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10.01 / JUN
이 포스트의 핵심 정리
소프트웨어 수익화는 웹앱·모바일앱·플러그인·테마·템플릿 등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며, 구독형 SaaS, Freemium, 광고, 일회성 라이선스, API 과금, 데이터 판매, 거래 수수료, B2B 맞춤형 등 모델을 활용할 수 있어요.
Product Hunt, Gumroad, App Store, Envato 같은 플랫폼에서 배포·판매하며, 초기엔 무료·프리미엄 혼합으로 사용자를 확보하고 이후 구독·확장 기능, 기업 제휴를 통해 안정적 수익을 누적하는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file_downloader url="https://drive.google.com/file/d/1uGXk4ikJKisz9L7swTgUknFOU76JFPUi/view?usp=sharing" title="KOITA AX IP" description="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AI 도구를 활용한 특허 리서치"]
P1. 소프트웨어 수익화 8가지 방법 & 성공 사례
1. 구독 모델 (Subscription SaaS)
- 월/연 단위로 사용료를 받고 지속적 업데이트와 지원 제공
- 대표 사례: Notion – 메모·협업 SaaS, Freemium → 팀/기업 고객 유료화
2. 일회성 라이선스 판매 (One-time License)
- 소프트웨어를 한 번 구매하면 영구 사용 가능 (Pro 버전 판매)
- 대표 사례: Sketch – UI/UX 디자인 툴, 일회성 구매로 디자이너 시장 공략
3. Freemium 모델
- 기본 기능 무료 제공, 고급 기능·추가 저장공간·팀 기능은 유료
- 대표 사례: Dropbox – 무료 클라우드 저장공간 제공 → 대용량·팀 요금제 업그레이드
4. 광고 기반 모델 (Ad-Supported)
- 앱 무료 제공 대신 광고 노출을 통해 수익 창출
- 대표 사례: Spotify Free – 음악 스트리밍 무료 이용자에게 광고 제공
5. 마켓플레이스/플러그인 판매
- 웹앱이나 CMS(WordPress 등)에 플러그인, 테마, 템플릿을 유료 판매
- 대표 사례: WooCommerce – WordPress 플러그인 생태계에서 확장 기능 판매로 수익 창출
6. 거래 수수료 (Transaction Fee)
- 플랫폼 내 결제나 거래 발생 시 일정 비율 수수료 부과
- 대표 사례: Stripe – 온라인 결제 인프라 제공, 거래액의 일정 % 수익 확보
7. 데이터 판매 및 API 사용량 과금
- 데이터 자체를 상품화하거나 API 호출량에 따라 요금 청구
- 대표 사례: Twilio – SMS/전화 API 제공, 사용량 단위별 과금 모델
8. 기업 맞춤형 커스터마이징 (B2B Enterprise)
- 기본 솔루션을 기업 고객 맞춤형으로 확장·구축, 컨설팅·지원 포함
- 대표 사례: Palantir –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대기업·정부 맞춤형 구축으로 수익화
요약
- 개인/소규모 창작자는 → Freemium, 광고, 플러그인 판매 모델이 적합
- 스타트업/SaaS 팀은 → 구독, 거래 수수료, API 과금 모델이 유리
- 기업/엔터프라이즈는 → B2B 맞춤형 커스터마이징이 핵심 전략
P2. 제품 형태별 수익화 방법 & 커머스 플랫폼
1. 웹앱(Web App)
- 형태: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앱 (PWA, SaaS)
- 수익화: Freemium, 구독 모델, 광고 연계
- 추천 플랫폼
- Product Hunt → 초기 사용자·얼리어답터 확보
- Gumroad → 웹앱 액세스권, 구독 판매
- LemonSqueezy / Paddle → SaaS 과금·구독 결제 지원
2. 모바일앱(Android/iOS)
- 형태: 네이티브 앱, 웹앱 래핑(PWA, Capacitor)
- 수익화: 구독, 인앱결제(IAP), 광고, 유료 다운로드
- 추천 플랫폼
- Google Play 스토어 (Android)
- Apple App Store (iOS)
- Itch.io (실험적 앱·툴 배포 가능)
3. 플러그인(Plugin)
- 형태: 워드프레스·브라우저·노션 등 확장 기능
- 수익화: 기본 무료 + Pro 애드온, 일회성 구매
- 추천 플랫폼
- WordPress.org Plugin Directory (무료 배포 → Pro 유도)
- Envato Market (CodeCanyon) → 유료 플러그인 판매
- GitHub + Gumroad → 직접 배포·판매
4. 테마(Theme)
- 형태: 웹사이트, 블로그, CMS용 디자인 패키지
- 수익화: 일회성 판매, 라이선스 패키지
- 추천 플랫폼
- ThemeForest (Envato Market) → 세계 최대 테마 마켓
- TemplateMonster → 글로벌 테마 유통
- Creative Market → 디자이너 친화적 판매
5. 템플릿(Template)
- 형태: Notion, Figma, Canva, Webflow 템플릿
- 수익화: 일회성 구매, 구독형 패키지 판매
- 추천 플랫폼
- Notion Template Gallery + Gumroad → 생산성 템플릿 판매
- Figma Community (무료 공개 → 외부 유료 확장)
- Creative Market (디자인·문서 템플릿 판매)
🚀 요약 전략
- 빠른 사용자 확보: Product Hunt, WordPress.org, Notion/Figma Community
- 지속적 수익화: Gumroad, LemonSqueezy, App Store, Envato Market
- 실험·테스트 시장: Itch.io, Indie Hackers, Reddit
“4 Cuts in History (역사네컷 / 김홍)” 앱 수익화 시나리오

📍 초기 6개월 (사용자 확보 중심)
- 제품 전략: 기본 기능은 무료, 고화질 다운로드·추가 필터·독점 캐릭터팩은 프리미엄 유료로 제공 (Freemium 모델).
