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 기반 특허 리서치 및 출원 관리 실무 (KOITA / 8H)

25.10.24 / JUN

KOITA 회원사 기업의 특허업무 담당자를 위한 최신 인공지능 도구 기반의 특허 리서치 및 출원 기획 과정입니다. 특허업무와 최신 인공지능 도구인 GPT, NotebookLM, Perplexity 입문자도 부담 없이 수강할 수 있는 과정입니다.

  • P1. 교육 과정 개요
  • P2. 기반 지식: 한국의 특허 제도 개요
  • P3. 한국의 4대 지식재산권 출원 제도
  • P4. GPT 기반 4대 지식재산권(IP) 리서치, 출원 기획
  • P5. GPT 기반 IP 관리업무 워크플로우
  • P6. 주요 국가별 선행특허 검색 도구
  • P7. 국가별 특허 출원 차이점 및 주의사항
  • P8. 한국 중소기업 특허 등록 과정 (기계 부품의 경우)
  • P9. KOITA 회원사 맞춤형 출원 주제 예시
  • P10. 선행특허 사례의 효과적 검색법
  • P11. 실습: GPT, NotebookLM 기반 특허 리서치 및 출원 기획 워크북
  • P12. 참고자료: 특허 선행조사 자동화 애플리케이션 기술명세서 (HTML·CSS·JS + Gemini API)
  • P13. 전략적 특허 출원 “가출원 후 본출원” 전략

수강고객용 교재 다운로드 (PDF / 110p / 열람암호)

📁
KOITA 특허 리서치 및 출원 기획 (110p, 23MB / 암호 필요)
File Google Drive 0 downloads
Atom File Downloader v0.9.0

수강고객사

  • 고등기술연구원
  • 귀뚜라미범양냉방
  • 기산전자
  • 넥스모스
  • 동해종합기술공사
  • 머터리얼사이언스
  • 비투지
  • 신지모루
  • 싸이런테라퓨틱스
  • 씨큐브
  • 아이피씨앤비
  • 아팩
  • 에이치비테크놀로지
  • 에코프로에이치앤
  • 오씨아이
  • 이암허브
  • 이화다이아몬드공업
  • 인실리코
  • 저스템
  • 제론셀베인
  • 지오시스템
  • 진코스텍
  • 케이씨이앤씨
  • 케이엠아이이지
  • 태성이노텍
  • 포항상공회의소
  • 한국내화
  • 해마루

수강고객사 산업군별 맞춤강의

구분주요 기업/기관산업 분야핵심 니즈
산업기술 연구기관/공공 R&D고등기술연구원, 포항상공회의소기술개발, 산학연 연계R&D-특허 연계 전략, 연구성과의 IP 전환 프로세스
전자·반도체기산전자, 에이치비테크놀로지, 케이엠아이이지, 넥스모스반도체 공정·테스트 장비소재/공정 개선 아이디어의 신규성 검토, FTO 분석
기계·장비·냉난방귀뚜라미범양냉방, 태성이노텍, 케이씨이앤씨냉난방·플랜트·기계설비구조개선 중심 실용신안·디자인 출원 전략
소재·화학·에너지머터리얼사이언스, 에코프로에이치앤, 한국내화, 오씨아이신소재, 배터리, 화학 공정공정 특허의 청구항 구성 및 공정 차별화 사례
바이오·헬스케어싸이런테라퓨틱스, 제론셀베인, 인실리코신약개발, AI-Drug DiscoveryAI 모델·생체데이터 활용 시 특허 보호 범위
IT·AI 플랫폼/스타트업비투지, 아이피씨앤비, 아팩, 이암허브AI 서비스·데이터 분석알고리즘·UI 특허화, 상표/디자인 병행 전략
건설·토목·측량동해종합기술공사, 지오시스템인프라·측량 기술드론·GIS 기반 기술의 실용신안/특허화 포인트
기타 제조·소비재신지모루, 진코스텍, 이화다이아몬드공업, 해마루전자기기·소비재제품형 특허 + 디자인 출원 + 상표 일체 전략

산업군별 맞춤강의 방식

  1. 산업군별 특성을 반영한 사전조사 실습 주제 선정
    • 반도체 기업 → “신소재 공정 개선 기술 선행특허 조사”
    • 바이오 기업 → “AI 신약개발 알고리즘의 특허 보호 가능성 분석”
  2. GPT 활용 방식 차별화
    • 제조업 중심 기업엔 “기계구조 도면·용어 기반 키워드 확장”
    • IT·바이오 기업엔 “AI 모델·데이터 활용 특허 문서 요약”
  3. 출원 전략 사례 비교
    • 실용신안/디자인 → 중소 제조기업
    • 특허/FTO → 반도체·바이오 기업
    • 상표·브랜드 → 소비재·플랫폼 기업
  4. 워크북 설계
    • 산업별 탭(반도체/기계/소재/바이오/서비스)로 구분해 맞춤형 실습 시트 구성

AI 특허 실무 활용 워크북

KOITA AI 특허 실무 활용 워크북
https://docs.google.com/document/d/1OyGZdr5epfoBCX3LI-YjPXrg5cWuprrlDn0KSXVXXeg/edit?usp=sharing

AI 기반 특허 출원 기본서 (출원서 & 명세서) 작성 실습 워크북
https://docs.google.com/document/d/16AumBXX5sBLMoYgZ_ZI6_D-SjlLhYwLx-cDc8kIT2Ig/edit?usp=sharing


P1. 교육 과정 개요

  • 과정명: GPT 기반 특허 리서치 및 출원 관리
  • 기관명: KOITA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대상: KOITA 회원사 기술 연구자, R&D 기획자, 지식재산(IP) 담당자
  • 시간: 1일, 총 8시간 (09:00~18:00)
  • 장소: KOITA 서초
  • 기획: KOITA 김선우 주임 ()
  • 강의: NXP 동준상 대표

금번 교육 과정의 목적과 기대성과

  • 목적:
    • GPT와 같은 최신 생성형 AI 도구를 활용하여 제조기술 관련 특허 리서치 및 출원 전략 수립 방법을 습득
    • 방대한 특허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탐색하고, 출원 기획 단계에서 차별화된 아이디어 및 문서화를 지원
    • 실제 제조기업의 특허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무형 역량 확보
  • 기대성과:
    • GPT 기반 특허 검색 및 분석 워크플로우 이해
    • 유사 특허 판독 및 신규성 검토 능력 향상
    • 연구 아이디어를 특허 출원 기획안으로 구체화하는 실습 경험 확보

P2. 기반 지식: 한국의 특허 제도 개요

1. 관할 기관

  • 특허청(KIPO,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대전 본청, 심사관/심판관이 특허·실용신안·상표·디자인 관련 권리를 심사·관리.
  • 특허심판원: 거절결정 불복, 무효심판, 권리범위확인심판 등을 담당.
  • 특허법원: 특허심판원 결정에 대한 불복 사건을 다루는 전담 법원.

