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산업의 AX 전략: 팔란티어, 안두릴, 록히드마틴 비교

2025.07.06 / 넥스트플랫폼 동준상 프로

이번 포스트에서는 글로벌 첨단 방위산업에서 주목받는 팔란티어 (Palantir Technologies), 안두릴 (Anduril Industries), 록히드마틴 (Lockheed Martin)의 특징, 대표 제품/서비스, 주요 계약, 한국과의 관계, AX 적응전략, 기업가치에 대해 알아봅니다.

목차

  • 1부. DefenseTech 글로벌 방산 리더: 팔란티어, 안두릴, 록히드마틴 비교
  • 2부. 팔란티어, 안두릴, 록히드마틴의 AX 전략 비교
  • 3부. 팔란티어, 안두릴, 록히드마틴의 사업구조, 성장성, 기업가치 비교
  • 4부. 투자메모: DefenseTech 3개 핵심 기업 Palantir, Anduril, Lockheed Martin 비교

1부. 글로벌 방산 리더: 팔란티어, 안두릴, 록히드마틴 비교

비교 분석 요약

항목Palantir TechnologiesAnduril IndustriesLockheed Martin
설립연도200320171995 (Lockheed + Martin Marietta 합병)
주요 영역데이터 분석, 정보통합, 국방 AI자율무기, 감시, 국경보안전투기, 미사일, 위성, 방산 전반
대표 제품/서비스Palantir Gotham, FoundryLattice OS, Ghost Drone, Sentry TowerF-35, Aegis, HIMARS, PAC-3
2024 매출약 $2.2B비공개 (2023년 추정 $300M+)약 $67B
미국 정부 주요 계약CIA, DoD, HHS, CDC, IRS, ICE 등CBP, DoD, SOCOM, DARPADoD, NASA, USAF, NAVY 등 다수
한국과의 협력한화시스템과 협업, 국방부 시범사업한국정부와 공식 협력은 미공개KF-21 사업 협력, PAC-3 도입 등
기술 강점대규모 데이터 통합과 AI 기반 의사결정AI 기반 자율 방위 시스템최첨단 무기체계와 글로벌 군수 공급망

팔란티어 (Palantir Technologies)

  • 주요 특징:
    • CIA의 투자기관 In-Q-Tel이 초기 투자.
    • 데이터 분석 및 운영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의 선도주자.
    • 민간-공공 부문 모두에 진출.
  • 주요 제품:
    • Palantir Gotham: 군, 정보기관용 데이터 분석 플랫폼.
    • Foundry: 민간/산업용 데이터 통합 플랫폼.
    • AI Platform (AIP): LLM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 에이전트 시스템.
  • 미국과의 주요 계약:
    • 미국 국방부, 육군, 해병대, CIA, NSA, ICE, FBI 등과 수십억 달러 규모 계약.
    • 2023~24년 미 국방부 JAIC와 AI 관련 계약 다수 체결.
  • 한국과의 관계:
    • 한화시스템과 협력 (2023): AI 기반 국방 시스템 공동 연구.
    • 국방부의 전시상황 대응 플랫폼 개발 시범사업 수행.
    • 한국 내 디지털 정부, 에너지, 금융 부문으로도 확장 시도.

안두릴 (Anduril Industries)

  • 주요 특징:
    • Oculus 공동 창업자 Palmer Luckey가 설립.
    • 신생 방산 스타트업 중 가장 빠른 성장세.
    • 전통 방산이 아닌 실리콘밸리 기술 기반 방산 혁신 기업.
  • 주요 제품:
    • Lattice OS: 자율 방산 플랫폼 (센서, 드론, AI 통합)
    • Ghost 4 Drone: 군용 AI 드론
    • Sentry Tower: 국경 감시 센서타워
    • Dive-LD: 자율 해저 무인기
    • ALTIUS Loitering Munitions: 자폭 드론 무기
  • 미국과의 주요 계약:
    • 국토안보부(DHS) 및 국경수비대(CBP)와 국경 감시 프로젝트.
    • 미군 특수작전사령부(SOCOM), 해병대, 해군, 공군 등과 자율 드론 및 감시 시스템 계약.
    • DARPA, DIU와도 여러 개발 프로젝트 진행.
  • 한국과의 관계:
    • 공식적인 파트너십/계약 정보는 미공개.
    • 한국 방산기업들과 기술 협력 논의는 있었으나 실현 여부 불분명.
    • UAV 및 해상 감시, 자율 방위 분야의 협력 잠재력 존재.

