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분석 | AI를 활용한 실용신안 출원 자동화 실무 (IP-GPS 선행특허 조사 앱 활용)

25.10.25 / JUN (naebon@naver.com)

지난 KOITA ‘AI를 활용한 특허 리서치 & 출원 준비 자동화’ 교육 과정에서 소스코드를 공유한 IP-GPS (IP GPT Search v1.0) 선행특허 조사 앱을 이용하여 NXP가 빌드한 또 다른 앱 – PassNova 정보보안 애플리케이션의 실용신안 출원 준비를 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IP-GPS 선행특허 조사
https://vibe-1024-koita-patent-search.vercel.app/

IP-GPS 선행특허 조사 https://vibe-1024-koita-patent-search.vercel.app/

1단계. GPT와 발명 개요 정리

특허 또는 실용신안 출원을 준비하기위해 나의 발명 주제 또는 기술 아이디어에 해당하는 CPI, CPC 그리고 기술키워드 검색을 준비합니다.

IPGPS (IP GPT Search v1.0) 선행특허 조사 앱: 1. 목표정의

1.1 나의 기술적 아이디어를 특허로 출원하기 위해, 가장 먼저 선행특허 조사를 시작합니다. 우선 조사의 목표를 정의합니다.

굿모닝 지피티.

지난주에 만든 PassNova 앱에 대한 실용신안을 출원하려 해.
https://vibe-251020-passnova-v1-production.vercel.app/

실용신안을 출원을 위해 PassNova 앱에 대한 아래 내용을 작성해줘

  • 발명의 명칭 *
  • 기술분야
  • 발명의 목적
  • 발명의 요약 *

1.2 선행특허 조사 목표는 보통 발명의 명칭, 발명의 요약 등 네 가지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러분의 GPT와 상의하며 초안을 작성하세요.

1.3 선행특허 조사의 목표 정의 내역을 입력합니다.

IPGPS (IP GPT Search v1.0) 선행특허 조사 앱: 1. 목표정의 발명의 명칭 등 텍스트 입력

1.4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OpenAI API 키 입력 요청이 나타납니다. 이 키를 입력하면 GPT가 여러분의 특허 출원 작업을 본격적으로 돕게됩니다. 여러분의 OpenAI API 키를 입력합니다.

OpenAI API 키 생성 (초기 토큰 소모시 $10 수준의 결제 필요)
https://platform.openai.com/api-keys

IPGPS (IP GPT Search v1.0) 선행특허 조사 앱: 설정 OpenAI API 키 입력

🧩 PassNova 실용신안 출원 초안

1️⃣ 발명의 명칭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형 인공지능 비밀번호 생성 장치 및 방법
(영문: AI-based Secure Password Generation System for User Privacy Protection)


2️⃣ 기술분야

본 고안은 정보보안 및 인증관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서버에 비밀번호를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의 브라우저 환경 내에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해 고안전도의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웹기반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 발명의 목적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비밀번호가
외부 서버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으면서도
안전성·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1)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임의성이 높은 문자열을 생성하고,
(2) 사용자 단말기 내부에서만 실행·표시되며,
(3) 비밀번호 생성 횟수 및 사용 내역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프라이버시 중심의 비밀번호 생성·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4️⃣ 발명의 요약

본 고안은 인공지능 모델 또는 난수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 내에서 보안성이 높은 비밀번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웹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다음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① 비밀번호 생성 모듈(AI 알고리즘 기반 문자열 생성부),
②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비밀번호 길이·복잡도·색상 테마 선택부),
③ 보안 안내 모듈(“생성된 비밀번호는 서버에 저장되지 않음” 알림부),
④ 사용량 관리 모듈(비밀번호 생성 횟수 및 일일 사용량 표시부).

본 고안에 따르면, 비밀번호 생성 과정이 전적으로 사용자 브라우저 또는 앱 내부에서 수행되어,
외부 전송·저장이 차단되며,
비밀번호 생성 이력과 시각적 안내를 통해 사용자 신뢰성 및 데이터 주권을 강화할 수 있다.


2단계. 키워드 및 IPC 도출

나의 기술에 해당하는 특허 키워드 생성 결과

한국어 키워드

  • 인공지능 모델
  • 비밀번호 생성
  • 난수 생성 알고리즘
  • 클라이언트 사이드 웹 애플리케이션
  • 보안성
  • 사용자 단말기
  • 비밀번호 길이
  • 비밀번호 복잡도
  • 사용자 인터페이스
  • 보안 안내
  • 데이터 주권
  • 비밀번호 생성 모듈
  • 사용량 관리
  • 시각적 안내
  • 신뢰성
  • 서버 저장 방지
  • 모듈화
  • 웹 보안
  • 자동 생성
  • 사용자 경험

영어 키워드

  •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 password generation
  • random number generation algorithm
  • client-side web application
  • security
  • user device
  • password length
  • password complexity
  • user interface
  • security notification
  • data sovereignty
  • password generation module
  • usage management
  • visual guidance
  • trust
  • server storage prevention
  • modular design
  • web security
  • automatic generation
  • user experience

일본어 키워드

  • 人工知能モデル
  • パスワード生成
  • 乱数生成アルゴリズム
  • クライアントサイドWebアプリケーション
  • セキュリティ
  • ユーザー端末
  • パスワードの長さ
  • パスワードの複雑さ
  •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 セキュリティ通知
  • データ主権
  • パスワード生成モジュール
  • 使用量管理
  • 視覚的ガイダンス
  • 信頼性
  • サーバー保存防止
  • モジュラー設計
  • Webセキュリティ
  • 自動生成
  • ユーザーエクスペリエンス

IPC 코드

  • G06F
  • H04L

CPC 코드

  • G06F16/00
  • H04L29/00
  • G06F21/00
  • G06F17/30
  • H04L9/00

3단계. Google Patents 등에서 해당 키워드, 코드에 대응하는 개별 특허 검색

나의 기술 주제, 특허와 연관성,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선행특허 선택, 메모장에 정리 후 화면 하단 특허 추가 모듈에 입력


4단계. 특허 스크리닝 및 랭킹 – 사용자가 선정하고 추가한 유사 특허 비교 분석

GPT가 특허 전문가 관점에서 각 특허와 내가 목표로 하는 특허의 기술적 유사성, IPC 적합도, 청구항 범위를 종합분석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순위를 매깁니다.

이번 IPGPS v1에서 사용하는 가중치는 키워드, IPC, 출원연도, 출원 내용 전반의 유사도 등 네 가지로 구성되며, 사용자는 가중치를 조정하며 선행특허를 새로운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습니다.

  • 키워드 매칭 (30%)
  • IPC 적합도 (30%)
  • 연도 가중치 (20%)
  • 유사도 (20%)

5단계. 선행특허 조사 요약 리포트 생성

지금까지 조사한 내용을 요약하여 선행특허 조사 리포트를 생성합니다.


작성중입니다. / 첫 포스팅: 25.10.25 / 포스트 문의: JUN.NXP (naebon@naver.com)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