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X 실무활용 | Cursor, Code, v0를 이용한 바이브코딩 20제 마스터 (구름 / AI Fit-T / 80H)

25.09.04 / JUN (naebon@naver.com)

  • P1. 이번 과정개요, 커리큘럼, 각종자료 다운로드
  • P2. 바이브코딩 (Vibe Coding) 1인 기업가 성공사례 분석
  • P3. 바이브코딩 앱 기획안 예시: iOS 한국어 학습 앱 기획
  • P4. 바이브코딩을 위한 주요 기술 스택 (FE, BE, APIs +)

P1. 과정개요, 커리큘럼, 각종자료 다운로드

  • 교육일시: 2025.09.05 금 ~ 10.02 목 (평일 19~23시, 4H)
  • 교육장소: 온라인 (ZOOM 라이브)
  • 교육기획: 구름 황진주 매니저 (dia.hwang@goorm.io)
  • 강의진행: JUN 동준상 강사 (naebon@naver.com)
  • 대상: AI·개발 입문자, 비개발 디지털 워커, 실습 중심 학습자
  • 방식: 실시간 코드/프롬프트 ( Cursor, Claude Code, Gemini Code )
  • 도구 구성
    • 에디터: Cursor(메인), Claude Code, Kiro, V0, VS Code(보조)
    • 모델·API: ChatGPT, Claude, Gemini / Google AI Studio
    • 백엔드/인증: Supabase(+Auth), Clerk(대안)
    • 배포: Cloudflare Pages/Workers, Vercel
    • 자동화: Make/Zapier, MCP(Playwright/Notion/GA4/Payments)
    • 결제: Toss Payments(국내), Stripe(해외)
    • 데이터: Google Sheets, Notion, Public APIs
    • 분석/노출: GA4, Search Console, 기본 SEO/OG 태그
  • 공개교재 다운로드 (PDF / 70p)
  • 정규교재 다운로드 (PDF / 120p / 열람암호)

주차별 목표 요약

  • 1주차(입문·빠른 성과): 노코드/로우코드+Cursor로 작은 성과 도출
  • 2주차(유틸·데이터·API): 실사용 유틸 7종 빌드, SEO/애드핏·제휴 연계
  • 3주차(자동화·에이전트): 소모적, 반복적인 크롤링/포스팅/알림 자동화
  • 4주차(상용·결제·운영): 인증/DB/결제/분석 갖춘 상용 SaaS형 MVP 출시

커리큘럼 (일일 4시간 20회 차시, 4주 80시간)

매일 1 미니프로젝트 >> 금요일 통합 배포

각 회차 구성: 개념 30m → 바이브코딩 실습 120m → 배포/검증 40m → 회고 20m → 과제 10m

1주차 — 바이브코딩 워밍업 및 기초 프로젝트

Day 1. AI 랜딩 페이지 1분 생성

  • 목표: Google AI Studio / v0 / Lovable 중 1개로 개인 브랜딩 랜딩 구축
  • 미니 프로젝트: “나의 AI 포트폴리오” 1페이지
  • 수익화 포인트: 뉴스레터(beehiiv/스티비) 구독 폼 삽입

Day 2. 뉴스 스크래퍼 → 블로그 카드 자동 생성

  • 목표: Playwright MCP로 대상 페이지 스크랩 → 카드형 리스트 자동 생성
  • 미니 프로젝트: “오늘의 테크 뉴스 큐레이터”
  • 수익화 포인트: 공유/저장, SNS 유입

Day 3. 유튜브 트렌드 컬렉터

  • 목표: YouTube API 조회 → 썸네일/핵심 3포인트 자동 요약
  • 미니 프로젝트: “HOT10 트래커”
  • 수익화 포인트: 제휴 링크/추천 구독

Day 4. 초간단 3D/캔버스 인터랙션

  • 목표: Replit/three.js 템플릿 활용, 인터랙션 요소 삽입
  • 미니 프로젝트: “인터랙티브 히어로 섹션”
  • 수익화 포인트: 템플릿 다운로드 유도(리드 수집)

Day 5(금) 주간 통합 배포: “크리에이터 도구 허브 v1”

