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X 업무자동화 | 유튜브 수익배분 정책 변화를 반영한 유튜브 채널 운영 및 자동화 전략

25.08.15 / JUN

목차

  • P2. 유튜브 정책 변화를 반영한 유튜브 채널 자동화 전략
  • P1. 클래스101 유튜브 자동화 강의제안 받고, 기존 채널 운영방식 회고, 개선 착수

P2. 유튜브 정책 변화를 반영한 유튜브 채널 자동화 전략

최근 저의 채널중 구독자 7500여명, 월간 30~50만뷰, 누적 1000만뷰 채널의 시청수익이 계속 ‘0원’이라는 사실이 이상해서 저의 계정 설정을 포함 다각도로 조사한 결과, 해당 채널 수익이 0원인 것은 당연한 일이었고, 현행 유튜브 정책상 앞으로도 0원을 벗어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잠정결론을 얻게 됐습니다.

이는 저같은 초보 유튜버의 문제가 아니라, 수년의 경력이 있는 유튜버가 운영 편당 수십 시간의 제작 시간과 다수의 제작 인력을 투입해서 만든 영상으로도 현행 유튜브 시청 수익 분배 조건에 따르면 수익 분배를 전혀 받을 수 없거나 한달에 백만원 벌이도 힘든 상황이 됐다는 점에서 비즈니스 채널로서 유튜브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이시각 테크월드’ 영상 제작 준비를 하며 와이어드, 테크크런치, 인가젯 등 글로벌 유수의 테크 미디어 채널별 30일내 최다 조회수 영상을 살펴본 결과 조회수가 1만회에서 3만회가 대부분이었고 5개 영상중 1개 영상의 비율로 10만회에서 30만회의 조회수를 기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요, 이는 해당 글로벌 미디어조차도 유튜브 시청수익(광고수익)이 거의 0원에 수렴한다는 의미입니다. (테크 부문 최상위 유튜버 mkbhd만 수익 분배 가능)

JUN’s Youtube Deep Search 01 Channel TOP5

  • Cursor와 Youtube Data API를 활용한 유튜브 채널 인기 영상 추천
  • 아래 유튜브 채널을 복사해서 폼에 입력해보세요.
  • https://www.youtube.com/@theverge
  • https://www.youtube.com/@InsiderTech
  • https://www.youtube.com/@TechCrunch
  • https://www.youtube.com/@CNET
  • https://www.youtube.com/@WIRED
  • https://www.youtube.com/@BloombergTechnology
  • https://www.youtube.com/@mkbhd
  • https://www.youtube.com/@ColdFusion
  • https://www.youtube.com/@Engadget
  • https://www.youtube.com/@TED

채널별 최다조회수 영상 TOP5

만약 유튜브로부터 시청 수익을 받기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 됐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튜브의 효용이 있다고 믿는 콘텐츠 제작자의 유튜브 채널 운영 목적, 영상 제작 방식, 연출 방식은 어떻게 변해야 할까요?

  • 지금의 유튜브 생태계는 시청 수익 기반 광고 모델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채널 운영이 점점 어려워지는 구조로 변화
  • 특히 테크, 다큐, 탐사, 분석형 콘텐츠처럼 편당 제작비와 시간이 많이 드는 장르는 더 큰 위기
  • 지금은 전략적 전환이 필요한 시점

🎯 1. 유튜브 운영 목적 재정의

❌ [과거 목표]

  • 조회수 → 시청 수익 확보 (Ad Revenue 중심)
  • 구독자 수 → 파트너십/수익성 제고

✅ [미래 목표]

  • 콘텐츠 자산을 활용한 확장성과 영향력 확보
    • 영상은 브랜드·사업·IP 확장을 위한 트래픽 유도 도구
    • 영상 자체로 수익을 내기보다, 다른 비즈니스로 이어지는 다리로 인식해야 함

예시:

목적구체화
💡 브랜드 구축블로그/뉴스레터/제품 소개를 자연스럽게 삽입
🛍 유입 창구마이크로 SaaS, 책, 강의, 컨설팅 등 유입 유도
🧠 전문성 강화업계 인터뷰, 도구 리뷰, 트렌드 분석 → Thought Leader 역할 강화
📧 팬 커뮤니티후원, 이메일 리스트, Discord 서버 등으로 연결

🎥 2. 영상 제작 방식 전환 (Low Effort → High ROI)

✅ 핵심 전략: “편당 2~3시간 투자 vs 적중도 높은 형식”

전통 제작 방식전략적 전환 방식
대본·촬영·편집에 수십 시간스크립트 자동 생성 + B-roll 활용 중심
완성도 높은 영상 1편주제 변형 3~5개 영상 클러스터화
내레이션 직접 녹음AI 음성·TTS 툴 활용 (ex. ElevenLabs)
오리지널 컷 위주 촬영영상소스 재활용 (공개자료 + 유료소스)

💡 예:

  • ‘이시각 테크월드’: 한 기사에서 3가지 주제로 나눠 3편의 쇼츠 생성
  • AI 기반 BGM/보이스/자막으로 편당 2~3시간 내 제작 완료
  • 고퀄 인트로는 템플릿으로 고정시켜 제작 시간 최소화