록히드 마틴 (Lockheed Martin)

  • 주요 특징:
    • 세계 최대 방위산업체 (미국 군사계약 1위).
    • 거의 모든 무기체계에 관여 (항공기, 우주, 미사일 등).
    • 보잉, 레이시온과 함께 미국 국방산업의 주축.
  • 주요 제품:
    • F-35 전투기: 세계 최첨단 스텔스 전투기.
    • PAC-3 미사일: 한국 포함 다수 국가에서 운용.
    • HIMARS: 고속기동 로켓 시스템.
    • Aegis Combat System: 해상 요격시스템.
    • Orion Capsule, GPS 위성: 우주 프로그램에도 참여.
  • 미국과의 주요 계약:
    • 미국 국방부와 연간 수백억 달러 규모 계약.
    • F-35 글로벌 파트너십 국가 다수.
    • NASA와 우주 탐사, 위성 프로젝트 협력.
  • 한국과의 관계:
    • F-16, F-35 전투기 도입.
    • KF-21 국산 전투기 공동개발에서 일부 기술 참여.
    • PAC-3, Aegis, M-TADS 등 한국군 도입 장비 상당수.
    • 한화, LIG넥스원 등과 군수분야 협력 확대 중.

정리 및 한국과의 관계

항목시사점
팔란티어디지털 정보전, 국방 AI, 정보융합 플랫폼이 필요한 국가(한국 포함)에 유용함. 민간 확장성도 강점.
안두릴방위 산업의 실리콘밸리식 접근. 자율무기·드론·센서 기술이 한국군의 미래형 무기체계와 시너지를 낼 수 있음.
록히드마틴검증된 글로벌 방산 플랫폼. 무기 도입뿐 아니라 산업 협력과 기술이전 측면에서도 중요 파트너.


2부. 팔란티어, 안두릴, 록히드마틴의 AX 전략 비교

1. Palantir Technologies: “AI 기반의 운영 체계”

전략 개요:

  • **AI를 기반으로 하는 조직 운영 인프라(Operating System for AI)**를 구축.
  • LLM 기반의 AI Agent + 데이터 플랫폼을 융합한 형태로 고도화.
  • 공공 및 민간 부문 모두에서 AI 거버넌스 + 신뢰성 확보를 전략 목표로 삼음.

주요 전략:

  • Palantir AIP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 LLM을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안전하게 도입할 수 있는 통합 운영 플랫폼.
    • 비정형/정형 데이터를 통합하여 GPT 등 AI 모델이 실시간 의사결정을 지원.
    • 사용자 맞춤형 에이전트 생성, 액세스 제어, 추론 감사기록 등 포함.
  • 모델 불문 전략 (Model-Agnostic):
    • OpenAI, Anthropic, Cohere, 자체 LLM 등 어떤 모델이든 연결 가능.
  • 고객의 데이터 주권 확보:
    • 고객이 모델 학습 없이도 데이터 자산을 활용할 수 있게 함.
    • 보안과 규제 준수를 전제로 하는 ‘AI on your terms’ 전략.

사례:

  • 미 육군, 공군, 해병대, CDC, NASA 등이 AIP를 도입해 작전, 의료, 공급망에 AI 적용.
  • Morgan Stanley 등 금융사에서도 AIP를 통해 AI 기반 투자분석 자동화 진행 중.

2. Anduril Industries: “AI-Native 방산기업”

전략 개요:

  • AI가 무기 자체의 두뇌가 되는 형태.
  • 전통적인 방산 시스템 설계가 아닌, 소프트웨어 중심의 AI 무기 개발.
  • 실시간 상황 인지, 판단, 행동까지 전 과정에 AI 내재화.