  • 통합: Day1~4 위젯을 한 사이트에 모음, Cloudflare Pages 배포
  • 체크리스트: OG/SEO, GA4, 공유 이미지, 도메인 연결, 뉴스레터 연동
  • 성과지표(KPI): 최초 방문수, 구독 폼 전환율, 체류시간

2주차 — 유틸리티 & 데이터 API 활용 프로젝트

Day 6. 연봉/세금 계산기

  • 목표: 폼 → 계산 로직 → 결과 공유 링크
  • 수익화: 애드핏/애드센스 영역, SEO 키워드 삽입

Day 7. 건강 루틴·칼로리/수분 트래커

  • 목표: 로컬스토리지/간단 DB 연동
  • 수익화: 리드 자석(다운로드 가능한 PDF 루틴)

Day 8. 날씨 알림·미세먼지 지수

  • 목표: 공공 API 호출·캐싱
  • 수익화: 지역 상권 쿠폰/제휴 배너(실습용 목업)

Day 9. 여행 플래너(일정·비용·지도)

  • 목표: LLM로 일정 생성→수정, 공유/내보내기
  • 수익화: 제휴 링크(숙소/항공), 리드 수집

Day 10(금) 주간 통합 배포: “생활 유틸 슈트 v1(SEO/광고)”

  • 통합: 4~6개 유틸 묶음 사이트
  • 체크리스트: 검색콘솔 등록, 사이트맵/robots, 성능 점검
  • KPI: 유입 키워드 수, 페이지 RPM, 첫 광고 수익/제휴 클릭수

3주차 — AI 자동화 기능 및 에이전트 구현

Day 11. Notion 블로그 자동 발행

  • 목표: Notion MCP+Webhook → 정적 사이트 자동 업데이트
  • 수익화: 템플릿 판매(가이드 동봉)

Day 12. 이메일 데일리 다이제스트

  • 목표: 수집 데이터 → 요약 → 지정 시간 이메일 발송(Make/Zapier)
  • 수익화: 후원 버튼/프리미엄 구독 티저

Day 13. X(트위터) 자동 포스팅 봇

  • 목표: 트렌드 텍스트 생성·예약
  • 수익화: 바이럴 유입 → 랜딩으로 전환

Day 14. 회의록 요약·태깅 에이전트

  • 목표: 음성→텍스트(AssemblyAI 대안 소개), 요약/태스크 추출
  • 수익화: 팀용 템플릿/가이드 판매

Day 15(금) 주간 통합 배포: “자동화 운영 대시보드 v1”

  • 통합: 크롤링/발행/알림 플로우를 한 대시보드에서 관리
  • 체크리스트: 스케줄러(Cloudflare Workers/cron), 에러 로깅, 알림 Slack
  • KPI: 자동화 성공률/건수, 발행 주기, 소요 시간 절감

4주차 — 상용 SaaS형 MVP(인증·DB·결제·분석)

Day 16. 인증·DB 기초(Supabase/Clerk)

  • 목표: 회원가입/로그인, 프로필 스키마
  • 수익화: 멤버 전용 기능 게이팅

Day 17. 결제 연동(Toss Payments/Stripe)

  • 목표: 구독/일회성 결제 플로우, Webhook 처리
  • 수익화: 월 구독 4,900원/9,900원 티어 설계

Day 18. 프롬프트/리소스 마켓 라이트

  • 목표: 업로드·상세·장바구니·결제(간소화)
  • 수익화: 수수료 모델·크리에이터 셰어

Day 19. 분석/SEO/운영 자동화

  • 목표: GA4 이벤트, 파이프라인 헬스체크, 오류 슬랙 알림
  • 수익화: 이탈 방지·리텐션 채널(이메일/푸시)

Day 20(금) 파이널: “AI Fit-T 마켓 MVP” 공개 론칭

  • 기능: 로그인/권한, 상품(프롬프트/템플릿/미니앱), 결제, 영수증 메일
  • 배포: Vercel/Cloudflare + 도메인, 약관/개인정보 고지(샘플 제공)
  • 런치 체크리스트: 가격/플랜, 환불정책, 고객지원 폼, 릴리즈노트
  • KPI(첫 주): 가입 100명, 결제전환 ≥3%, 리텐션(7일) ≥25%