2. 출원 및 심사 절차

  1. 출원
    • 발명자는 명세서(발명의 설명, 청구항, 도면, 요약서)를 작성해 특허청에 제출.
    • 출원일이 권리 확보의 기초일이 됨.
  2. 방식심사(Formality Check)
    • 서류 요건(양식, 수수료 등) 확인. 미비 시 보정 명령.
  3. 공개(출원공개 제도)
    • 출원 후 18개월 경과 시 자동 공개 → 누구나 열람 가능.
    • 조기 공개도 가능.
  4. 실체심사(Request for Examination)
    • 출원일로부터 3년 이내 심사청구 필요.
    • 신규성, 진보성, 산업상 이용가능성 여부를 심사.
  5. 거절이유통지(Office Action)
    • 심사관이 요건 불충족 판단 시 거절 이유를 통지.
    • 출원인은 의견서 및 보정서를 제출해 반박·수정 가능.
  6. 등록결정 → 설정등록
    • 거절이유가 해소되면 특허결정 → 등록료 납부 → 설정등록.
    • 이후 특허권 발생.

3. 특허권의 존속기간

  • 원칙: 출원일로부터 20년 (등록일 아님 주의).
  • 의약품, 농약 등 일부 특허는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PTE) 적용 가능.

4. 주요 심사 요건

  • 신규성(Novelty): 기존에 공지·공용된 기술과 동일하지 않아야 함.
  • 진보성(Non-obviousness): 당업자가 쉽게 발명할 수 없는 수준이어야 함.
  • 산업상 이용 가능성: 산업적으로 생산·이용 가능한 발명이어야 함.

5. 보정과 의견서 제도

  • 보정서(Amendment): 청구항 축소, 발명의 설명·도면 보완 가능. 단, 출원 당시 기재 범위를 초과하는 보정 불가.
  • 의견서(Argument): 거절 이유(신규성 부족, 진보성 부족 등)에 대해 논리적으로 반박.

6. 불복 절차

  • 심사관 거절결정 → 불복심판(특허심판원) 제기 가능.
  • 특허심판원 심결 불복 시 → 특허법원대법원 순으로 진행.

7. 국제출원과 연계 (PCT 제도)

  • 한국 특허청은 PCT 국제출원 수리관청 역할 수행.
  • 한국 출원 → PCT 출원 → 지정국 진입(미국, 유럽, 일본 등).
  • 국내 기업 연구자들은 해외 진출 시 PCT를 통한 동시 다국가 권리 확보 전략을 활용.

정리:

  • 한국 특허 제도는 출원 → 공개 → 심사청구 → 심사 → 거절이유통지 → 의견서/보정 → 등록의 흐름으로 운영
  • 실무에서는 **거절 이유 통지 대응(의견서/보정서 작성)**과 **특허 전략(R&D와 연계)**이 매우 중요

P3. 한국의 4대 지식재산권 출원 제도

1. 특허(Patent)

  • 대상: 새로운 발명 (기술적 사상의 창작, 고도한 수준 요구)
  • 요건
    • 신규성: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기술이어야 함
    • 진보성: 당업자가 쉽게 발명할 수 없는 수준이어야 함
    • 산업상 이용가능성: 산업에 활용 가능해야 함
  • 출원 절차
    1. 출원(명세서, 청구항, 도면, 요약서 제출)
    2. 출원공개(18개월 후)
    3. 심사청구(출원일 기준 3년 이내)
    4. 심사 → 거절이유통지 → 의견서/보정서 대응
    5. 등록결정 및 설정등록
  • 권리 존속기간: 출원일로부터 20년

활용 사례: 반도체 제조 공정, AI 알고리즘, 배터리 신소재 등 핵심 기술 보호

2. 실용신안(Utility Model)

  • 대상: 고안 (아이디어, 기술적 사상의 창작 → 특허보다 낮은 수준)
  • 특징
    • 발명의 창작성 수준은 낮지만, 실용적 가치가 큰 아이디어 보호 가능
    • 신규성·진보성 필요하나 심사 기준은 특허보다 완화
  • 출원 절차
    • 원칙적으로 특허와 동일하나, 과거에는 무심사 등록제 운영 → 현재는 심사 필요
    • 다만, 심사 속도가 특허보다 빠름
  • 권리 존속기간: 출원일로부터 10년
  • 권리 범위: 물품의 형상·구조·조합에 관한 고안

활용 사례: 공구 손잡이 구조 개선, 기계 부품 결합 방식 등 실용적 아이디어 보호

3. 상표(Trademark)

  • 대상: 상품·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표장(문자, 도형, 기호, 색채, 입체적 형상, 소리, 냄새 등)
  • 요건
    • 식별력이 있어야 함 (보통명칭·관용표현 제외)
    • 타인의 등록 상표와 동일/유사하지 않아야 함
  • 출원 절차
    1. 출원(지정상품·지정서비스 기재 필수)
    2. 방식심사·실체심사(식별력, 유사 여부)
    3. 공고 → 이의신청 기간(2개월)
    4. 등록결정 및 설정등록
  • 권리 존속기간: 설정등록일로부터 10년, 갱신 무제한 가능

활용 사례: 기업 로고, 브랜드명(예: 삼성, 현대), 서비스명(예: 배달의민족)

4. 디자인(Design)

  • 대상: 제품의 형상·모양·색채·패턴 등 시각적 디자인
  • 요건
    • 신규성: 동일·유사 디자인이 공지되지 않아야 함
    • 창작성: 당업자가 쉽게 창작할 수 없어야 함
  • 출원 절차
    • 출원(도면·사진 제출)
    • 심사(일부는 부분심사제 → 신속 등록 가능)
  • 권리 존속기간: 출원일로부터 20년
  • 특징: 제품의 외관·심미성을 보호하는 권리

활용 사례: 스마트폰 외형, 자동차 헤드램프 디자인, 가구·패션 제품

✅ 4대 제도의 비교 요약

구분특허실용신안상표디자인
보호 대상발명(고도 기술)고안(아이디어, 구조 개선)상품·서비스 표장제품 외관·형상
요건신규성, 진보성, 산업상 이용신규성, 진보성(완화)식별력, 비유사성신규성, 창작성
존속기간출원일 + 20년출원일 + 10년등록일 + 10년(갱신 가능)출원일 + 20년
심사실체심사 필요심사 필요 (빠름)실체심사 + 이의신청심사 필요 (부분심사 가능)
활용 사례반도체, 신약, 배터리기계 부품, 생활용품로고, 브랜드명제품 외형, 패션

👉 정리

  • 특허: 고도 기술 보호
  • 실용신안: 생활·현장 아이디어 보호
  • 상표: 브랜드 자산 보호
  • 디자인: 제품 외관·미학적 가치 보호

즉, 제조기술 연구자라면 특허/실용신안을 중심으로, 기업 IP 담당자는 상표/디자인을 함께 고려해야 기업 경쟁력 지속 및 확장 가능


P4. GPT 기반 4대 지식재산권(IP) 리서치, 기획, 출원 포인트

1. 특허(Patent)

① 리서치

  • 기술 키워드 및 IPC 코드 자동 추출
  • 유사·선행 특허 요약 및 핵심 Claims 정리
  • 해외 특허 DB(Patentscope, USPTO 등) 정보 요약

② 출원

  • 발명의 설명서 초안 작성 지원
  • 복잡한 기술 개념을 간결하게 재정리
  • 심사관 거절 사유 대비 논리적 근거 초안 도출

③ 문서 작성

  • 의견서: 거절 이유에 대한 반박 논리 구조 제안
  • 보정서: 청구항 축소·정리 시 문장 수정 보조
  • 특허 명세서/Claims의 문장 간 일관성 체크