주요 전략:

  • Lattice OS:
    • 드론, 센서, 감시장비, 함정, 탱크 등 다양한 시스템을 하나의 AI 통합 운영체계에서 제어.
    • 센서-결정-행동 루프를 자동화하여 실시간 전장 인식/대응.
  • Autonomous Systems:
    • Ghost 4 드론, Sentry Towers, Dive-LD 해저 무인기 등은 모두 자체 AI 에이전트 내장.
    • 온보드 AI + 클라우드 AI를 결합하여 빠른 전술 의사결정 가능.
  • 디지털 트윈 및 시뮬레이션 중심 개발:
    • 무기체계 설계 초기부터 AI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개발.

사례:

  • 미 해병대와 협력하여 무인 전술 드론 + AI 센서망 구축.
  • 우크라이나 및 국경 감시 프로젝트에서 AI 기반 자동 탐지/경고 시스템 활용.
  • AI 주도 국방 ‘Kill Chain’ 완성을 위한 다양한 자율 무기 개발 진행 중.

3. Lockheed Martin: “AI 강화형 방위 플랫폼 기업”

전략 개요:

  • 전통적인 무기 플랫폼에 AI 기능을 점진적으로 내장.
  • 인간-기계 협업 강화AI 기반 미션 최적화가 핵심 전략.
  • 개방형 AI 생태계(Open Architecture AI Framework) 지향.

주요 전략:

  • AI/ML 개발자 도구 세트: Hydra, VISTA, Open Mission Systems (OMS):
    • Lockheed 무기체계에 AI 모델을 플러그인처럼 탑재 가능하게 함.
  • Skunk Works + AI 연구소 (AI21):
    • 자율 비행, AI 항공 전술 시뮬레이션, 위성 이미지 분석 등의 AI 고도화.
  • Joint All-Domain Command and Control (JADC2) 전략 참여:
    • 공·해·육·우주·사이버 전장에서 AI를 활용한 실시간 정보 통합, 판단, 공격 수행.
  • AI 훈련 시뮬레이터 및 디지털 트윈:
    • F-35, HIMARS 등의 훈련 체계에 AI 기반 시뮬레이션 도입.
    • 정비 및 예지보수에도 AI를 도입해 운용 효율성 향상.

사례:

  • F-35의 AI 기반 전투 지원 시스템 개발 진행 중.
  • DARPA와 AI 항공전 지능 시뮬레이터 공동 개발.
  • 美공군과 AI 기반 전술지휘 네트워크 (ABMS) 개발 협력.

비교 요약

항목PalantirAndurilLockheed Martin
AI 역할데이터 분석 + LLM 기반 운영 시스템자율 무기, 상황 인식 및 전술 판단전통 무기체계에 AI 기능을 내장
전략적 방향LLM 기반 의사결정 에이전트AI 자체가 무기 시스템인간-기계 협업 최적화
강점데이터 거버넌스, 보안, 통합성실시간 판단, 자율작전 능력글로벌 공급망, 시스템 통합 역량
고객 중심정부/기업의 디지털 전환국방/국경 보안/정보기관군수/정부기관의 무기 조달

방산 선도 기업의 AX 전략의 시사점

  • Palantir: 디지털전환 + LLM 전략을 통해 AI 시대의 “두뇌” 역할 목표
  • Anduril: AI 그 자체가 무기인 시대를 선도하며, 실시간 반응성과 자율성에초점
  • Lockheed Martin: 기존 무기 시스템에 AI를 통합하는 점진적 전략으로 신뢰성과 규모 확장성에 무게

3부. 팔란티어, 안두릴, 록히드마틴의 사업성과, 재무상태, 기업가치

팔란티어(Palantir), 안두릴(Anduril),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은 모두 방위산업에 속한 디펜스 테크기업이지만, 사업 구조와 성장성, 투자 접근성, 그리고 시장 평가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구분팔란티어 (PLTR)안두릴 (Anduril)록히드마틴 (LMT)
상장 여부상장 (NYSE: PLTR)비상장상장 (NYSE: LMT)
주요 사업데이터 분석, AI 소프트웨어AI+드론 등 하드웨어+소프트웨어전투기, 미사일 등 전통 방산
시가총액약 2,200억 달러(2025.6)약 305억 달러(2025.6, 비상장)약 1,100~1,350억 달러(2025.3)
PER300배(프리미엄)비상장, 매출 대비 28배 가치20배(전통적 방산)
최근 주가60달러(2025.3, 사상 최고치)– (비상장)570달러(2024.3)
성장성연매출 30% 성장, 고객 39% 증가최근 6개월간 기업가치 2배↑연 8~10%대 성장
투자접근매수 가능(비상장 기업)매수 가능
팔란티어, 안두릴, 록히드마틴의 사업 구조, 성장성, 투자 접근성 비교표