바이브코딩 산출물 배포 체크리스트

  • 성능·접근성·SEO(메타/OG/사이트맵/robots)
  • GA4 기본 이벤트/전환 설정, UTM 규칙
  • 1페이지 릴리즈 노트, 튜토리얼(스크린샷 5장)
  • 장애 복구 가이드(롤백·에러로그·헬스체크)
  • 커뮤니티 피드백 폼(구글폼/Typedream) 연결

바이브코딩+ 미션

  • 사용자 3명 테스트 & 피드백 수집(양식 제공)
  • 버그 최소 1건 PR(레포 공유)
  • 전날 기능을 오늘 기능과 연결(통합 감각 강화)

프로젝트 수행 평가 기준

  • 프로젝트 완성도(40%): 기능/안정성/배포
  • 수익화 지표(30%): 클릭/구독/결제 중 1개 이상 성과
  • 코드/프롬프트 품질(20%): 재현성·주석·리드미
  • 참여도(10%): 피드백/이슈/PR

수행 요건: 금요일 통합 프로젝트 3회 이상 배포 + 최종 MVP 론칭


수강생에게 제공되는 자료

  • 디지털 교재 및 실습 워크북
  • Day별 Cursor 프롬프트 팩(Rules/Context 샘플 포함)
  • MCP 설치 가이드(Playwright/Notion/Payments/GA4)
  • 배포 템플릿(Cloudflare/Vercel), 결제 연동 샘플, GA4 이벤트 프리셋
  • 법적 문서 샘플(이용약관/개인정보처리방침/환불정책—교육용)

기본 운영/진행 가이드

  • 난이도: Easy → 체험·완성 우선, 실패 최소화
  • 태그/트렌드 반영: 프로젝트·데이터분석·프롬프트·바이브코딩·코파일럿 전 회차 노출
  • 시간: 평일 저녁 4시간 × 20회(총 80시간)
  • 정원/방식: 25명 / ZOOM 실습 & 화면공유 최적화

P2. 바이브코딩 (Vibe Coding) 1인기업가 성공사례 분석

바이브 코딩(Vibe Coding)으로 글로벌 히트 게임, 서비스, 앱을 만들어 유명세를 얻은 Pieter Levels, Blake Anderson, Zach Yadegari에 대해 알아봅니다.


1. Pieter Levels의 바이브코딩 사례

Pieter Levels on Lex Fridman Podcast
  • 프로필 및 접근 방식
    • 노마드 라이프를 살며, 40여 개의 스타트업을 단독으로 설계·개발·운영한 ‘인디 해커의 대명사’
    • 종속된 방식 없이 HTML, PHP, SQLite 같은 경량 스택을 활용해 혼자 빠르게 배포하고 개선하는 방식을 선호
  • 대표 사례: AI 기반 간단 게임, ‘fly.pieter.com’
    • AI 도구 기반 “바이브 코딩”으로 30분 만에 브라우저용 비행 시뮬 게임을 완성
    • 이 게임은 광고 슬롯(브랜디드 비행선, 빌보드 등)을 통해 월 수익 약 $50,000을 달성
    • Medium ‘Coding Beauty’ 기사에서도 17일 만에 ARR $1M 달성 사례로 소개

2025 Vibe Coding Game Jam
https://jam.pieter.com/

Transcript for Pieter Levels: Programming, Viral AI Startups, and Digital Nomad Life | Lex Fridman Podcast #440
https://lexfridman.com/pieter-levels-transcript


2. Blake Anderson의 바이브코딩 사례

Blake Anderson
  • 프로필 & 성공 궤적
    • 20대 초반 비개발자가 ChatGPT 등 AI 도구로 앱을 제작, 수백만 달러 수익을 낸 사례로 주목
    • ‘Rizz GPT’ (현재 Plug AI)는 $3.6M 수익, 이어 ‘Umax’는 $6.3M, 다른 프로젝트도 수백만 달러 수익을 기록
  • 특징 및 전략
    • “Build fast, launch simple” 원칙 하에 한 달 만에 앱 완성,
    • TikTok 크리에이터와 자연스럽게 협업하는 바이럴 마케팅 전략 중시
    • 일부 기사에 따르면 세 앱을 통해 총 $10M 매출, 현재도 ‘Riz GPT’만으로도 매월 $200K 수익