2. 실용신안(Utility Model)

① 리서치

  • 기존 생활·현장 아이디어와의 유사성 비교
  • 빠른 검색 결과 요약 → 차별 포인트 도출

② 출원

  • 고안 아이디어를 구조·조합 단위로 GPT에 설명 → 초안 자동 변환
  • 단순 구조 개선 아이디어를 법적 문구로 표현

③ 문서 작성

  • 등록 요건 충족 여부(신규성, 진보성) 점검 질문 생성
  • 설명서/도면 설명 문구 자동 작성 보조

3. 상표(Trademark)

① 리서치

  • 브랜드명 후보군을 GPT로 생성 (창의성 + 법적 적합성 고려)
  • 국내·해외 상표 DB와 유사도 비교 결과 요약

② 출원

  • 지정상품/서비스 분류(NICE 분류) 자동 매핑
  • 상표 출원서 초안 자동화(출원인, 상품류, 표장 설명)

③ 문서 작성

  • 의견서: 식별력 부족 지적 시 반박 논리 초안 작성
  • 보정서: 지정상품 범위 조정, 불필요 항목 삭제/정리

4. 디자인(Design)

① 리서치

  • 제품 외관 관련 기존 등록 디자인 사례 검색·요약
  • 유사·등록 디자인과의 차별화 포인트 자동 도출

② 출원

  • 디자인 설명문(형상·모양·색채 등) GPT로 자동 작성
  • 제품 도면 설명에 필요한 용어 일관성 관리

③ 문서 작성

  • 의견서: 신규성·창작성 거절 이유 대응 초안 작성
  • 보정서: 도면/설명 보완 문구 자동 생성

GPT 활용 시 유의사항

  • GPT는 법적 구속력 있는 문서 작성 주체가 아님 → 반드시 변리사/법률 검토 필요
  • 비밀 발명 정보 입력 주의: 내부망·온프레미스 GPT, 또는 비식별화 후 사용 권장
  • 최적 활용법:
    • GPT는 리서치/초안/요약 보조
    • 최종 검토 및 법적 책임은 전문가(변리사·IP 담당자)

🎯 요약

  • 특허: 기술적 발명의 청구항·논리적 반박에 GPT 활용
  • 실용신안: 단순 구조 개선 아이디어의 법적 표현 자동화
  • 상표: 브랜드명 후보 및 지정상품 분류 자동 제안
  • 디자인: 제품 외관 설명 및 차별성 도출 지원

즉, GPT는 **IP 프로세스 전 단계(리서치 → 출원 초안 → 의견서/보정서 작성)**에서 시간 단축·논리 강화·표현 자동화에 기여


GPT를 이용한 특허 등록 핵심 – 신규성·진보성 소명 전략

🔹 1. 신규성(Novelty) 요건 이해

출원 발명이 **“이미 공개·공지되지 않은 기술”**이어야 함.
즉, 동일한 구성요소와 효과를 가진 기술이 국내외 선행특허나 논문, 제품 등에 이미 존재하면 신규성이 부정됩니다.

🧠 심사관 판단 기준

  • 선행기술과 1:1로 구성요소가 모두 일치하면 신규성 없음.
  • 구성 일부만 다르더라도 동일 기능·효과면 신규성 부정될 수 있음.
  • 대표 거절 이유 예시 (심사관 시각)
    “선행문헌 D1에는 청구항 1의 모든 구성요소가 명시되어 있음. 따라서 신규성이 부정됨.”
  • 대응 방향:
    누락된 구성요소 명확히 특정
    기능·작용효과의 차이 기술
    발명의 목적이 다른 점 강조

💡 소명 전략

구분전략 포인트실무 예시
구성요소 차이선행문헌에 없는 구성 추가“센서 모듈과 통신 모듈 간 동적 연결 구조”
기술효과 차이동일 구성이라도 작용효과 다름“AI 제어로 응답속도 30% 향상”
목적·적용분야다른 기술적 과제 해결“온도제어 → 품질예측” 목적 변경
시각화 비교선행 vs 출원 도면 비교도면·테이블로 차이 시각화

🔹 2. 진보성(Inventive Step) 요건 이해

출원 발명이 **당업자(기술분야 전문가)**에게 쉽게 발명할 수 없는 정도의 창의성을 가져야 함.
즉, 선행기술을 단순히 조합·변형하면 얻을 수 있는 결과라면 진보성이 부정됩니다.

🧠 심사관 판단 구조

1️⃣ 선행기술 A+B의 결합이 기술적으로 자연스러운가?
2️⃣ 결합 결과가 예상 가능한 효과인가?
3️⃣ 출원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가 선행기술에도 암시되어 있었는가?

➡ 결합이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다면” → 진보성 부정

대표 거절 이유 예시

“청구항 1의 구성이 문헌 D1과 D2의 단순 결합으로 쉽게 도출될 수 있으므로 진보성이 없음.”

심사관의 실제 시각:

  • “기술자 입장에서 특별히 어렵지 않다.”
  • “효과는 기존 기술의 단순 연장선이다.”

진보성 소명 전략 – 문제·해결·효과 중심 논리 구조

┌───────────────────────────────┐
│ [문제] 기존 기술의 한계 또는 미해결 과제 │
└──────────────┬────────────────┘

┌───────────────────────────────┐
│ [해결수단] 본 발명의 핵심 구성(새로운 조합, 알고리즘, 구조) │
└──────────────┬────────────────┘

┌───────────────────────────────┐
│ [효과] 예상할 수 없던 기술적·수치적 향상, 시너지 효과 │
└───────────────────────────────┘

💡 핵심:
“선행기술 결합으로는 도달 불가능한 예상외 효과를 구체적 근거(수치·성능)로 입증하라.”


💡 진보성 소명 전략 (핵심)

전략 포인트설명예시
기술적 과제의 차이선행기술과 해결하려는 문제가 다름“온도제어 → 공정 품질예측”
결합의 비자명성결합이 당업자에게 자연스럽지 않음“센서 A와 알고리즘 B는 다른 기술분야”
예상외 효과성능, 속도, 비용 등 예상 불가능한 향상“전력소모 40% 감소”
상호작용 효과(시너지)구성요소 간 상호보완 작용“AI+센서 → 자동교정 기능 발생”
기술트렌드 역행당시 상식과 반대되는 접근“기존은 대형화 → 본 발명은 초소형화”
실증자료·시뮬레이션 활용수치·그래프 기반의 기술 효과 입증GPT로 비교표 초안 작성 가능

🔹 3. 소명 문서(의견서/보정서) 작성 시 주의사항

항목신규성 대응진보성 대응
보정서구성요소 명확화·제한핵심 차별요소 유지하며 청구항 재구성

“문헌 D1에는 A 구성만 개시되어 있고, 본 발명은 추가로 B를 포함하여 새로운 효과를 달성합니다.”
의견서선행기술에 없는 구성 강조결합의 비자명성, 예상외 효과 중심 논리 전개

“청구항 1의 ‘센서 모듈’을 ‘온도·습도 복합 센서 모듈’로 한정합니다.”
GPT 활용 예시“선행기술 A, B에 없는 차이점 3가지를 문장으로 정리해줘.”“본 발명이 예상외 효과를 가지는 기술적 이유를 논리적으로 설명해줘.”