1. 팔란티어의 최근 3년간의 사업 동향

팔란티어 주가흐름 2024~2025.07

Palantir Technologies의 최근 3년(2022–2024년 기준) 동안의 미국 정부와의 주요 계약, 매출 및 순이익, 그리고 기업가치 흐름 정리

1.1 미국 정부와의 주요 계약 (2022~2025)

  • Defense Department Maven Smart System AI 계약
    • 2024년 5월, 미 국방부(DoD)는 Palantir에 5년, 약 4.8억 달러 규모 IDIQ(무기한·비정기 계약) 계약을 체결
    • 2025년 5월, 해당 계약 규모가 약 7.95억 달러 규모로 확장됨 .
  • Space Force Space C2 데이터 플랫폼
    • 2.178억 달러 규모의 납품 주문을 수주하며 Space Force 지원 강화
  • ICE(이민·세관단속국) ICM 시스템
    • 2025년 4월, ICE로부터 3천만 달러 규모의 계약 갱신 수주
  • NATO Maven Smart System
    • 2025년 3월, NATO가 Palantir의 Maven 시스템 도입하여, 북대서양 동맹군 AI 역량 강화
  • Accenture 연계 연방 AI 통합
    • 2025년 상반기, Accenture Federal Services와 협력하여 연방 정부 AI 도입 확산 계획, 직원 1,000명 대상 Palantir AIP 교육 진행

1.2 매출 및 순이익 흐름 (2022~2024)

연도매출 (Billion USD)순이익 (Million USD)
20221.906 B–374 M (적자)
20232.225 B (+16.8%)+210 M (흑자 전환)
20242.866 B (+28.8%)+571 M (추정, TTM)
  • 2025년 3월 TTM(최근 12개월) 기준으로 매출 약 31.15억 달러, 전년 대비 +33% 성장
  • 2022년 적자에서 2023년 흑자 전환, 2024‑25년 TTM 기준으로 영업·순이익 확대 중.

1.3 기업가치 흐름

  • 상장 이후 주요 이벤트:
    • 2020년 9월 NYSE를 통한 DPO 상장.
    • 2024년 9월 S&P 500 편입, 이후 2024년 9월~2025년 초까지 주가 약 250–269% 급등 .
    • 2025년 현재 시가총액은 약 1,340억 달러, 주가는 $134 수준 .
    • 2025년 1월 이후 주가 +82% 상승 추세 .

1.4 요약 & 분석

성과 요약
  • 매출은 최근 3년 간 연평균 약 25–30% 성장.
  • 순이익은 2022년 적자를 극복하고, 2023년 이후 흑자 구조로 전환.
  • 정부 계약이 매년 고도화되며 규모 확대 중 (Maven, Space C2, ICE 등).
  • 주가 및 시총은 AI 수요와 S&P500 인덱스 편입 기대감으로 크게 상승.
주요 시사점
  1. 정부 부문의 AI 전략 수혜:
    • DoD, Space Force, ICE, NATO 등 주요 계약 확보로 방위 AI 플랫폼 벨류에이션 확대.
  2. 민간→공공→국제로 영역 확장:
    • Accenture 협업으로 연방정부 전반으로 수요 확대.
  3. 재무 안정성 강화:
    • 2023년 흑자 전환 이후 현금흐름 개선, 시장 신뢰도 상승.
  4. 밸류에이션 리스크 대응 필요:
    • 이미 높은 주가 수익비율 (Fwd P/E 60~70)이 반영되어 있음.
    • 향후 민간 부문 성장 실적, 계약 유지가 중요.