3. Zach Yadegari의 바이브코딩 사례

Zach Yadegari
  • 프로필 & 앱 소개
    • 10대 개발자로 시작해 17-18세에 Cal AI라는 사진 기반 칼로리 측정 앱을 출시
    • 이 앱은 5개월 간 500만 다운로드, 월 $2M 이상 매출, 유지율 30%
  • 성장 과정
    • 중학생 때부터 Python/C#을 독학했고, 16세 때 학교 차단 우회 게임 사이트 ‘Totally Science’를 만들어 $100K에 판
    • 이후 Blake Anderson와 함께 Cal AI를 공동 개발, 샌프란시스코 해커하우스에서 집중적으로 작업
  • 관련 외신 및 분석 기사 링크
    • TechCrunch 기사: Cal AI 다운로드 및 수익 등 상세
    • Medium 등 분석 콘텐츠: Cal AI의 혁신 지점, 젊은 개발자의 성공 모델 사례

How a 17-Year-Old Built a $1M/Month AI App
https://www.moneymakingstory.com/p/how-a-17-year-old-built-a-1m-month-ai-app-b2a1

How a 17-Year-Old Built a $1M/Month AI App

바이브코딩 달인 3인의 성공기 요약

인물프로젝트/앱주요 성과 및 포인트
Pieter Levelsfly.pieter.com (비행 게임)30분 만에 제작, $50K/월 수익, ARR $1M 달성
Blake AndersonRizz GPT, Umax, Plug AI수개월/수주 만에 수백만 달러 수익, $10M 매출
Zach YadegariCal AI (사진 칼로리 AI 앱)5M 다운로드, 월 $2M 매출, 10대 개발자 성공 사례

참고자료

FC | 바이브코딩 바이블 : Cursor AI로 나 혼자 끝내는! 1인 개발 수익화 패키지 (17H)
https://fastcampus.co.kr/data_online_vibecoding


P3. 바이브코딩 기획 예시: 영어권 사용자 대상 iOS 한국어 학습 앱 기획

영어권 사용자 대상 iOS 한국어 학습 앱을 30–90초 유튜브 클립 URL로 학습하게 만드는 모범적 바이브코딩(빠른-실행-검증) 업무 흐름
핵심: “하루 단위 루프: 아이디어 → 프롬프트 → 코드 → 실기기 테스트 → 지표로 판단

0) 목표 정의 (30분)

  • 핵심 가치: “짧은 영상으로 즉시 발음·표현·패턴 습득”
  • MVP 범위: 영상 재생, 영어→한국어 자막(병기), 핵심 표현 카드 5개, 퀴즈 3문항, 북마크/즐겨찾기
  • KPI(1주차): 첫 세션 완료율 ≥ 60%, 2일차 재방문 ≥ 25%, 영상당 학습 완료율 ≥ 70%

1) 시스템·스택 결정 (1시간)

  • 클라이언트(iOS): SwiftUI + Combine(or Observation) / Xcode
  • 플레이어: YouTube iFrame Player를 WKWebView로 임베드(※ 다운로드/백그라운드 재생 금지 등 YouTube 약관 준수, 링크/임베드만)
  • 백엔드: Supabase(콘텐츠 테이블·인증), Functions로 웹훅/잡, Edge Functions로 간단 변환
  • 생성형 도구: Cursor(메인 IDE), Claude Code/Gemini Code(스크립트·프롬프트 실험), v0(마케팅/웹 소개 페이지)
  • 분석/로그: Firebase Analytics(or TelemetryDeck), Sentry(크래시)
  • 결제: StoreKit(구독·일회성) — MVP 땐 비활성화해도 OK

2) 데이터 스키마 설계 (45분, 바이브코딩로 빠르게 초안 생성)

테이블

  • clips: id, youtube_url, title_en, topic, level, duration_s, has_captions(bool), created_at
  • cards: id, clip_id, ko, en, romanization, audio_url(opt), tag
  • quizzes: id, clip_id, type(MCQ/translate/ordering), payload(json)
  • progress: user_id, clip_id, completed(bool), score, updated_at

프롬프트 예시

“다음 컬럼으로 Supabase SQL 스키마 만들어줘: clips(…), cards(…), quizzes(…), progress(…). 적절한 인덱스와 FK 포함. Postgres용으로.”