“심사관의 진보성 거절 사유에 대한 반박 논리를 3단계 구조로 제안해줘.”

🔹 4. 신규성·진보성 판단 시 주로 사용되는 근거 표현 예시

  • 신규성 입증 표현
    • “선행문헌에는 A 구성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 “본 발명은 X를 추가 구성으로 포함하여 전혀 다른 효과를 나타냅니다.”
  • 진보성 입증 표현
    • “선행기술의 결합으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예측할 수 없습니다.”
    • “당시 기술자에게는 오히려 결합이 비합리적이었으며, 본 발명은 기술 트렌드에 역행하는 발상입니다.”
    • “A와 B는 서로 다른 기술 분야에 속하므로, 당업자에게 결합 동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 5. AI·GPT를 활용한 소명 실무 팁

활용 목적GPT 프롬프트 예시
차별요소 도출“아래 선행특허 요약과 내 발명 설명을 비교하여, 신규성 있는 구성요소를 5개 나열해줘.”
진보성 논리 보완“본 발명이 기존 기술 대비 예상외 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논리적으로 설명해줘.”
의견서 초안 작성“다음 거절 이유 통지문을 근거로, 진보성 부족에 대한 반박 논리를 작성해줘.”
표/비교도 생성“선행기술 A와 발명 B의 기술적 차이를 표 형태로 정리해줘.”

신규성·진보성 소명 종합 전략 & 실습 과제

종합 전략 요약
1️⃣ 신규성: 구성·효과·목적의 “명확한 차이” 제시
2️⃣ 진보성: “문제–해결–효과” 구조로 논리 전개
3️⃣ 예상외 효과를 수치·실험데이터로 입증
4️⃣ AI 도구(GPT)로 차별 포인트 및 논리 구조 초안 생성

실습 과제 예시

  • 발명: AI 기반 공정 예측 시스템
  • 선행특허: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D1, 센서 시스템 D2
    → 두 문헌과 비교하여 “예상외 효과”를 중심으로 진보성 소명문 작성
    (GPT 프롬프트: “이 발명의 진보성을 논리적으로 입증하는 의견서 초안을 작성해줘.”)

정리

“특허는 기술이 아니라 논리로 등록된다.
심사관의 언어로, 발명의 차별성을 ‘증명’하는 것이 진보성 소명의 핵심이다.”


P5. GPT 기반 IP 관리업무 워크플로우

[1단계: 리서치] 
 ─────────────────────────────────────────────
 • 특허: 키워드·IPC 코드 추출, 유사 특허 요약, 해외 DB 분석
 • 실용신안: 생활 아이디어 유사성 비교, 차별 포인트 도출
 • 상표: 브랜드명 후보 생성, 상표 유사도 검색·요약
 • 디자인: 기존 등록 디자인 사례 검색, 차별화 요소 도출
 → GPT 활용: 대규모 데이터 요약·패턴 분석

[2단계: 출원 초안] 
 ─────────────────────────────────────────────
 • 특허: 발명의 설명, 청구항 초안 자동화
 • 실용신안: 구조·조합 설명을 법적 문구로 변환
 • 상표: 지정상품 분류(NICE) 매핑, 출원서 초안 작성
 • 디자인: 외관·형상·색채 설명 문구 생성
 → GPT 활용: 전문용어·법적 형식 맞춘 초안 작성

[3단계: 문서 대응] 
 ─────────────────────────────────────────────
 • 특허: 거절 이유 대응 의견서 초안, 청구항 보정 지원
 • 실용신안: 등록 요건 점검 Q&A, 설명 보완
 • 상표: 식별력 부족 반박 논리, 지정상품 보정
 • 디자인: 신규성·창작성 거절 대응, 도면 보정 문구 작성
 → GPT 활용: 논리 구조 정리, 문장 일관성·정합성 점검

[4단계: 전략 연계] 
 ─────────────────────────────────────────────
 • R&D 결과와 IP 전략 통합 → 경쟁사 분석, 특허 맵 작성
 • 해외 출원(PCT) 국가별 전략 요약
 → GPT 활용: R&D 데이터 ↔ IP 전략 간 브릿지 역할

─────────────────────────────────────────────
⚠️ 주의: GPT는 ‘보조 도구’, 최종 법적 책임은 변리사/전문가 검토 필수
─────────────────────────────────────────────

P6. 주요 국가별 선행특허 검색 도구

🇰🇷 한국

1. KIPRIS (Korea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ormation Service)

  • 운영: 특허정보넷, 특허청(KIPO) 제공
  • 특징: 무료 서비스, 한국 내 출원·등록 특허/실용신안/상표/디자인 검색 가능
  • 기능: 키워드 검색, 출원인 검색, IPC 분류 검색, PDF 원문 열람
  • URL: https://www.kipris.or.kr
  • 중소기업 활용: 한국 내 경쟁사의 유사 기술·특허 보유 현황을 빠르게 파악

2. KIPRIS Plus API

  • 개발자·기업 대상 특허 빅데이터 API 제공
  • 자체 연구관리시스템(RMS)에 특허 검색 기능을 연계 가능

🇺🇸 미국

1. USPTO Patent Public Search (PPUBS)

  • 운영: 미국 특허상표청(USPTO)
  • 특징: 2022년 이후 제공된 새로운 통합 검색 플랫폼
  • 기능: 미국 공개특허, 등록특허 전문 검색 가능 / Boolean 검색, 하이라이트 기능
  • URL: https://ppubs.uspto.gov
  • 중소기업 활용: 미국 진출을 계획하는 기업의 필수 조사 도구

2. Google Patents

  • 운영: Google
  • 특징: 전 세계 특허 데이터 통합(미국·유럽·한국·일본 포함)
  • 기능: AI 기반 자동 번역, 선행기술 인용관계 분석, 관련 논문 연계
  • URL: https://patents.google.com
  • 장점: 인터페이스 직관적, 해외 특허 접근성이 뛰어남

🇯🇵 일본

1. J-PlatPat (Japan Platform for Patent Information)

  • 운영: 일본 특허청(JPO)
  • 특징: 일본 특허·실용신안·상표·디자인 무료 검색 가능
  • 기능: 일본어·영어 지원, 키워드/번호 검색, 특허·실용신안 원문 확인 가능
  • URL: https://www.j-platpat.inpit.go.jp
  • 중소기업 활용: 일본 기업의 관련 특허 조사 및 FTO(Freedom to Operate) 검토

✅ 중소기업 종사자 관점에서 활용 전략

  • KIPRIS: 한국 내 기술 경쟁자·시장 진입장벽 확인 (내수·공급망 보호)
  • USPTO/Google Patents: 미국 시장 진출 전 Freedom to Operate 확인
  • J-PlatPat: 일본 수출·협력시 동종 기술·특허권자 파악

P7. 국가별 특허 출원 차이점 및 주의사항

🇰🇷 한국 (KIPO, 특허청)