1.5 결론

  • Palantir은 최근 정부 AI 계약 확대 → 매출 성장 → 흑자 전환 → 기업 가치 급등이라는 전형적인 성장 사이클에 진입
  • 고밸류에이션 리스크가 존재하는 만큼 매출 다변화(민간·국제), 계약 안정 유지가 중장기 주가 지속에 핵심이 될 전망

2. 록히드마틴의 최근 3년간의 사업 동향

록히드마틴 주가흐름 2024~2025.07

Lockheed Martin의 최근 3년간(2022–2024년) 미국 정부와 맺은 주요 계약, 매출·순익 추이, 그리고 기업가치 흐름에 대한 요약

2.1 주요 미국 정부 계약 (2022–2024)

  • Lot 18 F‑35 추가 물량 – 2022년 12월
    • 미 해군이 Lot 18 F‑35 전투기 118대 생산 및 지원을 위해 $1.05B 계약 체결
  • Stinger 미사일 업그레이드 – 2023년 9월
    • 육군과 $312M 규모 OTA 계약 체결하여 Stinger MANPADS 개선 작업 진행
  • PAC‑3 미사일 – 2024년 6월
    • 육군에 PAC‑3 MSE 요격미사일 870발 및 관련 장비 납품을 위한 $4.5B 계약
  • F‑22 Raptor 적외선 센서 시스템 – 2025년 1월
    • 공군에 차세대 IR 방어 센서 통합을 위한 $270M 계약 체결
  • Next‑Gen Interceptor – 2024년 4월
    • 미사일 방어청(MDA)의 신형 지상 요격미사일 개발을 위한 $17B 계약 수주
  • Javelin 대전차 미사일 – 2024년 8월
    • Raytheon과 함께 $1.3B 규모 생산 물량 계약 수주
  • F‑35 유지·보수 계약 – 2024년
    • 함정 기반 F‑35A/B/C 조립 기체 유지 보강을 위한 $1.56B 계약

2.2 매출 및 순이익 흐름

연도매출 (Net Sales)순이익 (Net Earnings)주요 재무 지표
2022$66.0 B$5.7 B ($21.66/share)
2023$67.6 B (+2.4%)$6.9 B ($27.55/share)백로그 $160.6 B, FCF $6.2 B
2024$71.0 B (+5.1%)$5.34 B ($22.31/share)분기별 classified 손실 약 $2B 포함
  • 매출 성장률: 소폭 증가(2022 → 2023 +2.4%, 2023 → 2024 +5.1%)
  • 순이익 변동: 2023년에 최고점, 2024년에는 분기 classified 손실로 감소했으나 양호한 수준 유지 .
  • 현금 흐름: 2023년 FCF $6.2B → 2024년 FCF $5.3B. ESG 대비 배당 및 자사주 환매 지속 .

2.3 기업가치 및 주가 흐름

  • 시가총액 및 주가:
    • 현재 약 $462.5 (2025‑07‑03 기준)
    • 2025년 들어 방산 지출 확대 기대 속 점진 상승 추세.
  • 밸류에이션(TTM 기준):
    • 평균 Forward P/E 약 1618배, 배당수익률 34%로 방산 블루칩 형태 유지.
  • 백로그 및 수주 파이프라인:
    • 백로그는 2023년 $160.6 B → 2024년 $176 B로 확대, 미래 수익 안정성 강화 .
  • 리스크 요인:
    • 최근 펜타곤의 F‑35 구매요청 축소(48→24대) 보도에 따라 주가 단기 조정
    • CIA program 및 classified 손실 영향도 주의 필요.

2.4 투자 분석 요약

  • 안정적 캐시플로우 & 고배당 구조:
    • 매출 670→710억 달러, FCF 약 $5–6B, 배당수익률 3–4%.
  • 강력한 정부 의존 수요:
    • 미 정부 매출 비중 약 74%, 전세계 방산 중 최대 비중
  • AI 및 첨단 무기 투자 확대:
    • Next‑Gen Interceptor, PAC‑3, F‑22 센서, classified program 등 미래 수요에 대응하는 AI/미사일 체계 강화.
  • 리스크 관리:
    • F‑35 프로그램의 불확실성과 classified 비용, 정부 예산 변동성을 지속 모니터링 필요.