3) 콘텐츠 파이프라인 (반자동, 2~3시간)

  1. 큐레이션: 저작권/약관 문제 없는 30–90초 링크 가능한 영상만 선정(교육/창작자 동의가 좋음).
  2. 자막 확보:
    • 유튜브 제공 자막이 있으면 API로 텍스트 가져오기(링크/임베드 기준에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처리).
    • 없으면 **ASR(Whisper/AssemblyAI 등)**으로 스크립트 생성(영상 자체는 저장·재배포 X, 텍스트만 메타데이터로 저장).
  3. 카드·퀴즈 자동 생성(LLM): 표현 5개, 예문 5개, MCQ 3문항 생성 → 리뷰 후 저장.

프롬프트 예시 (카드 생성)

You’re a Korean tutor for English speakers. 
Input: transcript in Korean with timestamps.
Output: 5 flashcards as JSON: 
[{ko:"…", romanization:"…", en:"…", note:"usage tip", tag:["greeting","slang"]}, …]
Keep each ko < 12 words; pick everyday speech.

프롬프트 예시 (퀴즈 생성)

Create 3 MCQ questions from the flashcards. 
Format JSON: [{question, choices[4], answerIndex, explain}], 
avoid trivial word swaps; test grammar or pragmatics.

4) iOS MVP 화면 흐름 (하루)

  • Home: 주제/난이도 필터 + 추천 클립
  • Player: WKWebView + YouTube iFrame, 하단에 KO/EN 이중자막 토글, 북마크 버튼
  • Cards: 5장의 표현 카드(좌우 스와이프) + TTS(선택)
  • Quiz: 3문항(MCQ) → 점수/해설 → 진행 저장
  • Profile: 학습 기록/즐겨찾기

바이브코딩 프롬프트(화면 골격)

SwiftUI로 4탭(TabView) 앱 골격을 만들어줘: Home, Player, Cards, Profile.
각 탭은 빈 View로 두고, Player는 WKWebView로 YouTube URL을 안전하게 임베드.
Observable 모델과 미니 ViewModel 스텁 포함.

5) 자막/동기화 UX (반일)

  • 이중자막: 상단 KO, 하단 EN(또는 반대), 한 번 탭으로 전환
  • 하이라이트: 현재 재생 타임스탬프에 맞춰 해당 자막 줄 bold
  • 표현 추출: 자막 클릭 → 해당 표현 카드 팝업
  • 속도/반복: 0.75x, 특정 구간 A–B 반복

프롬프트(타임싱크)

Given YouTube captions with timestamps, produce a Swift model that 
maps currentTime to the current caption line in O(log n) (binary search).
Provide code for highlighting the active line in SwiftUI.

6) 품질·성능 체크리스트 (2시간)

  • 첫 진입 3초 내 썸네일/메타 로딩
  • 재생/일시정지/속도 변경/자막 토글의 탭-투-반응 < 100ms
  • 네트워크 오프라인 시: 북마크·진행은 로컬 캐시(텍스트만), 재생은 불가 안내
  • 접근성: Dynamic Type, VoiceOver 라벨, 색대비
  • 현지화: EN UI 기본 + 한국어 대체문구

7) 법·정책 고려 (항상)

  • YouTube: 다운로드/가공 재배포 금지, 임베드·링크만 사용, 브랜드 가이드 준수
  • 개인정보: 이메일/소셜 로그인 최소화, 프라이버시 정책·옵트인 명시
  • 상표/저작권: 로고·썸네일 사용 가이드 확인

8) “하루 바이브코딩 루프” 템플릿

  1. 문제 정의(10m): “자막-타임싱크 정확도 개선”
  2. 프롬프트(20m): 명세 + 제약 + 테스트 예시
  3. 코드 수용/거부(30m): 작은 diff 단위로 리뷰
  4. 실기기 테스트(20m): TestFlight/로컬 빌드
  5. 로그·지표(10m): 자막 토글 사용률, 구간반복 사용률
  6. 다음 액션(10m): 실패 원인 기록 → 프롬프트 보강

9) 확장 로드맵 (주차별)

