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테일산업의 AX 전략: GS리테일 & RaaS

2025.07.01 / 넥스트플랫폼 동준상 프로

이번 포스트는 리테일 산업의 인공지능 전환 전략과 시장 및 경쟁 구조 변화, 고객 인구통계 속성 변화 등을 반영한 분산화, 온디맨드 속성의 RaaS 모델에 대해 다룹니다.

목차

  • 3부. RaaS: 분산화 온디맨드 리테일 환경 구현 방법
  • 2부. GenAI와 리테일 조직 그리고 개인
  • 1부. GenAI와 리테일 산업 트랜드 분석

3부. RaaS: 분산화 온디맨드 리테일 환경 구현 전략

RaaS(Retail as a Service)는 한마디로 리테일 인프라와 축적된 지식과 경험(POS, 물류, 매장, MD 인사이트, 바잉 파워 등)을 SaaS로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1) 리테일 선도 기업이 RaaS 모델을 구현하는 경우, 기존 성과 지표와는 다른, 온디맨드 플랫폼 (Netflix, AWS, Shopify 등) 속성의 성과를 얻게 되며, 이는 전통적인 수익 모델이 약화되는 가운데 새롭게 주목받는 GenAI 시대에 적합한 사업 구조 혁신 전략안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2) 리테일 스타트업이 RaaS 모델을 활용하는 경우,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목표로 하는 유통 채널에 배포하고 최종소비자의 피드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초기 투자를 최소화한 채 리테일 산업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 P1. RaaS의 개념, 특징, 장단점, 비즈니스 모델 유형, 수익화 전략
  • P2. RaaS 도입 및 확산시 고려해야 할 비용, 보안, 거버넌스 요인
  • 참고자료1. AWS EC2, SageMaker, Bedrock 예상 비용
  • 참고자료3. AWS EC2, SageMaker, Bedrock 연간 TCO 비교
  • 참고자료3. RaaS 배경지식: 클라우드 IaaS, PaaS, SaaS 모델

P1. RaaS의 개념, 특징, 장단점, 비즈니스 모델 유형, 수익화 전략

RaaS(Retail as a Service) 모델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SaaS 관점을 리테일 산업에 접목한 개념으로 출발했으며, 최근 편의점, 슈퍼체인, 무인매장 등 오프라인 유통 산업의 디지털 전환에서 주목받는 중. RaaS의 개념, 특징, 장단점, 비즈니스 모델 유형, 수익화 전략 등에 대해 알아볼까요?

1. RaaS(Retail as a Service)란?

  • 정의: 오프라인 리테일 인프라(매장, 물류, POS, 고객 데이터, MD 역량 등)를 SaaS처럼 서비스화하여, 브랜드/벤더/스타트업 등이 유통 인프라를 구독하거나 API처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모델
  • 기원: B2B SaaS의 확산 + 클라우드 플랫폼화 트렌드 + 유통채널 다변화 수요

2. RaaS의 핵심 기술적/비즈니스 특징

구분내용
서비스 주체GS리테일, 쿠팡, 아마존, 7-Eleven 등 유통 플랫폼 보유 기업
고객 대상브랜드, D2C기업, 온라인 전용 브랜드, 지역 소상공인
서비스 범위매장공간, 재고관리, POS, 물류/배송, 고객분석, 마케팅 자동화
기술 기반클라우드, API, IoT, 디지털트윈, AI 분석, SaaS형 플랫폼
형태오프라인 공간 + 디지털 솔루션 + 데이터 분석툴의 패키징

3. RaaS의 장점과 단점

구분장점단점
기술적 측면– 매장/데이터/물류를 API처럼 사용 가능
– IT 인프라 부담 없음
– 고객 여정 데이터 확보 용이
– 타사 인프라에 종속 위험
– 시스템 통합 어려움 가능
– 브랜드 독립성 감소
비즈니스 측면– 초기 투자 없이 오프라인 진입 가능
– 매출/데이터 기반 성과 측정
– 스케일업 유리 (프랜차이즈화 대체)
– 수익 배분 구조 불리할 수 있음
– 오프라인 경험 차별화 어려움