2.5 결론

  • Lockheed Martin은 방산 부문에서 확고한 블루칩 캐시카우
  • 백로그 + FCF 기반 안정성, 고배당 수익, AI·미사일 시스템 투자 확대는 중·장기 투자 매력도 제고
  • 단기적으로는 F‑35 프로그램 및 classified 손실, 정부 예산 추이에 따른 변동성 존재

3. 안두릴의 최근 3년간의 사업 동향

안두릴 (비상장) 기업가치평가 추이 2024~2025.07

Anduril Industries의 최근 3년(2022–2024년 기준) 동안 미국 정부와 맺은 주요 계약, 매출·수익 추이, 그리고 기업가치 흐름에 대한 정리

3.1 주요 미국 정부 계약 (2022–2024)

  • USSOCOM IDIQ 계약 (2022년)
    • 美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와 최대 $968M 규모의 무기체계 통합 IDIQ 계약 체결
  • Border Surveillance Sentry Towers (2022년)
    • 국토안보부·CBP와 국경 감시용 타워 설치 계약, 2020년 첫 $25M에서 점차 프로젝트 확장
  • Dive-LD & Ghost Shark AUV/Drone (2022–2023년)
    • 해저 무인기(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및 Ghost Shark 개발과 납품, 호주 해군과 협력 포함
  • 미 해군 UAS 계약 (2025년 초)
    • 해군에 소형 드론 시스템 납품을 위한 $642M 규모 IDIQ 계약 체결
  • 펜타곤 드론 방어 시스템 (2024년 10월)
    • “Roadrunner” 회수형 요격 드론 기반의 드론 방어 시스템 프로젝트, $250M 계약
  • 공군·육군 미래 시스템 협력 (2024–2025년)
    • U.S. Air Force의 Collaborative Combat Aircraft 개발팀 선정; Army DIU와 로보틱 시스템용 소프트웨어 개발 계약
  • SOCOM MIS Integration 계약 (2025년)
    • SOCOM 대상 미션 자율성 시스템 통합, 3년 $86M 계약

3.2 매출 및 순이익 흐름

  • 2022년
    • 연간 매출 초기 수백만~수천만 달러 수준. 정부 계약 중심의 시드 매출 형성.
  • 2023년
    • 성장 가속: 연 매출 수백만 → 수억 달러 구조 진입. 구체치 미공개.
  • 2024년
    • 연매출 $1B 달성
    • 수익성은 아직 적자 지속 추정. (재무공개 전 비상장 특성 상 세부 수치는 미공개)

3.3 기업가치 및 투자 흐름

  • 2024년 Series F 펀딩
    • 매출 10억 돌파 직전 ‘펀딩 유치 $1.5B’, 시가총액 $14B 평가
  • 2025년 Series G 펀딩
    • $2.5B 유치, 밸류에이션 $30.5B로 급상승
    • 해당 라운드는 8–10배 초과 청약, 네오 프라임 방산기업으로 인정받음
  • IPO 전망
    • 향후 상장 계획 있음, 대중적 계약 수주 및 투명성 확대 목적 .

3.4 요약 및 시사점

구분요약
계약 확대특수작전·해군·공군·육군 등 방산 전 분야로 확장. 첨단 자율·방어 시스템 중심 ●
매출 성장2022년 시드 기반 → 2024년 $1B 매출 돌파
수익성아직 적자 지속, 투자 중심 성장 단계
기업가치$14B → $30.5B (1년 새 2배 이상 상승)
리스크·기대상장 전 비공개 재무, 수익성 확보 필요. 대형 방산 계약 경쟁 환경 속 기대치 높음

3.5 결론

  • Anduril은 자율무기·AI 방산 디지털 혁신의 퍼스트무버로 자리매김
  • 특히 최근 정부 계약 증가와 Series G 펀딩을 통해 밸류에이션 급등 → 기업의 네오-프라임화 궤도에 진입
  • 다만, 비상장 상태와 적자 지속, 상장 이후 밸류 리셋 가능성 등의 리스크 존재
  • 향후 상장 시 애널리스트 실적 전망과 수익성 전환 여부, 대형 군사 계약 수주 추이가 핵심 모니터링 포인트

