
- 차이점
- 삼성SDS: 내부 프로세스 자동화 특화
- LG CNS: ERP·운영 최적화에 강점
- SK(AX): 인프라+서비스 풀스택, 통신·B2C 특화
- 시사점
- 산업별·조직규모별로 플랫폼-자동화-인프라 조합 선택 필요
- GenAI 성공 도입을 위해 도메인 데이터+거버넌스+적용 시나리오 필수
결론 및 제안
- 결론
- 3사 모두 AX 전략을 고도화 중이며, 고객사 상황에 맞춘 선택이 중요
- 제안
- PoC 단계에서 도메인 데이터 수집·정제 및 보안체계 선행 구축
- 각사 플랫폼의 장점을 벤치마킹한 하이브리드 전략 설계 권장
P1. 2025 1/4분기 삼성SDS, LG CNS, SK AI 전환전략 비교
SI 기업으로서 비즈니스 특성
- 삼성SDS
- 클라우드(AI 기반 SCP 플랫폼), 공공 및 금융 IT 수주 중심.
- 생성형 AI·브리티 코파일럿·패브릭스 플랫폼 보유
- https://www.samsungsds.com/kr/index.html

- LG CNS
- DX(디지털전환) 전문 기업, 스마트팩토리·AI·클라우드 중심.
- IPO로 조달한 자금 AI·클라우드 R&D, 데이터센터, M&A 등 투자
- https://www.lgcns.com/
- https://www.lgresearch.ai/ourwork/research?tab=PF

- SK AX (구 SK C&C)
- 사명 변경으로 AI 전환에 집중.
- 금융/제조 대상 AI 기반 ITS, 스마트팩토리, 산업별 AI 에이전트, 투자전략 ‘마켓캐스터’ 등 추진
- https://www.skax.co.kr/

삼성SDS, LG CNS, SK AX 재무 지표 (2023~2025 기준)
기업 | 매출액 | 영업이익률 | 성장/실적 |
---|---|---|---|
삼성SDS | 1분기 2025: 3.49조 원 (전년比 +7.5%) | 7.7% (+0.7%p) | 클라우드 매출 6,529억 (+23%), AI 전환·공공 수주 |
LG CNS | 2023: 5.6조 원 (2019比 +70.7%) | – | IPO 통해 6천억 조달, AI·클라우드 매출 비중 51.6% |
SK AX | 2023: 2.61조 원 (+8%), 영업이익 1,514억 (+24.3%) | – | 제조·금융 DX 중심 성장, AI ITS 사업 견인 |
- 시가총액:
- LG CNS: 약 6조 원 (IPO 기준)
- 삼성SDS: 13만3천 원 주가 → 시총 대략 10조 원대 (공시 필요)
- SK AX: 시가총액 정보 별도 공개 없음


삼성SDS, LG CNS, SK AX의 AI 비즈니스 전략
- 삼성SDS: AI 전환사업 확대, 자체 및 외부 LLM 활용한 생성형 AI, 공공 클라우드 수주 증가
- LG CNS: AX 전략 (Application with AI), AI센터 신설, AI 센터·에이전트 및 데이터센터 구축 투자, 글로벌 M&A·R&D 집중
- SK AX: AI 중심으로 사명 전환, 산업맞춤 AI 에이전트, ITS 강화, 금융 투자 플랫폼 ‘마켓캐스터 AIST’ 운영
삼성SDS, LG CNS, SK AX 비교 요약
- 사업규모: 삼성SDS > LG CNS > SK AX
- AI·클라우드 전략:
- 삼성SDS: 공공·금융 IT → 생성형 AI+클라우드로 확장
- LG CNS: DX 선도+AI 전환 집중, 데이터센터·R&D 투자
- SK AX: 산업별 AI솔루션, 제조·금융 특화 집중
- 재무 성장성:
- 삼성SDS: 견조한 수익성 기반 성장
- LG CNS: IPO 후 고속 성장·AI 비중 50% 이상
- SK AX: DX 및 AI ITS로 성장세 뚜렷
- AI 도입 속도:
- 삼성SDS: 공공 수주 통한 인프라 확대
- LG CNS: AX 중심 R&D+M&A+센터 신설
- SK AX: 사명 바꾸며 AI 집중, 산업 특화 가속
정리
- 삼성SDS: 안정적인 재무 아래 생성형 AI·클라우드 사업 확대
- LG CNS: IPO 자금 기반 AI·클라우드·데이터센터 투자로 DX 선두 노림
- SK AX: 사명 변경 후 AI 전환(AI eXcellence) 사업에 올인, 특화 분야 집중
세 기업 모두 AI·클라우드 중심으로 전략 방향은 유사하나, 규모·집중 방식·산업 특화 방식에서 차별화
2025′ 삼성SDS, LG CNS, SK AX 동향
현신균 리더십의 LG CNS, AI·클라우드 앞세워 상반기 실적 ‘껑충’
(ZDNet, 2025.08)
- LG CNS는 2025년 상반기 매출 2조6,715억 원(전년比 +6%), 영업이익 2,197억 원(+29.2%)을 기록하며 호실적을 달성.
- AI·클라우드 사업 매출이 1조5,897억 원으로 전체의 60%를 차지, 금융·공공 대형 프로젝트가 실적 성장의 핵심 동력.
- 인도네시아 AI 데이터센터 설계·컨설팅, 네이버클라우드 코로케이션 계약, 스마트팩토리·물류·도시 프로젝트 성과 확대(스마트팩토리 수주 7배 증가).
- 부채비율 67%로 안정세, 현금성 자산 1.5조 원 및 순현금 1.14조 원 확보, 신용등급 ‘AA 안정적’ 유지.
- 하반기에는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및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정조준.
LG CNS, ‘엑사원’ 앞세우고 AI 공공사업 잇단 수주 (25.06)
- LG CNS 컨소시엄이 380억 원 규모의 ‘경기도교육청 AI-데이터 중심 디지털 플랫폼’ 구축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됨
- 올해 공공부문 최대 AI 사업으로, NHN 인제INC, 소프트아이텍, SGA와 협력
- 외교부 AI 플랫폼 수주에 이어 공공 AI 시장에서 연속 성과
-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 ‘엑사원(EXAONE)’과 협업 통해 기술력 입증
- 생성형 AI 기반 플랫폼으로 학생·학부모·교직원 대상 통합 지원 예정
- AI 행정비서, AI 소통 도우미, AI 코파일럿 등 다양한 응용 서비스 제공 계획
LG CNS의 죽전 퍼시픽써니 데이터센터에 네이버클라우드 유치 (25.06)
- 코로케이션 서비스 계약 체결, 서버·네트워크 장비 설치 공간 임대 및 운영
- 퍼시픽자산운용·CPPIB가 8280억 투자한 하이퍼스케일 센터, A동 준공·B동 9월 완료 예정
- 계약 금액은 수천억 원 규모로, 올해 상반기 업계 최대 수주 사례
- 계약 기간은 2025년 6월~2033년 5월까지 약 8년간 진행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포스트입니다. / 첫 포스팅: 250624 >> 업데이트: 250624 / 이 포스트에 대한 문의: naebo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