- 홍보 전략: SNS(인스타그램, 틱톡) 챌린지, 유튜브 숏폼, Product Hunt·Reddit 같은 커뮤니티에서 바이럴 마케팅.
- 성과 목표: 첫 5만 명의 사용자 확보, 프리미엄 전환율 2~3% → 소액이지만 유지 가능한 운영비 확보.
📍 1년 (수익화 시작)
- 수익 모델 강화:
- 프리미엄 구독(월 $3~5) 도입 → 무제한 다운로드, 광고 제거, 고급 AI 스타일 제공.
- 이벤트성 ‘히스토리 팩’(예: 르네상스, 한국사, 현대 인물 등) 인앱 구매.
- 운영 전략: 사용량 기반 API 비용 절감을 위해 자체 모델 일부 활용 시작.
- 성과 목표: 누적 사용자 30만 명, 프리미엄 구독자 1만 명 → 월 recurring revenue 확보.
📍 2년 (플랫폼 확장 & 안정적 수익화)
- 제품 확장:
- 모바일 앱(iOS/Android) 출시, AR 포토부스 기능 추가.
- API 서비스 공개 → 외부 파트너(교육기관, 콘텐츠 제작자)도 활용 가능.
- 수익 모델 다양화:
- 기업/교육용 B2B 패키지 (학교, 박물관, 관광지 연계).
- 브랜드/영화사와 콜라보 이벤트 → 스폰서십 광고 수익.
- 성과 목표: 누적 사용자 100만 명, 연 매출 $100만 수준 도달.
📍 3년 (글로벌 브랜드화 & 고도화)
- 브랜드화: “AI 포토부스 플랫폼”으로 자리잡아 글로벌 행사·축제·전시회와 제휴.
- 생태계 확장:
- 크리에이터를 위한 ‘테마 마켓플레이스’ 개설 → 사용자가 직접 역사 캐릭터/템플릿 제작 후 판매 가능.
- NFT 기반 디지털 굿즈 출시, 소셜 메타버스 아바타와 연동.
- 성과 목표: 글로벌 누적 사용자 500만 명, 연 매출 $500만 이상, 해외 법인 설립 고려.
📌 요약 흐름
- 6개월: 프리미엄 모델로 빠른 사용자 확보
- 1년: 구독·인앱구매로 본격적 수익화, API 비용 최적화
- 2년: 모바일 확장 + B2B 시장 진출 + 광고/스폰서십 추가
- 3년: 글로벌 플랫폼화, 크리에이터 생태계 & NFT/메타버스 확장

“4 Cuts in History” 앱의 사용자 성장곡선(파란색)과 수익 누적 곡선(초록색) 시각화
- 0.5년(6개월): 약 5만 명 사용자, 수익은 소액 수준(약 5만 달러).
- 1년: 30만 명 사용자, 누적 수익 30만 달러 → 프리미엄 구독 기반 수익화 시작.
- 2년: 100만 명 사용자, 누적 수익 100만 달러 → 모바일 확장 및 B2B 진출.
- 3년: 500만 명 사용자, 누적 수익 500만 달러 → 글로벌 플랫폼화, 생태계 확장.
참고자료
중기벤처 | 예비 창업자와 창업기업을 위한 창업지원사업공고
https://www.k-startup.go.kr/web/contents/bizpbanc-ongoing.do
2025년 제조AI솔루션 공모전
https://www.k-startup.go.kr/web/contents/bizpbanc-ongoing.do?pbancClssCd=PBC010&schM=view&pbancSn=175170
「2025 전북 지역특화콘텐츠개발지원」지역특화 콘텐츠 유망과제 사전기획 및 개발지원 사업
https://www.k-startup.go.kr/web/contents/bizpbanc-ongoing.do?pbancClssCd=PBC010&schM=view&pbancSn=175160
AICA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AI 창업동」 입주기업 모집 공고(수정)
https://www.aica-gj.kr/sub.php?PID=0401&page=&category=&searchText=&searchType=&action=Read&idx=2673
AICA 2025년 광주기업 시민체감형 AI 제품‧서비스 2차 모집
https://www.aica-gj.kr/sub.php?PID=0401&page=&category=&searchText=&searchType=&action=Read&idx=2669
[광주] 2025년 4차 인공지능 기술 고도화 지원사업 상시 모집 공고(AI융합 지능형 농업 생태계 구축 사업 신뢰성 평가 인증 지원)
https://www.bizinfo.go.kr/web/lay1/bbs/S1T122C128/AS/74/view.do?pblancId=PBLN_000000000115219
[충북] 2025년 지역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지원 사업 AI 도입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재공고
https://www.bizinfo.go.kr/web/lay1/bbs/S1T122C128/AS/74/view.do?pblancId=PBLN_000000000115130
[서울] 2025년 2기 서울 AI 허브 멤버십 모집 공고
https://www.bizinfo.go.kr/web/lay1/bbs/S1T122C128/AS/74/view.do?pblancId=PBLN_000000000114924
[울산] 2025년 AI기반 PoC 실증 지원사업 수혜기업 모집 공고(지역특화 제조데이터 활성화 사업)
https://www.bizinfo.go.kr/web/lay1/bbs/S1T122C128/AS/74/view.do?pblancId=PBLN_000000000114847
[광주] 2025년 3차 인공지능 기술 고도화 지원사업 상시 모집 공고(AI융합 지능형 농업 생태계 구축 사업)
https://www.bizinfo.go.kr/web/lay1/bbs/S1T122C128/AS/74/view.do?pblancId=PBLN_000000000112848
첫 포스팅: 25.10.01 / JUN (naebo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