🎬 3. 연출 방식의 전환 – ‘브랜디드 쇼츠’ 중심

✅ 변화 방향 요약

기존 방식변화 방향
긴 포맷, 독립 주제 영상짧은 시리즈 쇼츠, 에피소드 연재
논문/기사 해설 중심“이게 지금 왜 중요한가?”로 바운스
영상 내 광고 지양매회 CTA 자연 삽입 (링크, 무료 PDF, 뉴스레터 유도 등)

🎯 쇼츠 구조 추천 (예시: “이시각 테크월드” 시리즈 기준)

[0:00~0:03] 제목형 오프닝 (임팩트 키워드 강조)
[0:03~0:15] 핵심 이슈 1줄 요약 + 현장 이미지
[0:15~0:30] 관련 기업/기술/인물 소개
[0:30~0:45] 주요 인용 + 향후 이슈 전망
[0:45~0:60] CTA: "더 알아보기 → 설명란 링크"

💡 4. 수익 모델을 수직 통합 구조로 전환

수익은 유튜브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유튜브로부터 연결되는 구조로 만드세요.

전략설명예시
🧠 교육 콘텐츠화강의, 클래스101, Notion 템플릿 등 유료 콘텐츠“테크 트렌드로 배우는 비즈니스 전략”
🛠 마이크로 SaaS 연계콘텐츠 기반 유틸리티 SaaS 제공뉴스 큐레이션 요약 SaaS, 영상 자동화 템플릿
📰 뉴스레터·PDF 유도핵심 요약 자료를 구독 기반으로 제공“주간 테크 리포트” 구독자 전환
🤝 브랜드/후원 연계영상 속 제품 협찬, 제작지원 유도Notion, Figma, Supabase, x.com 등 타겟 맞춤 제휴
💬 멤버십 유도비하인드 영상, 뉴스 요약, 사전공개 등 제공“JAY’s Radar Club” 같은 유료 커뮤니티

📌 마무리 제언

유튜브는 더 이상 ‘광고 수익 플랫폼’이 아닙니다.
이제는 **’콘텐츠 기반 유입 플랫폼’**으로 재정의하고,
단일 수익 모델이 아닌, 다채널 전환 구조를 설계하세요.


P1. 클래스101 유튜브 자동화 강의제안 받고, 기존 채널 운영방식 회고, 개선 착수

클래스101으로부터 AI 기술을 이용해서 유튜브 채널을 성장시키는 클래스 개설을 제안받았습니다. 사실은 총 세 개의 제안이 왔는데 난이도 높은 도전을 하는 쪽으로 마음이 기울었습니다.

🎓 클래스101의 강의 제안 중 나의 선택

‘크리에이터 채널, 데이터로 성장하는 자동화 실전의 모든 것!’

1부. 크리에이터에게 데이터 분석과 자동화가 필요한 이유

  • 크리에이터의 성장을 결정짓는 데이터란?
  • 유튜브/인스타/숏폼별 대표 KPI 이해
  • 자동화가 채널 운영에 미치는 영향

2부. 채널 데이터 수집과 정리 실습

  • 내 채널 데이터 어떻게 뽑을까?
    • 유튜브 스튜디오/인스타 인사이트 활용법
    • 크롤링 및 API 기초 소개
  • 엑셀/구글시트로 데이터 정리하기
  • 시각화 기초 (간단한 차트 실습)

3부. 데이터 분석을 통한 채널 성장 전략 수립

  • 조회수·구독자·수익 분석 실습
  • 팬 유형별 전략 (구독자 유지 vs 신규 유입)
  • ChatGPT로 콘텐츠 전략 요약하기
  • AI 기반 인사이트 도출 예시

4부. 반복업무 자동화 실습

  • 썸네일 등록, 영상 업로드 자동화 (예: Zapier + Google Drive 연동)
  • 자동 리포트 생성 후 이메일 전송
  • 나만의 자동화 운영 플랜 설계 실습

🎯 수강 후 기대 효과

  • 실시간 채널 상태를 파악하고 KPI 개선 방향 도출
  • 반복 업무 시간 최소화 → 콘텐츠 제작에 집중 가능
  • 내 채널 맞춤형 데이터 자동화 솔루션 설계 가능

‘현명한 투자자의 AI’ 채널 개설

저는 이미 7400명 구독자 채널과 1800명 구독자 채널이 있었고, 그런 규모의 구독자를 얻는데 1년, 3년씩 걸렸던 기억이 있어서 어떻게든 기존 채널 중 하나를 활용하려했으나, 그간의 관리 방식이나 주제에 변화를 주고 싶어서 (지피티가 강하게 신규 개설을 권하는 바람에) 새로운 채널을 개설하는 것으로 챌린지를 시작했습니다.

‘현명한 투자자의 AI’ 채널은 투자 입문자를 위한 투자 지식을 제공하고 투자 의사결정을 돕는 AI 도구의 활용 방법을 소개하는 채널입니다.

임시로 사용할 채널 아이콘은 핀터러스트에서 빌려오고, 채널 운영자 이름은 ‘제이’로 했습니다.

이 채널에는 예전에 올렸던 손홍민-토트넘 경기 분석 영상이 하나 있었고, 이 때 구독자 네 분이 가입해 주셨는데 채널 리뉴얼을 위해 기존의 유일한 영상을 삭제했습니다.

오늘은 커리큘럼 작성해서 클래스101에 보내고 첫 영상도 기획합니다.


이 포스트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 첫 포스팅: 25.07.28 / 포스트 문의: JUN (naebon@naver.com)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