4. 가능한 RaaS 기반 비즈니스 모델

모델명설명예시
매장 공유형 RaaS유통사가 보유한 오프라인 공간을 브랜드에게 공유GS25 입점형 팝업 브랜드, 7-Eleven Lab
데이터 기반 마케팅 RaaS고객 POS/멤버십/구매 데이터 분석 제공CU, 세븐일레븐 – 고객 세분화 리포트 판매
풀필먼트 RaaS재고관리/배송 등 로지스틱스 기능을 API로 제공쿠팡, 아마존 FBA, GS리테일 물류 API
광고/노출 RaaS디지털 사이니지, 상품 진열, 앱 푸시 등 노출 공간 판매배달의민족 광고, 이마트 앱 푸시 서비스
구독형 RaaS 플랫폼리테일 기능 전체를 SaaS처럼 구독 판매Shopify Retail Kit, 스몰마트 무인편의점 키트

5. 수익화 전략

전략설명
입점 수수료브랜드가 매장을 사용할 때 지불하는 공간 사용료/수수료
데이터 리포트 판매고객 구매/동선/상품반응 등 데이터 분석 서비스화
광고/노출 과금오프라인 매장이나 앱에 노출되는 광고 슬롯 유료화
SaaS형 요금제상품 진열, 재고관리, 정산, 마케팅 등 통합 기능 구독 판매
로열티 기반 수익입점 브랜드의 매출 일정 비율을 수익으로 확보

6. RaaS의 주요 도입 사례

  • GS리테일: 1.8만개 지점의 디지털트윈 구축 → 공간/데이터/물류를 플랫폼화
  • 7-Eleven Lab (미국): AI POS, 무인매장 솔루션 제공
  • Amazon Just Walk Out: 무인 리테일 솔루션을 타 매장에 판매
  • Farfetch: 럭셔리 브랜드에 고객 데이터 기반 콘텐츠 리테일 제공
  • 쿠팡/배달의민족: 중소상점에 광고/마케팅/로지스틱스 RaaS 제공

7. P1 마무리: 요약 정리

항목내용
정의유통 인프라를 서비스처럼 제공하는 SaaS 기반 리테일 플랫폼
기술 기반클라우드, API, IoT, AI, 데이터분석
혜택초기비용 없이 빠른 유통 진출, 데이터 기반 마케팅, 수익 다변화
위험 요소플랫폼 종속성, 브랜딩 한계, 데이터 주권 문제
성공요소리테일 운영노하우 + 기술 플랫폼화 + 수익공유 모델 설계

P2. RaaS 도입 및 확산시 고려해야 할 비용, 보안, 거버넌스 요인

Retail as a Service (RaaS) 서비스를 도입 및 확산할 경우, 클라우드 SaaS 아키텍처 특성과 리테일 고유의 민감한 데이터 및 운영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비용, 보안, 거버넌스 측면에서 아래와 같은 주의사항을 반드시 고려해야 해요.

1. 비용(Cost) 관리 관점 주요 고려사항

항목설명주의 포인트
멀티테넌시(Multi-tenancy)하나의 SaaS 앱에 다수의 리테일 파트너 입점 → 각 고객 별 사용량 분리 과금테넌트별 비용 추적 체계 필요 (e.g. cost allocation tags)
스케일 아웃 아키텍처사용량이 시간대/매장 수에 따라 급변 → EC2, RDS, Lambda 등 자동 확장 필요오토스케일링 정책 세팅 안하면 비용 폭증 가능
데이터 저장 및 분석매장 로그, POS, 구매 트랜잭션 → 데이터 레이크로 저장, 분석 비용 ↑Amazon S3 + Athena/Redshift 시 과금 단위 명확히 이해 필요
API 사용량 기반 과금매장당 API 트래픽, 이미지 요청, 고객 분석 요청이 늘면 비용 증가API Gateway, CloudFront, Lambda 호출량 주기적 점검 필요
비용 최적화 도구 활용AWS Cost Explorer, Trusted Advisor, Compute Optimizer매월 KPI 기반으로 비용 예측 및 테넌트별 보고 필요

2. 보안(Security) 관점 주요 고려사항

항목설명주의 포인트
고객 개인정보 보호매장 고객의 구매내역, 위치정보, 카드정보 등PII/PCI-DSS 기준에 따라 암호화(SSE, KMS) 및 분리저장 필요
테넌트간 데이터 격리여러 브랜드가 하나의 플랫폼에 입점 → 데이터 혼용 위험IAM + 테넌트별 데이터 파티셔닝 구조 설계 필요
API 인증/인가외부 브랜드나 POS에서 API 요청 많음OAuth2, JWT 기반 인증 + Fine-grained IAM 정책 적용
암호화 전제조건전송 중/저장 중 데이터 암호화는 필수S3, RDS, Redshift 모두 KMS 기반 암호화 활성화 필요
리테일 현장과의 연계IoT 센서, 무인POS 등에서 AWS 접속 시 보안 위험↑AWS IoT Core → 인증서 기반 인증 설정 필요