① 특징

  • 출원공개: 출원일로부터 18개월 후 자동 공개
  • 심사청구: 출원일 기준 3년 이내 반드시 심사청구해야 심사 진행
  • 언어: 한국어로 작성 → 외국 기업은 번역 필수
  • 보정(Amendment): 출원 후 보정은 가능하지만, 출원 당시 명세서 기재 범위 초과 불가

② 주의사항

  • 명세서 작성 단계에서 청구항 범위 넓히기 중요 (보정 한계 있음)
  • 한국은 심사 기간이 비교적 빠른 편 → 글로벌 대비 등록 속도 빠름
  • 실용신안 제도도 병행 고려 가능 (생활·구조 개선 발명 시)

🇺🇸 미국 (USPTO)

① 특징

  • First Inventor to File 제도 (2013년 AIA 이후) → 출원일이 권리 기준
  • 공개: 18개월 후 자동 공개 (한국과 동일)
  • 심사 방식: RCE(Request for Continued Examination) 제도 활용 가능 → 거절 후 계속 심사 요청 가능
  • Provisional Application (가출원) 제도 → 1년 유효, 빠른 출원일 확보용

② 주의사항

  • 명세서 요구 수준 높음 → 발명 설명 상세해야 권리범위 인정
  • 청구항 작성 시 법적 용어·구조 매우 중요 (한국식 청구항 단순 번역 → 거절 가능성 큼)
  • 미국 특허 변호사/대리인을 통한 현지 작성 및 보정이 사실상 필수
  • 특허소송 리스크가 크므로 FTO(Freedom to Operate) 분석 필수

🇯🇵 일본 (JPO)

① 특징

  • 출원공개: 18개월 후 자동 공개
  • 심사청구: 출원일 기준 3년 이내 청구 필요 (한국과 유사)
  • 언어: 일본어 명세서 제출 → 영어 제출 후 일정 기간 내 일본어 번역 가능
  • 심사 속도: 비교적 빠른 편, 그러나 심사관이 보수적으로 판단하는 경향 있음

② 주의사항

  • 일본은 진보성 판단이 엄격 → 단순 개선 발명은 거절 가능성 높음
  • 일본 기업들이 특허 포트폴리오 전략을 치밀하게 운영 → FTO 분석 중요
  • 일본어 번역 정확도가 권리범위에 직접 영향 → 전문 번역 필요

✅ 비교 요약표

구분한국 (KIPO)미국 (USPTO)일본 (JPO)
공개 시점18개월 후 자동 공개18개월 후 자동 공개18개월 후 자동 공개
심사청구 기한출원일 + 3년 이내자동 심사 (RCE 제도 활용)출원일 + 3년 이내
언어한국어영어일본어 (영문 출원 가능, 번역 필요)
특징심사 빠름, 실용신안 병행 가능Provisional 출원 제도, 소송 리스크 높음진보성 엄격, 번역 중요
주의사항기재 범위 초과 보정 불가청구항 작성 전문성 요구, 변호사 필수일본어 번역 정확도 필수

🎯 기업 특허 담당자 주의 포인트

  1. 한국 → “넓은 권리범위 확보 + 빠른 등록” 전략
  2. 미국 → “Provisional 활용 + 철저한 FTO + 전문가 청구항 작성”
  3. 일본 → “정확한 번역 + 진보성 강화 논리 준비”

P8. 한국 중소기업 특허 등록 과정 (기계 부품의 경우)

1. 시간 (출원 → 등록까지)

  • 출원 준비 (1~3개월)
    • 기술 아이디어 정리 → 선행기술조사 → 명세서/청구항 작성
    • 내부 엔지니어 + 외부 변리사 협업 필요
  • 출원 후 심사 절차
    • 출원일 확보: 서류 제출 즉시
    • 출원공개: 약 18개월 후 자동 공개
    • 심사청구: 출원일로부터 3년 이내 신청 가능
    • 실제 심사 착수까지 대기: 약 6~12개월
    • 심사→거절이유통지→보정/의견서 대응: 6개월~1년
    • 최종 등록: 평균 2~3년 소요

👉 중소기업 기계 부품 특허는 보통 2.5년 내외 소요되며, 신속심사 제도(중소기업·산업재산권 보호 필요성 인정 시)를 활용하면 6개월~1년 단축 가능.

2. 비용 (출원~등록)

  • 출원 단계
    • 명세서/청구항 작성 대리 비용: 약 200~500만 원 (난이도·청구항 수에 따라 변동)
    • 특허청 수수료(출원료): 약 4~6만 원
  • 심사 단계
    • 심사청구료: 청구항 수에 따라 15만~30만 원 내외
    • 보정/의견서 대응: 변리사 비용 50~150만 원/회
  • 등록 단계
    • 등록료(1~3년차): 약 5만~7만 원 (청구항 수 기준 가산)
    • 이후 매년/3년 단위 갱신료 증가 (유지관리 비용)

👉 총비용: 일반적으로 300만~800만 원 수준, 복잡한 기술·여러 차례 보정 시 1,000만 원 이상 가능

3. 인력 (중소기업 관점)

  • 내부 인력
    • 연구개발 엔지니어: 기술 설명, 도면 제공, 신규성/차별성 정리
    • 경영진/기획: 예산 승인, 특허 전략 방향 결정
  • 외부 인력
    • 변리사: 명세서·청구항 전문 작성, 거절 대응, 전략 컨설팅
    • 경우에 따라 특허검색 업체: 선행기술조사 위탁

👉 보통 내부 1~2명(엔지니어+관리자) + 외부 변리사 협업 구조

✅ 요약

  • 시간: 평균 2~3년 (신속심사 활용 시 1.5~2년)
  • 비용: 약 300만~800만 원 (복잡도에 따라 1천만 원 이상)
  • 인력: 내부 1~2명 + 외부 변리사 협업 필요

P9. KOITA 회원사 맞춤형 출원 주제 예시

1. 스마트 제조·자동화 부품 (특허/실용신안)

  • AI 기반 공정 제어, 로봇 팔 정밀 구동 부품, 예지정비 센서
  • 트렌드 반영: 스마트팩토리, AI-OT 융합
  • → 제조 장비 부품과 IoT 센서의 결합 아이디어는 신규성 확보에 유리

2. 친환경·ESG 소재 및 공정 (특허)

  •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 저탄소 배출 공정, 수소 저장 합금
  • 트렌드 반영: 탄소중립·지속가능 제조
  • → ESG 경영에 맞는 소재/공정은 정부 지원 과제와도 연계 가능

3. 소형·모듈형 기계 부품 (실용신안)

  • 기존 대형 장치 대비 모듈화된 소형 부품(예: 압축기, 펌프, 밸브)
  • 트렌드 반영: 경량화·다품종 소량생산 수요
  • → 조립·교체가 편리한 구조 개선 아이디어

4. 산업용 웨어러블 안전장치 (특허/디자인)

  • 작업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심박·피로·자세 센서 포함)
  • 트렌드 반영: 산업안전+IoT 융합
  • → 안전모, 장갑, 조끼 디자인 + 센서 결합 기술

5. 스마트 패키징·라벨링 시스템 (상표/디자인/특허)

  • QR/NFC 기반 추적 가능 포장재, 친환경 잉크·코팅
  • 트렌드 반영: 스마트 물류·ESG 포장 규제 강화
  • → 디자인권 + 상표권 병행 출원으로 브랜드 보호