4부. INVESTMENT MEMO

DefenseTech 3개 핵심 기업 비교: Palantir, Anduril, Lockheed Martin

! 주의: 이번 투자 메모는 가상의 기관투자자를 위해 작성한 종목 분석 및 포트폴리오 가이드이며, 특정 종목의 투자를 권유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투자는 전적으로 자신의 지식과 경험, 의지를 바탕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I. 디펜스테크 3대 기업 비교

항목Palantir Technologies (PLTR)Anduril IndustriesLockheed Martin (LMT)
설립연도200320171995
상장 여부NYSE: 상장비상장 (프리IPO 단계)NYSE: 상장
핵심 분야데이터 인텔리전스, AI Ops자율무기, 센서융합 AI전통 무기체계, 미사일/항공기
2024 매출$2.87B약 $1.0B$71.0B
순이익흑자 전환 (2023~)적자 지속$5.34B (2024년)
시가총액약 $134B약 $30.5B약 $115B

II. 미국 정부와 3대 기업의 주요 계약 (2022–2024)

🟦 Palantir

  • 미 국방부 Maven Smart System AI 계약: 총 $795M.
  • Space Force, CDC, ICE 등과 AI 분석·운영 플랫폼 납품.
  • NATO, Accenture 등과 연합으로 AI 플랫폼 공급 확대.

🟥 Lockheed Martin

  • Next-Gen Interceptor: $17B
  • PAC-3 미사일: $4.5B, F-35 Lot 18 생산: $1.05B
  • F-22 센서, 드론 요격 시스템, F-35 유지보수 포함 수십억 달러 수주.

🟨 Anduril

  • USSOCOM IDIQ: $968M
  • 해군 드론 계약: $642M, 펜타곤 드론 방어 시스템: $250M
  • Ghost Shark, Dive-LD 자율 무기 개발 다수

III. 재무 구조 및 성장 흐름 요약

지표PalantirAndurilLockheed Martin
매출 CAGR (2022–24)약 25%>100% (초기 성장)3~5%
수익성2023년부터 순이익 흑자적자 지속, 확장 중심영업이익률 ~10%, 고배당
FCF & 배당강한 현금보유, 무배당투자 중심, FCF 미공개FCF > $5B, 배당률 3~4%
정부 수익 비중약 60%약 90%약 74%
기업가치 변화$55B → $134B (S&P500 편입 효과)$8B → $30.5B (Series G 유치)안정적 유지 (~$110–120B)

IV. 투자 관점 분석

항목PalantirAndurilLockheed Martin
포지셔닝AI 플랫폼 SaaS 기반 방산 데이터 기업AI 자율무기 신생 방산기업고성능 전통무기 기반 방산 블루칩
밸류에이션Fwd P/E 60~70 (고밸류)프리IPO, VC펀딩 밸류 적용Fwd P/E 16~18 (보수적)
주요 투자 포인트AIP 플랫폼의 확장성, 정부·민간 병행 수익화자율 무기 시장의 퍼스트무버, 디지털 방산 상징성고정된 방산 수요 기반 안정성 + 고배당
리스크 요인민간 매출 다변화 지연, 경쟁 심화적자 지속, 상장 시점 불확실방산 예산 정책 리스크, 성장성 제한

V. 투자 전략 제안

목적추천 종목투자전략
고성장 AI 플랫폼 참여Palantir장기 성장주 중심 포트폴리오 15~25% 편입
고위험·고수익 방산 벤처Anduril프리IPO 또는 PE펀드 기반 포지션 10~15%
안정적 수익/배당 확보Lockheed Martin배당형 가치주 60~70% 비중으로 구성

VI. 결론

  • Palantir는 AI 플랫폼 기반으로 국방과 민간의 운영 전환 수요를 흡수하며 빠르게 성장 중
  • Anduril은 전통 방산과 완전히 다른 궤도로, 자율성 + AI 통합 무기체계의 대표 기업으로 부상 중
  • Lockheed Martin은 대형 백로그, 고배당, 캐시플로우 안정성을 바탕으로 미국의 중장기적인 정책방산 핵심주

이 세 기업은 서로 대체가 불가능한 투자 전략축을 형성하며, 투자 포트폴리오 내에서 서로를 보완하는 구조를 갖습니다.


이 포스트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중입니다. / 첫 포스팅: 250706 / 이 포스트에 대한 문의: naebon@naver.com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