3. 거버넌스(Governance) 관점 주요 고려사항

항목설명주의 포인트
계정/테넌트 관리 정책수십~수백 개 매장/브랜드가 입점 → 리소스 할당/제한 필요AWS Organizations + SCP(Service Control Policy) 설계
리소스 태깅 정책비용·보안·감사 추적을 위해 모든 리소스에 태그 필수Environment, TenantID, CostCenter, ComplianceTag 등 표준화 필요
규정준수 & 감사리테일은 지역 규제(GDPR, KISA, 소비자보호법)와 연계AWS Artifact 통한 컴플라이언스 자료 확보 + CloudTrail 로깅 필수
SLA 및 모니터링서비스 중단 시 입점 브랜드 피해 크므로 고가용성 요구Amazon CloudWatch + Service Quotas + AWS Health Dashboard
변경 관리 프로세스테넌트별 기능요청 대응 시 예기치 않은 장애 발생 위험CI/CD 파이프라인 + 블루그린 배포 정책 설계 권장

4. 사례 기반 추가 팁

상황AWS 서비스이유/주의사항
매장별 사진/리뷰/고객 피드 저장Amazon S3 + CloudFront이미지 캐싱 필수, 퍼블릭 접근 제어 필요
입점 브랜드에게 대시보드 제공Amazon QuickSight (SaaS BI)테넌트별 데이터 제한 기능 주의
매장 이벤트 감지Amazon EventBridge + Lambda지점별 이벤트 필터 조건 명확히 관리
결제/주문 처리AWS Step Functions + SNS/SQS비동기 처리 시 장애 내구성 확보 필요

5. P2 마무리: 요약 정리

관점주의사항 요약
비용테넌트별 분리 과금, Auto Scaling, API 호출 과금 주의
보안개인정보 암호화, 테넌트 데이터 격리, 인증·인가 정책 강화
거버넌스리소스 태깅 정책, 감사 로그, SLA 대응, CI/CD 정책 필요

참고자료1. AWS EC2, SageMaker, Bedrock 예상 비용

AWS EC2, SageMaker, Bedrock의 **하루 4시간씩 20일 사용 기준 (월 80시간)**의 월간 / 연간 예상 비용 비교 표 (중간 성능 사양 기준)

1. AWS EC2, SageMaker, Bedrock 비교

항목EC2SageMakerBedrock
주요 용도범용 컴퓨팅 인스턴스 (자유도 높음)머신러닝 모델 학습·추론 전용 플랫폼API 기반의 생성형 AI 모델 사용
특징VM 수준의 제어권 (OS, 패키지 직접 구성)Jupyter 기반 IDE 포함, 학습·배포 자동화Claude, Titan, Llama 등 모델 호출
사용방식인스턴스 직접 생성 후 셋업Studio, Notebook, Endpoint 등 선택Bedrock 콘솔 또는 SDK로 API 호출
초기 설정 난이도높음중간매우 낮음
비용 과금 방식시간당 + EBS + 데이터 전송시간당 + 스토리지 + 호출 + 학습 비용호출 횟수 및 토큰 수 기반

2. 비용 가정 조건 (2025년 6월 기준, 서울 리전 기준 유사 요금)

조건
사용 시간월 80시간 (4시간/일 × 20일)
인스턴스 사양g4dn.xlarge (GPU 포함)
Bedrock 모델Anthropic Claude 3 Sonnet, Titan Text G1, 등
지역Asia Pacific (Seoul)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비용은 기본치 포함 (예: 50GB 이하, In/Out 5GB 이내 가정)

3. 월간 / 연간 예상 비용 비교표

항목EC2 (g4dn.xlarge)SageMaker Notebook (ml.g4dn.xlarge)Bedrock (Claude 3 Sonnet)
시간당 요금약 $0.526약 $0.75 (노트북 인스턴스 기준)$0.003 / 1K tokens (입력)
+ $0.015 / 1K tokens (출력)
월간 비용 (80시간)$42.08$60.00약 $60~$100 (50~80K 요청 기준)
연간 비용$504.96$720.00약 $720 ~ $1,200
특징 요약저비용 유연한 VM, 셋업 어려움개발자 친화, 높은 요금셋업 無, 모델 사용만 과금

4. 추가 주의사항

서비스주의점
EC2OS, 패키지 설치 및 CUDA 설정 필요. 관리 시간 포함
SageMaker정지 상태에서도 일부 요금 발생 가능 (엔드포인트, 스토리지)
BedrockLLM API 호출량 예측이 어려움 → 비용 모니터링 필수

5. 요약: 어떤 사용자에게 적합한가?