6. 의료·헬스케어 기계 부품 (특허/실용신안)

  • 고령화 대응: 저가형 의료기기 부품, 재활보조 장치, 정밀 제어 기계 요소
  • 트렌드 반영: 바이오헬스·실버 산업
  • → 해외 진출 시 PCT 출원 전략 고려

7. 브랜드·상표 전략 (상표)

  • AI, 스마트, ESG, 그린, 리빙 등 미래 키워드를 접목한 상표 출원
  • 트렌드 반영: ESG·디지털 전환 브랜드 선점 경쟁
  • → 중소기업은 기술뿐 아니라 상표 확보로 시장 진입장벽 구축

8. 산업 디자인 차별화 (디자인)

  • 전기차 부품 외형, 스마트 가전, 산업 장비 UI·패널 디자인
  • 트렌드 반영: 기능+심미성 융합
  • → 제품 차별화, 수출 시장 진입에 유리

🎯 정리

최근 5년 트렌드 고려, 중소·중견 제조기업은 ① 스마트 제조·AI, ② 친환경·ESG, ③ 헬스케어·고령화 대응, ④ 브랜드·디자인 차별화 네 축을 중심으로 특허·실용신안·상표·디자인을 병행 출원하는 전략이 효과적


P10. 선행특허 사례의 효과적 검색법

1. 검색 목표 명확화

  • 왜 조사하는가?
    • 신규성 검토? (내 발명과 유사한 게 있는지)
    • FTO 분석? (시장 진출 시 타인 특허 침해 위험 여부)
    • 경쟁사 분석? (동종 업계 특허 동향 파악)
  • 목적에 따라 검색 키워드·범위·심화 정도가 달라짐

2. 키워드 전략 수립

  • 다양한 표현 고려
    • 한국어·영어·일본어 등 다국어 키워드
    • 기술 용어 + 동의어/약어 (예: “motor” / “actuator”)
  • 기능 중심 표현
    • 부품명만이 아니라 “작동 방식, 목적”으로도 검색
    • 예: “소음 감소 기어” → “gear noise reduction”
  • GPT 활용 팁:
    • 내 발명이 ○○인데, 선행특허 검색에 유용한 키워드 후보를 10개 제안해줘

3. 분류코드(IPC, CPC) 활용

  • 단순 키워드 검색은 잡음(irrelevant data)이 많음
  • **국제특허분류(IPC/CPC)**를 병행하면 정확도↑
  • 예: 기계 부품이라면 F16, H02, B23 등의 분류 코드 참조
  • KIPRIS·USPTO·J-PlatPat 모두 IPC 검색 지원

4. 검색 도구 병행 활용

  • KIPRIS (한국) → 국내 출원·등록 특허 확인
  • Google Patents → 전세계 특허+자동 번역
  • USPTO/PPUBS (미국), J-PlatPat (일본) → 주요 진출국 조사
  • 병행 검색으로 언어/국가 차이 보완

5. 단계적 검색 프로세스

  1. 넓게 검색: 기본 키워드, IPC 코드로 광범위 수집
  2. 필터링: 최근 5~10년, 주요 국가, 관련 업종 한정
  3. 핵심 추출: 요약/청구항 중심으로 유사도 높은 것만 정리
  4. 심층 분석: 실제 도면·설명 비교, 신규성·차별성 판단

6. 조사 결과 체계적 정리

  • 단순히 PDF 다운로드에 그치지 말고,
    • 엑셀/구글시트에 출원번호·출원인·발명의 명칭·요약·주요 청구항 정리
    • GPT에게 요약·표 작성 보조를 맡기면 시간 단축
  • 예:
    • 아래 특허 요약문을 표 형식으로 정리해줘 (번호, 발명명칭, 주요 청구항, 차별점)

7. 효율성을 높이는 팁

  • 검색 Query 저장/재사용: 매번 새로 입력하지 않고, 반복적으로 활용
  • 자동화 도구 활용: KIPRIS Plus API, Google Patents API + GPT 요약 → 워크플로우 구축
  • GPT 보조 활용:
    • 긴 청구항 요약
    • 유사 특허와 내 아이디어 비교 포인트 도출
    • 트렌드 분석(특허 다수 건 요약 → 주요 키워드 추출)

✅ 요약

  1. 검색 목적 명확히 → 신규성, FTO, 경쟁사 분석
  2. 키워드 + IPC/CPC 코드 병행 검색
  3. 국가별 검색 도구 병행 (KIPRIS, USPTO, J-PlatPat, Google Patents)
  4. 단계적 프로세스 (넓게 → 필터링 → 심층 분석)
  5. 정리·자동화·GPT 보조로 효율 극대화

P11. 실습자료: GPT, NotebookLM 기반 특허 리서치 및 출원 기획 워크북

주제 1. 특허 리서치 개요

  • 특허 리서치가 제조기술 기업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기존 방식과 GPT 기반 리서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우리 기업에서 최근 2년간 가장 주목한 특허 분야는 무엇인가?

주제 2. 특허 키워드 및 IPC 코드 탐색

  • 연구 주제와 관련된 핵심 키워드는 무엇인가?
  • GPT를 활용해 IPC 코드 분류를 어떻게 도출할 수 있는가?
  • 관련 키워드를 확장해 새로운 검색어를 제안해보자.

[프롬프트 1: 특허 키워드 탐색]

내 연구 주제는 “____(연구 주제 입력)”이다.
이 주제와 관련된 특허 검색 키워드와 IPC 코드 후보를 GPT 방식으로 도출해줘.

주제 3. 특허 문헌 요약 및 핵심 Claims 추출

  • 주요 경쟁사의 특허를 GPT로 요약했을 때 어떤 통찰을 얻을 수 있는가?
  • 특허 문헌에서 ‘청구항(Claims)’을 요약하여 얻을 수 있는 장점은?
  • 연구 아이디어와 유사한 Claims 사례는 무엇인가?

[프롬프트 2: 특허 요약 및 Claims 추출]

아래 특허 문헌의 초록/청구항을 간단히 요약하고, 핵심 Claims를 3줄 이내로 정리해줘.
(특허 문헌 텍스트 붙여넣기)

주제 4. 기술 트렌드 분석

  • 최근 3년간 제조기술 특허 트렌드에서 발견되는 키워드는?
  • GPT를 활용한 트렌드 분석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 트렌드 분석 결과를 R&D 전략에 어떻게 반영할 수 있을까?

[프롬프트 3: 기술 트렌드 분석]

지난 3년간 “____(기술명)”과 관련된 특허의 주요 기술 트렌드를 5가지로 요약해줘.

주제 5. 신규성 검토 및 유사 특허 판독

  • 신규성(노벨티) 검토를 위한 핵심 질문은 무엇인가?
  • GPT로 유사 특허와의 차별성을 어떻게 도출할 수 있는가?
  • 연구 아이디어가 기존 특허와 충돌하는 지점을 메모해보자.

[프롬프트 4: 신규성 검토]

내 아이디어는 “____”이다.
기존 특허와 비교했을 때 신규성이 있는 부분과 유사한 부분을 구분해 설명해줘.

주제 6. FTO(Freedom to Operate) 분석

  • FTO 분석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GPT를 통해 위험 특허를 빠르게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은?
  • 우리 기업의 제품 개발에서 FTO가 중요한 영역은 어디인가?