  • W1: 플레이어+자막+카드+퀴즈 MVP 배포(TestFlight)
  • W2: 추천 로직(난이도/주제), 오프라인 캐시(텍스트)
  • W3: 발음 연습(음성 입력→피드백), 구독 플랜(광고 제거/맞춤 코스)
  • W4: 커뮤니티 요청 반영(슬랭/비즈니스 한국어 팩), A/B 테스트

10) 샘플 프롬프트 번들 (복붙용)

A. 카드 생성 규칙 요약자

Summarize the transcript into 5 teachable chunks of Korean expressions.
Each: {ko, romanization, en, usageTip in English}. 
Avoid idioms that require > B1. Keep ko length < 12 words.

B. UI 카피라이팅(영어권 사용자 톤)

Write concise, friendly English UI copy for a Korean-learning app:
tabs(Home, Learn, Quiz, Profile), buttons(Play, Slow, Repeat, Save), 
empty states, error messages, and tooltips. Keep under 40 chars each.

C. 퀴즈 난이도 자동화

Given CEFR level and 5 flashcards, generate 3 MCQs at target level.
Mix vocabulary and pragmatics. Return JSON. Avoid repeated stems.

D. 앱스토어 스크린샷 캡션

Create 6 short App Store screenshot captions (max 30 chars) 
for English speakers learning Korean with short YouTube clips.
Tone: motivating, clear, modern.

11) 리스크 & 우회책

  • 자막 부정확: 수동 편집 UI 제공(한 줄 수정) → 품질↑
  • 임베드 차단/제한 영상: 다른 클립 대체 자동 추천
  • 학습 피로: 60초 미만 클립 비중 확대, “1분 학습 배지” 제공
  • 심사 리젝: 외부 결제 링크, 저작권 표기 누락, 과도한 데이터 수집 주의

12) 배포 체크리스트 (최소)

  • TestFlight 빌드, 온보딩 3스텝, 개인정보 처리 고지
  • 크래시 0.5% 이하, 첫 세션 이탈 < 30%
  • 마케팅 랜딩(v0) + 이메일 캡처(대기자 명단)

P4. 바이브코딩 기술 스택

“바이브코딩(Vibe Coding)” 방법론은 AI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제품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출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에 따라 사용되는 기술 스택은 주로 AI 기반의 생산성 도구와 클라우드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AI·개발 입문자나 비개발 디지털 워커도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소프트웨어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1. 핵심 AI 개발 도구

    ◦ Cursor (Cursor Composer): AI 기반의 메인 코드 생성기 및 편집기로, 자연어 프롬프트만으로 복잡한 앱 코드를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게 합니다. Alex Finn은 Cursor를 통해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소프트웨어를 혼자서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으며, Comment Genie 앱 개발 시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API 문서(@docs)**를 참조하거나 **전체 코드베이스(@Codebase)**를 분석하여 정확한 코드 생성을 돕는 기능이 특징입니다.

    ◦ ChatGPT (GPT 4o, o1-preview, ChatGPT o3): 앱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하고, 개발 로드맵을 생성하며, 프런트엔드,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등 앱 개발을 위한 최적의 기술 스택과 단계별 개발 가이드를 제안받는 데 사용됩니다. Alex Finn은 이를 “제품 관리자(product manager)” 역할로 활용했다고 언급했습니다.

    ◦ Claude, Gemini / Google AI Studio: ChatGPT와 함께 AI 모델 및 API 활용을 위한 도구로 언급되며, Google AI Studio는 개인 브랜딩 랜딩 페이지 구축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클라우드 기반 개발 및 배포 환경

    ◦ Replit: 코드를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편집하며 빠르게 앱을 테스트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3D/캔버스 인터랙션 템플릿에 three.js와 함께 활용됩니다.

    ◦ Vercel: Next.js 기반 앱 배포 및 호스팅에 사용되며, Alex Finn은 Creator Buddy 앱 호스팅에 Vercel을 월 20달러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 Cloudflare Pages/Workers: 앱을 클라우드에 배포하고 스케줄러 기능 등을 활용하는 데 사용됩니다.

    ◦ Linode (Akamai): Docker를 이용해 빌드된 앱을 호스팅하는 클라우드 서버로 활용됩니다.