대상적합한 서비스
ML 모델 직접 구성, 자유도 우선EC2
Jupyter 기반 개발, 자동화된 ML 워크플로우SageMaker
빠르게 생성형 AI 모델 사용, 셋업 없이 바로 사용Bedrock

참고자료2. AWS EC2, SageMaker, Bedrock 연간 TCO 비교

AWS EC2, SageMaker, Bedrock의 하루 4시간씩 월 20일 사용 기준 (월 80시간 사용)으로 **1년 동안의 TCO(Total Cost of Ownership, 총 소유 비용)**을 비교한 표. 단순 시간당 비용뿐 아니라 실제 사용을 위한 **추가 비용 항목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건비, 운영 리소스 등)**까지 고려한 추정치

1. 이번 TCO 계산의 전제 조건

항목내용
사용시간4시간/일 × 20일/월 = 80시간/월, 960시간/년
리전서울 (ap-northeast-2) 기준
사양g4dn.xlarge 기반 (GPU 1개, 16GiB RAM) 또는 해당 모델 대응
추가 요소인건비, 셋업 시간, 유지보수, 스토리지, 네트워크 포함
환율 참고1 USD = 1,350원 (2025년 환율 기준 가정)

2. TCO 비교표: EC2 vs SageMaker vs Bedrock (1년 기준)

항목EC2 (g4dn.xlarge)SageMaker (ml.g4dn.xlarge)Bedrock (Claude 3 Sonnet)
기본 인스턴스 요금$0.526/시간 × 960 = $505$0.75/시간 × 960 = $72080K 요청 = 약 $900
EBS 스토리지 (100GB)$1.6/월 × 12 = $19.2포함 또는 추가 $10~15/월사용 안함
데이터 전송비 (5GB/월)$0.09/GB × 5GB × 12 = $5.4동일없음 (API 응답 포함)
초기 셋업/운영 인건비고 (50시간 @ $50/hr) = $2,500중 (20시간) = $1,000매우 낮음 (5시간 이내) = $250
유지보수 시간 연간3시간/월 × 12 = 36시간 = $1,8001.5시간/월 × 12 = $9000.5시간/월 × 12 = $300
총 비용 (USD)$4,829.6$2,654.4$1,450.0
총 비용 (한화)650만 원358만 원196만 원
비고자유도↑, 비용↑자동화↑, 중간비용셋업 無, API 기반, 예측 어려움

3. 서비스별 비용 구성

항목EC2SageMakerBedrock
인스턴스10%27%62%
스토리지/네트워크1%2%0%
셋업 및 운영 인건비89%71%38%

4. 시사점 요약

서비스특징적합 대상
EC2TCO 가장 높음 (자유도 대가)커스텀 모델, GPU 제어 필요한 개발자
SageMaker자동화된 ML 전용 환경모델 개발자, 학습/튜닝 반복 많은 경우
BedrockTCO 최소, 신속한 AI API 호출생성형 AI 응용서비스 기획/시제품 제작자

참고자료3. RaaS 배경지식: 클라우드 IaaS, PaaS, SaaS 모델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서비스 모델인 IaaS, PaaS, SaaS는 기술적 책임 범위와 비즈니스 활용 목적에 따라 명확히 구분되며, 이들 모델의 기술적/비즈니스적 특징, 장단점,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IaaS vs PaaS vs SaaS: 비교 요약표

구분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PaaS (Platform as a Service)SaaS (Software as a Service)
제공 범위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가상화IaaS + OS, 런타임, 미들웨어, 개발툴PaaS + 애플리케이션(완제품 SW)
사용자 책임애플리케이션, 미들웨어, OS 설정애플리케이션만 개발/배포사용자 데이터만
기술 대상시스템 관리자, 인프라 전문가개발자, DevOps최종 사용자, 업무팀
대표 사례AWS EC2, Microsoft Azure VM, Google Compute EngineAWS Elastic Beanstalk, Google App Engine, HerokuGmail, Salesforce, MS Office 365, Slack
기술적 장점유연성, 제어력, 사용자 정의 가능개발 속도, 유지보수 단순화즉시 사용 가능, 유지보수 無
기술적 단점설정 복잡, 운영 책임 큼커스터마이징 한계기능 제약, 데이터 주권 이슈
비즈니스 장점비용 효율적 인프라 확장Time to Market 단축CAPEX 없음, 바로 업무 적용
비즈니스 단점DevOps 인력 필요, 복잡도↑특정 플랫폼 종속성 위험종속성/보안/개인화 어려움
유형별 고객대기업, IT팀 중심 조직스타트업, 빠른 출시 지향 팀일반 기업, 비IT 부서
확장성/탄력성매우 높음 (가상화 기반)높음 (자동확장 포함)공급자 관리에 의존
예상 과금 구조VM 시간/용량 기준 (Pay-as-you-go)실행 환경 사용량 기반사용자 수/월 구독 요금