[프롬프트 5: FTO 분석]

내 아이디어 “____”를 상용화할 경우, 침해 위험이 있을 수 있는 특허 범위를 알려줘.

주제 7. 특허 출원 기획 및 청구항 초안

  • 연구 아이디어를 특허 문서로 구체화할 때 고려할 점은 무엇인가?
  • GPT가 작성한 청구항 초안은 어떤 장단점을 가지는가?
  • 우리 기업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간단한 청구항 예시를 작성해보자.

[프롬프트 6: 특허 청구항 초안]

내 연구 아이디어는 “____”이다.
이 내용을 기반으로 간단한 특허 청구항 초안을 3개 제안해줘.

주제 8. 특허 전략과 R&D 연계

  • 경쟁사의 특허 맵(Patent Map)에서 얻은 시사점은 무엇인가?
  • GPT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기업이 집중해야 할 R&D 방향은?
  • 향후 1년간 특허·R&D 통합 전략의 초안을 작성해보자.

[프롬프트 7: 특허 전략]

경쟁사 “____(회사명)”의 최근 특허 전략을 요약하고, 우리 기업이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해줘.


⚡ 실습 프롬프트 모음 (Copy & Paste 용)

아래 프롬프트를 그대로 복사해 붙여넣으면, 주제별 실습을 빠르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1: 특허 키워드 탐색]  
내 연구 주제는 “____(연구 주제 입력)”이다.  
이 주제와 관련된 특허 검색 키워드와 IPC 코드 후보를 GPT 방식으로 도출해줘.  

[프롬프트 2: 특허 요약 및 Claims 추출]  
아래 특허 문헌의 초록/청구항을 간단히 요약하고, 핵심 Claims를 3줄 이내로 정리해줘.  
(특허 문헌 텍스트 붙여넣기)  

[프롬프트 3: 기술 트렌드 분석]  
지난 3년간 “____(기술명)”과 관련된 특허의 주요 기술 트렌드를 5가지로 요약해줘.  

[프롬프트 4: 신규성 검토]  
내 아이디어는 “____”이다.  
기존 특허와 비교했을 때 신규성이 있는 부분과 유사한 부분을 구분해 설명해줘.  

[프롬프트 5: FTO 분석]  
내 아이디어 “____”를 상용화할 경우, 침해 위험이 있을 수 있는 특허 범위를 알려줘.  

[프롬프트 6: 특허 청구항 초안]  
내 연구 아이디어는 “____”이다.  
이 내용을 기반으로 간단한 특허 청구항 초안을 3개 제안해줘.  

[프롬프트 7: 특허 전략]  
경쟁사 “____(회사명)”의 최근 특허 전략을 요약하고, 우리 기업이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해줘.  

P12. 참고자료: 특허 선행조사 자동화 애플리케이션 기술명세서 (HTML·CSS·JS + Gemini API)

  • UI는 5단계 진행형 마법사(①목표정의 → ②키워드·IPC 도출 → ③도구별 검색링크 생성 → ④필터·랭킹·스크리닝 → ⑤요약·내보내기)로 구성하고, 상단 진행바·좌측 단계네비·우측 결과패널의 3영역 레이아웃을 순수 HTML/CSS(Grid/Flex)로 구현한다.
  • 자바스크립트는 ES 모듈로 app.js(라우팅/상태), gemini.js(API 래퍼), search.js(쿼리빌더·랭킹), export.js(CSV/JSON 내보내기), ui.js(토스트·로더·모달)로 분리하고, 상태는 sessionStorage와 인덱싱 가능한 in-memory 스토어로 관리한다.
  • Gemini APIgemini-1.5-pro(키워드 확장·IPC 제안·요약·유사성 코멘트)와 gemini-1.5-flash(실시간 프롬프트 보조)를 사용하며, 브라우저 fetch로 REST 호출(스트리밍 옵션)하고 API 키는 런타임 입력 후 sessionStorage에만 보관하며 서버 저장은 하지 않는다.
  • 단계별 프롬프트 템플릿을 내장해 ②에서 “발명 개요→다국어 키워드(동의어/약어) 20개·IPC/CPC 10개”, ④에서 “목록 텍스트→중복제거·유사도 스코어링·Top N 근거 코멘트”, ⑤에서 “선정 특허→핵심 청구항 3줄 요약+차별 포인트 5개”를 반환하도록 한다.
  • 검색 도구 연계는 스크래핑 없이 쿼리 URL 템플릿로만 제공하며(KIPRIS/Google Patents/USPTO/J-PlatPat), 사용자가 선택한 키워드·IPC로 각 도구 새 탭을 열고, 결과 메모는 앱 내 클리핑 패드에 붙여넣기→Gemini 요약 버튼으로 정리한다.
  • 랭킹·스크리닝은 사용자가 붙여넣은 후보들을 대상으로 **가중치 설정(연도·출원인·IPC 적합도·키워드 매칭)**과 간단한 텍스트 유사도(토큰 교집합/TF-IDF 유사도) 로컬 계산을 지원하고, Gemini의 코멘트를 설명가능성 태그로 첨부한다.
  • 내보내기는 표 스키마 {no, title, applicant, number, year, IPC, url, key_claims, diff_points, note}CSV/JSON 다운로드를 제공하고, ⑤단계에서 생성한 “조사 리포트(요약/핵심클레임/차별성/FTO 체크리스트)”를 Markdown→HTML로 변환해 프린트/복사 기능을 제공한다.
  • 오류·한도 대응은 레이트리밋 백오프·토큰 길이 경고·프롬프트 힌트를 표시하고, 접근성(ARIA)·반응형(모바일/데스크톱)·성능(Lighthouse 90+) 기준을 적용하며, 배포는 GitHub Pages/Vercel로 하고 환경변수는 런타임 입력만 허용한다.

데이터 수집 추천 우선순위

1. 공식 API 1순위

  • EPO OPS (Open Patent Services): 서지/요약/패밀리/법적상태(INPADOC)까지. 무료+키 발급, 쿼터 있으나 안정적.
  • WIPO PATENTSCOPE API: 다국어 초록·국제(PCT) 문헌 접근, 패밀리 탐색에 유리.
  • KIPRIS Plus API: 한국 특허/실용/디자인/상표. 국내 기업엔 필수 축.
  • The Lens API(유료/프리 티어): 전세계 커버리지+서지/인용 네트워크. 실무에 쓰기 편함.

2. 공개 벌크/오픈 데이터 2순위

  • USPTO Bulk Data (BDSS, PGPub/Grant XML, Patent Examination/PEDS): 대량 처리·로컬 인덱싱에 최적.
  • Google BigQuery Patent Public Datasets: 대화형 쿼리·프로토타입 분석에 좋음(스크래핑 아님).
  • EPO Global Patent Index(라이선스 필요): 기업용 심화 분석에 강력.

