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8.07 / JUN
ChatGPT의 최신 기능인 에이전트 모드(Agent Mode)는 기존 챗봇의 한계를 넘어 복잡한 다단계 작업을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작업 대행자(Task Agent)”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이고요, 재피어(Zapier) 같은 워크플로우 자동화 도구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어요.
에이전트 모드 작업결과: 다음은 Product Hunt의 “Top Products Launching Today”에서 코멘트 수와 라이크(업보트) 수가 높은 상위 10개 제품 목록입니다. 제품명, 간단한 설명, 코멘트 수, 라이크 수, 제품 페이지 링크를 정리했습니다.
ChatGPT 에이전트 모드란?
개요
- 사용자가 입력한 요청을 이해한 뒤, 작업 계획 → 도구 선택 → 단계 실행을 자동으로 수행
- API 호출, 파일 처리, 웹 검색, 코드 실행, 요약, 번역, 이메일 전송 등의 작업을 하나의 흐름 안에서 연결함
- 사용자의 과거 대화 맥락과 명령을 기억하고, 장기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상태 기반 메모리 및 목표 관리 기능 탑재 (예: 문서 정리 → 요약 → 이메일 첨부 후 전송)
예시 사용
- “내가 받은 이력서 파일들을 분석해서 요약해줘. 그리고 가장 적합한 후보자에게 인터뷰 일정 메일 보내줘.”
→ 파일 열기 → 요약 → 적합도 판단 → 이메일 전송까지 한 번에 자동 수행 가능
Zapier와 같은 워크플로우 자동화 도구와의 비교
항목 | ChatGPT 에이전트 모드 | Zapier / Make / n8n 등 |
---|---|---|
기반 구조 | LLM 기반 대화형 AI | 트리거-액션 기반 워크플로우 |
자동화 구성 방법 | 자연어 입력 (대화형 명령) | GUI 기반 플로우 구성 |
실행 능력 | 계획 수립 + 실행까지 AI가 자율적으로 처리 | 정해진 플로우에 따라 순차 실행 |
도구 연결 | OpenAI에서 제공하는 툴(브라우저, 코드 해석기, 파일 등) 및 API | 수천 개 외부 SaaS와 통합 가능 |
지능 수준 | 맥락 이해, 유연한 의사결정 가능 | 사전 정의된 조건과 로직 기반 |
학습/기억 능력 | 사용자 별 메모리 기능으로 맥락 기억 | 상태 기반 메모리 없음 |
예외 처리 | 추론을 통해 유연하게 대처 | 조건문/분기 처리를 별도로 설정해야 함 |
접근 방식 | 대화형 인터페이스 | 플로우 설계 중심의 GUI |
🧠 어떤 상황에 어떤 도구를 써야 할까?
상황 | 추천 도구 |
---|---|
반복적인 정형 작업 (예: Gmail → Slack 메시지 보내기) | Zapier, Make |
복잡한 맥락 처리 + 유연한 판단이 필요한 업무 | ChatGPT 에이전트 모드 |
코드 실행, 파일 처리, 요약, 분석, 이메일 전송 등 복합작업 | ChatGPT 에이전트 모드 |
외부 SaaS와의 대규모 연동/오케스트레이션 | Zapier + LLM 조합 (예: Zapier + GPT Plugin) |
📌 요약
ChatGPT 에이전트 모드는 “AI 개인 비서” 수준으로 발전 중이며, 기존 워크플로우 자동화 도구보다 훨씬 자율적이고 추론 중심입니다. 단, 아직은 제한된 도구들과 OpenAI 생태계 위주로 작동하기 때문에, 복잡한 SaaS 연동이 필요할 경우엔 Zapier 등의 기존 도구와 병행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포스트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첫 포스팅: 25.08.07 / 포스팅 문의: JUN (naebo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