기술적/비즈니스 관점 핵심 차이

관점IaaSPaaSSaaS
기술적 주도권사용자가 완전한 주도권플랫폼 공급자가 환경 통제공급자가 전체 통제
비즈니스 민첩성중간 (구축시간 존재)높음 (개발 가속)매우 높음 (즉시사용)
유지보수 부담사용자 책임플랫폼 분담공급자 책임
보안 통제유연하나 사용자 책임플랫폼 보안에 의존공급자 보안정책에 의존
커스터마이징자유도 매우 높음제한적매우 제한적 또는 없음

활용 예시

  • IaaS: 금융사 내부 클라우드 전환, GPU 기반 AI 학습 인프라 구축
  • PaaS: 스타트업이 빠르게 MVP 제품 개발 시
  • SaaS: 중소기업이 Salesforce, Zoom, Notion 등 바로 활용할 때

선택 기준 제안

조건추천 모델
커스터마이징/제어력 최우선IaaS
빠른 개발과 배포가 중요PaaS
즉시 사용, 관리 최소화 원함SaaS
하이브리드 IT 전략 필요IaaS + SaaS 병행

2부. GenAI와 조직 그리고 개인

1: 리테일 산업의 변화와 전략적 대응

  • CJ대한통운 O-NE, 올리브영 美 LA 점포 진출 시도
  • Farfetch: 매월 구매 고객이 매일 접속 → 게이미피케이션 전략
  • 리테일 기업의 경쟁력: 방대한 소비자 행동 데이터
  •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는 RaaS(Retail as a Service) 관점에서 도출 필요

2: 플랫폼 스티키니스와 니치 마켓 전략

  • Stickiness = DAU / MAU
    • 카카오: 80%, 유튜브: 95%
  • GS리테일도 게이미피케이션+니치마켓 집중 전략 필요
  • 토스: 특정 수요 니치 마켓에 집중해 시장 선점

3: 리테일의 콘텐츠 플랫폼화

  • 리테일 = 온디맨드 콘텐츠 플랫폼
  • 인구감소·소비감소 시대 → 리테일 세분화 및 모듈화 필요
  • 소비자의 루틴, 취향에 맞춘 AI 기반 니치 대응이 핵심

4: AI 시대의 맨파워와 데이터 전략

  • Z세대 루틴: 퇴근길 30분 전 배달 루틴 등 O4O 전략
  • 임직원의 P&L 중심 시각은 조직 결정의 건강한 편향
  • 현업 지식 그대로 전달해야 유효한 AI 도입 가능

5: 리더십의 전환과 조직문화 설계

  • 리더의 역할 변화:
    • 최고임원: 방향 제시 + 수정 유연성
    • 중간관리자: 실무자 의견 수렴 + 피드백 제공
  • 스타트업 vs 대기업 리테일의 주요 KPI
    • Store Visit / ARPU / P&L / 체류시간

6: AI 거버넌스와 실무 연계의 중요성

  • 잘못된 구조:
    • 모든 AI 인재가 거버넌스팀에 집중 → 현업 단절
  • 성공 조건:
    • 일 잘하는 실무자가 직접 AI와 협업할 수 있는 프로세스 설계
    • 업무 중심의 문제 정의와 AI 활용 병행

7: 리더의 질문력과 실행력

  • 좋은 리더 = 좋은 질문을 던질 수 있는 사람
  • AI에게 질문을 던지고, 질문 방식/데이터/참조 지식을 수정하며 결과를 개선하는 능력
  • 실리콘밸리 팀장 고과 기준:
    • 70% 본인 미션, 30% 타 팀과 소통