3. 보조·레퍼런스 3순위(링크 딥링크만)

  • J-PlatPat(일본), USPTO PPUBS, KIPRIS 웹, Google Patents:
    앱에서 딥링크만 생성(새 탭 열기) → 사용자가 원문 확인 후 복사/붙여넣기로 앱 내 요약.
    (직접 스크래핑 X: 약관·로봇규정 이슈 + 레이트리밋 위험)

권장 아키텍처 (바이브코딩 웹앱과 궁합)

  • 데이터 주입 레이어: EPO OPS + WIPO + KIPRIS Plus + USPTO Bulk/BDSS 커넥터
    • 실패/쿼터 초과 시 다른 소스 자동 폴백
  • 사용자 주도 딥링크: KIPRIS/Google Patents/USPTO/J-PlatPat 검색 URL 템플릿 생성 → 결과는 사용자가 복사 → 앱에 붙여넣기
  • 문헌 처리: 사용자가 업로드한 PDF/XML을 로컬 파서로 처리(GROBID/단순 XML 파서) → Gemini 요약·클레임 추출
  • 캐시/로그: 쿼리·결과 요약을 로컬 IndexedDB/SessionStorage 캐시(개인정보·영업비밀은 영구 저장 금지)

국가별 최소 구성(실무용 미니 스택)

  • 한국: KIPRIS Plus API (+ 웹 딥링크)
  • 미국: USPTO Bulk/BDSS(+ PEDS 메타) → 필요 시 The Lens API 보완
  • 일본: J-PlatPat은 딥링크, 본문은 WIPO/EPO 패밀리로 보완

기능 맵핑(웹앱 5단계와 데이터 소스)

  • ① 목표정의 → 내부
  • ② 키워드·IPC 도출 → Gemini
  • ③ 도구별 링크 생성 → KIPRIS/USPTO/J-PlatPat/Google Patents 딥링크
  • ④ 스크리닝·랭킹 → EPO OPS/WIPO/USPTO Bulk로 메타 수집·연도/인용/IPC 가중치
  • ⑤ 요약·내보내기 → PDF/XML 업로드+로컬 파싱 → Gemini 요약/클레임 압축

운영 팁(리스크·품질)

  • 쿼터 관리: OPS/WIPO 키 2개 이상, 지수적 백오프
  • 법적 준수: 각 API 약관 준수·출처 표기, 스크래핑 금지
  • 정확도: 여러 소스 교차검증(서지/패밀리/법적상태)
  • 보안: API 키는 런타임 입력, 서버 저장 금지

결론: 최종 추천

  • 기본 데이터 소스는 “EPO OPS + WIPO + KIPRIS Plus + USPTO Bulk” 조합 추천
  • 구글 특허·J-PlatPat·KIPRIS 웹은 스크래핑이 아니라 ‘딥링크 뷰어’로만 활용 권장
  • 이를 통해 바이브코딩 웹앱이 안정성·합법성·유지보수성 모두 확보 가능

P13. 전략적 특허 출원 “가출원 후 본출원” 전략

🔹 1. 개념 요약

구분내용
가출원(Provisional Application)기술 아이디어를 완전히 다듬기 전, 출원일 우선 확보를 위해 간단한 형태로 먼저 제출하는 제도
본출원(Non-Provisional Application)정식 명세서·청구항·도면 등을 보완하여 권리화 가능한 완성본으로 출원하는 단계
전략의 핵심“일단 출원일을 먼저 확보하고, 이후 기술을 다듬어 보완 출원한다.”

🔹 2. 전략의 기본 절차

① 아이디어 도출
   ↓
② 가출원 (Provisional) — 간략한 명세서로 출원일 확보
   ↓ (12개월 이내)
③ 본출원 (Non-Provisional) — 기술 보완·청구항 확정·도면 정리
   ↓
④ 심사청구 및 권리화
  • 가출원일이 본출원의 우선일(Priority Date) 이 됩니다.
  • 본출원은 가출원 후 12개월 이내에 반드시 제출해야 합니다.

🔹 3. 가출원의 특징

항목설명
형식 요건 완화청구항, 도면, 요약서가 없어도 가능 (아이디어 중심 기술설명문만으로 출원 가능)
심사 비대상가출원은 등록 심사 없이 단순 접수로 출원일만 확보
공개되지 않음본출원 이전까지는 비공개 상태 유지
우선권 인정본출원 시 가출원일을 기준으로 우선권 주장 가능

🔹 4. 전략적 장점 (기업 실무 관점)

구분전략적 이점
① 출원일 선점경쟁사보다 먼저 아이디어 보호 가능 — “아이디어 공개 전 방패막이”
② 개발기간 확보기술 완성도·성능 개선에 필요한 시간을 벌 수 있음
③ 기술 변경 유연성이후 본출원 시 구조·효과·도면을 수정 가능
④ 비용 분산초기엔 저비용(출원료만), 본출원 시에 상세 명세서 비용 부담
⑤ 사업성 검증 시간 확보기술 상용화 가능성·시장성 검토 후 본출원 여부 결정 가능

🔹 5. 전략적 활용 시나리오 예시

산업 사례가출원 활용 예시
반도체 장비 기업새로운 센서 제어 알고리즘 아이디어 단계에서 가출원 → 시제품 완성 후 본출원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신약 후보물질 가출원 → 임상데이터 확보 후 본출원
기계·소재 기업구조개선 아이디어 가출원 → 실제 제작/성능테스트 후 보완 출원
AI·SW 기업모델 아키텍처·데이터 처리 로직 가출원 → 서비스 MVP 완성 후 본출원

🔹 6. 주의해야 할 점

항목설명
① 본출원 기한 엄수12개월 이내 미제출 시 우선권 소멸 → 최초 출원일 효력 사라짐
② 신규 내용 추가 불가본출원 시 가출원에 없는 내용은 우선권 인정 불가
③ 해외출원 연결 시 주의PCT(국제출원) 또는 해외출원 시에도 12개월 규칙 동일
④ 비공개라 방심 금지외부 발표(논문·전시) 시 반드시 가출원일 이전에 제출해야 함
⑤ 가출원은 ‘불완전 명세서’ → 이후 반드시 전문 변리사 검토 필요

🔹 7. “가출원 → 본출원” 시 GPT 활용 포인트 💡

단계GPT 활용 아이디어
가출원 단계기술 개요를 요약해 “간단 명세서 초안” 자동 생성 (기술분야·배경·효과 중심)
개발 진행 중실험데이터·성능 향상점 기록 → GPT로 차이점 정리
본출원 단계가출원 문서와 비교하여 신규 추가·변경된 기술 요소를 목록화
명세서 보정GPT로 “가출원 대비 추가된 기술요소”를 자동 탐지하여 명세서 업데이트
팀 협업R&D + 특허 담당자 간 문서 리뷰용 요약 보고서 자동 생성

🔹 정리

항목내용
전략 목적아이디어의 조기 보호 + 기술 완성 후 정식 출원
기한 관리가출원 후 12개월 내 본출원 필수
비교가출원 = “시드 단계 보호”, 본출원 = “정식 권리화”
적용 추천 대상신기술 R&D 기업, 스타트업, 개발 기간 긴 제조기업
AI/GPT 활용명세서 초안·보정 문서 자동화, 기술 진화 기록 보조

결론

“가출원은 아이디어의 시점을 지키는 안전핀이고,
본출원은 그 아이디어를 완성된 권리로 바꾸는 핵심 단계다.”
— 빠르게 출원하고, 정확히 보완하라.


첫 포스팅: 25.09.29 / 포스트 문의: JUN (naebon@naver.com)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