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 개요
‘LangChain을 활용한 LLM 앱서비스 기획’ 과정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기획과 구조 설계를 중심으로, LangChain의 핵심 개념과 구성 요소를 이해하고 실제 LLM 기반 앱의 흐름과 프로토타입 시나리오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2일(총 12시간) 간의 입문자용 실무중심형 교육입니다.
넥스트플랫폼 온디맨드 과정
교육기관의 강의 요청에 따라 강의 시수, 진행 방식을 수정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온디맨드 교육과정입니다. (문의: 넥스트플랫폼 동준상 / naebon@naver.com)
항목 | 내용 |
---|---|
과정명 | LangChain을 활용한 LLM 앱서비스 기획 |
수강대상 | AI 기획자, PM, 서비스 디자이너, 데이터/ML 엔지니어 |
기간 | 2일 / 총 12시간 (6시간 × 2일) |
목표 | LangChain 기반 LLM 앱의 기획, 구조 설계, 체험 프로토타입 구현 이해 |
강사 | 넥스트플랫폼 동준상 |
📚 상세 커리큘럼 (2일, 총 12시간)
🔹 Day 1: LangChain 이해와 LLM 서비스 기획
시간 | 내용 | 세부 항목 |
---|---|---|
09:30~10:00 | 오리엔테이션 | 과정 목표 및 일정 소개, 사전 설문 |
10:00~11:00 | LLM 앱의 구조와 사례 분석 | Prompt → Model → Output의 구조, 챗봇/문서 요약/에이전트 유형 사례 |
11:00~12:30 | LangChain의 개념과 핵심 컴포넌트 소개 | LLMChain, PromptTemplate, Tool, Agent, Retriever 등 구성 요소 |
13:30~15:00 | LangChain 기획자 관점 실습 ① – Prompt 설계와 체험 | 프롬프트 설계 실습 (PromptTemplate 사용), LangChain Playground 활용 |
15:00~16:30 | LLM 서비스 기획 실전 ① – 사용자 흐름 설계 | 사용자 니즈 분석 → 페르소나 → 대화 흐름도 및 기능 정의 |
16:30~17:30 | Q&A 및 팀별 아이디어 구상 | 소그룹 구성 후 아이디어 정리 및 2일차 과제 공유 |
🔹 Day 2: LangChain 앱 설계와 프로토타이핑
시간 | 내용 | 세부 항목 |
---|---|---|
09:30~10:30 | LangChain 기획자 관점 실습 ② – 체인 구성 이해 | LLMChain, SequentialChain, RetrievalQAChain 등 사례 설명 및 실습 |
10:30~12:00 | LangChain 기획자 관점 실습 ③ – 외부 도구 연동 설계 | Google Search Tool, Calculator Tool, Custom Tool 정의 사례 분석 |
13:30~15:00 | LLM 서비스 기획 실전 ② – 프로토타입 시나리오 작성 | 체인 구성도, API 흐름도, UX 프로토타입 시나리오 작성 실습 |
15:00~16:30 | 팀별 발표 및 피드백 | 팀별 LangChain 기반 서비스 아이디어 발표 및 상호 피드백 |
16:30~17:30 | 정리 및 실무 적용 가이드 | LangChain 활용 로드맵, 실무 적용 팁, 오픈소스/상용 도구 추천 |
🛠️ 사용 도구 및 실습 환경
- 실습 언어: Python + LangChain (GUI 또는 Jupyter 기반)
- 실습 툴: LangChain Playground, VSCode, Google Colab (선택)
- 참고 도구: OpenAI API, Pinecone/FAISS, Streamlit (선택 적용)
🎯 기대 효과
- LLM 기반 앱서비스를 구조적으로 기획할 수 있다.
- LangChain의 핵심 개념과 구성 요소를 이해하고 기획 실무에 활용할 수 있다.
- 텍스트 기반 LLM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타입 시나리오를 작성할 수 있다.
이번 과정에 관심 있으신 수요기관의 교육담당자께서는 언제든 편하신 방법으로 연락주세요. (문의: 넥스트플랫폼 동준상 / naebo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