8: 미래형 리더십 역량의 방향성

  • 중국 저장대 사례: GPU 3개로 문제 해결 과제 부여 → 실전 중심 학습
  • 리더의 핵심 역량:
    • 케어 대상에게 적합한 커리큘럼 설계
    • 스스로의 질문 역량은 동료·팀원에 의해 검증되어야 함
  • AI 시대의 실무 교육 = 질문 중심 + 실전 문제 중심

참고자료: Chapter4. GenAI와 조직 그리고 개인 ① – 새로운 고객 가치를 실현하는 첫걸음


1부. GenAI와 리테일 산업 트랜드 분석

1: 강연 개요

  • 주제: GenAI와 리테일 산업
  • 진행: 한건 기업교육전문강사
  • 강연: 조용민 대표 (前 구글, IBM, 삼성전자, 엑센추어)
  • 핵심 메시지:
    • AI는 전기와 같은 기저 기술
    • 조직 내 AI 활용은 ‘도입 목적’ 설정이 핵심

2: AI = 전기 수준의 기저 기술

  • AI는 전기/수도/가스와 유사한 유틸리티 기술
  • 세탁기·냉장고 발명처럼 산업 전체에 파급력
  • 산업 구조 전반을 재설계할 기술로 인식해야 함

3: GenAI 기술의 진화

  • 2년 전: 서베이 리서치 인턴 수준
  • 현재: 맥킨지 시니어 컨설턴트 수준의 업무 가능
  • 곧 인간 뇌 뉴런 수(100조)와 유사한 GPT 등장 예상

4: GenAI의 본질과 가능성

  • GenAI << DL << ML → ‘다음 스텝 예측’이 본질
  • 멀티모달 능력: 하나를 잘하면 다른 것도 가능
  • 사용 목적 & 프롬프트에 따라 결과의 질과 방향 달라짐

5: AI와 체인지 에이전트

  • 과거: 조직 내 체인지 에이전트가 변화 주도
  • 미래: AI 에이전트가 팀의 문제 해결을 도와야
  • 주의: AI/데이터팀이 문제를 ‘일반화’하지 말고,
    현장의 복잡성을 있는 그대로 AI에 전달해야 효과적

6: 기업 내 AI 활용 예시

  • “이 논문을 요약해줘” → “다음 연구 주제도 추천해줘”
  • “이 사고과정(CoT)도 함께 설명해줘”
  • AI는 이제 업무 파트너(Thinking Partner)

7: 글로벌 리테일 AI 사례

  • 넷플릭스: 시청 유지 위한 썸네일 자동생성
  • Walgreens: 홍수 재난에 따른 재고 대응
  • RaceTrac: 무더위에 따른 운영 최적화
  • Doordash/우아한형제들: 리뷰 기반 빠른 상점 선택 → 매출 증가

8: 플랫폼 전략과 디지털 트윈

  • GS리테일: 1.8만개 지점의 디지털 트윈 추진
  • B2B2C 유통연계 플랫폼 기업 지향
  • ‘우리동네GS’, ‘Farfetch’ 등 플랫폼화 사례

9: 콘텐츠 협업과 MD역량

  • 과거: MD의 머천다이징 역량 중심
  • 미래: 콘텐츠 플랫폼과 협업 → 차별화된 제품 기획·유통
  • 예: 넷플릭스 협업 패션 제품, 한정판 굿즈 등

10: 서비스로서의 유통 (RaaS)

  • Toss 이승건 대표의 글로벌 전략 언급
  • GS리테일도 RaaS(Retail as a Service)로 진화 가능
  • 니치 펑션 발굴 → 글로벌 수익화 포인트

11: AI 도입 목적의 중요성

  • 기업은 다양한 활용 방식(파운데이션 모델, 임직원 도구, 소비자 경험 등)을 고민 중
  • 가장 중요한 결정은 ‘왜 AI를 도입하는가’
  • 목적이 정해지면 필요한 AI가 자연스럽게 정의됨

12: 마무리 & 추천 도서

  • 신간: 『언락 AI』 – AI 리터러시의 중요성 강조
  • 웬디스 사례: Palantir의 AI 재고관리 시스템으로 문제 해결
  • 이수 확인 퀴즈:
    1. AI = 전기 수준의 기반기술
    2. 문제의 복잡성은 그대로 전달해야 함
    3. AI 도입 목적이 가장 중요

참고자료: GenAI와 리테일 산업 – 글로벌 리테일, AI 어떻게 쓰나?


이 포스트는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 예정입니다. / 첫 포스팅: 250629 >> 마지막 포스팅: 250701 / 포스팅 문의: 넥스트플랫폼 (naebon@naver.com)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