    ◦ Docker: 앱을 쉽게 빌드하고 어떤 머신에서든 실행 가능한 포터블한 형태로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docker compose yaml 파일 등을 생성하여 배포를 용이하게 합니다.

3.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및 인증

    ◦ Supabase (+Auth): 회원가입/로그인 및 프로필 스키마 설정 등 백엔드/인증 기능과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동시에 수행합니다. Alex Finn은 Creator Buddy 앱의 데이터베이스로 Supabase를 월 20달러에 사용하며 “매우 쉬운 사용성”을 강조했습니다.

    ◦ Clerk: Supabase의 대안으로 제시된 백엔드/인증 도구입니다.

    ◦ SQLite, HTML, PHP: Pieter Levels는 이들을 경량 스택으로 선호하여 혼자서 빠르게 앱을 배포하고 개선하는 데 활용했습니다.

    ◦ Notion, Google Sheets, Public APIs: 데이터 저장 및 활용을 위한 도구들입니다. 특히 Notion은 Notion MCP를 통해 정적 사이트 자동 업데이트 등 자동화 기능과 연계됩니다.

    ◦ 로컬스토리지/간단 DB: 간단한 건강 루틴 트래커와 같은 프로젝트에서 사용됩니다.

    ◦ PostgreSQL: Cursor와 MCP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언급됩니다.

4. 프런트엔드 및 디자인 도구

    ◦ Next.js: Alex Finn의 Creator Buddy 앱이 구축된 프런트엔드 프레임워크입니다.

    ◦ v0: AI 기반 디자인 도구로, UI 컴포넌트나 스타일을 빠르게 생성하여 아름답고 반응형 웹 페이지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줍니다.

    ◦ Lovable: 개인 브랜딩 랜딩 페이지 구축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Xcode (iOS), Android Studio (Android): 각 모바일 플랫폼의 네이티브 앱 개발 환경입니다. Creator Magic은 Cursor AI와 함께 이들을 활용하여 iOS 및 Android 앱을 개발했습니다.

    ◦ three.js: Replit 템플릿과 함께 3D/캔버스 인터랙션 요소를 삽입하는 데 사용됩니다.

    ◦ Swift: Cursor AI가 iOS 앱 개발 시 자동으로 생성하는 코딩 언어로 언급됩니다.

    ◦ Python/C#: Zach Yadegari가 10대에 독학하여 개발을 시작한 언어입니다.

5. 자동화 및 에이전트 구축 도구

    ◦ Make/Zapier: 워크플로우 자동화, 이메일 발송, AI 트레이딩 에이전트 구축 등 다양한 앱 연동과 자동화에 사용됩니다.

    ◦ MCP (Model Context Protocol): Playwright, Notion, GA4, Payments와 연동되는 고급 자동화 프로토콜입니다. Cursor와 연동하여 데이터베이스(PostgreSQL), GitHub, 브라우저 도구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 Playwright: MCP와 함께 대상 페이지 스크래핑에 사용됩니다.

    ◦ AssemblyAI: 음성→텍스트 변환의 대안으로 소개됩니다.

6. 결제 시스템

    ◦ Toss Payments: 국내 결제 연동을 위해 사용됩니다.

    ◦ Stripe: 해외 결제 연동을 위해 사용됩니다.

7. API 및 외부 서비스

    ◦ YouTube Data API: 유튜브 트렌드 컬렉터 및 댓글 응답 앱 (Comment Genie) 개발에 활용됩니다.

    ◦ X API: Alex Finn의 Creator Buddy 앱이 트윗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사용되며, 월 5,000달러라는 높은 비용이 언급되었습니다.

    ◦ TAAPI: AI 트레이딩 에이전트를 위한 실시간 트레이딩 신호를 제공합니다.

    ◦ Alpaca: AI 트레이딩 에이전트가 실제 주식 거래를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 Resend: 이메일 API 서비스로 사용됩니다.

    ◦ beehiiv/스티비: 뉴스레터 구독 폼 삽입에 활용됩니다.

8. 분석 및 SEO 도구

    ◦ GA4 (Google Analytics 4): 웹사이트 방문수, 전환율 등 기본적인 이벤트 및 전환 설정을 통해 앱의 성과를 분석합니다.

    ◦ Search Console: 웹사이트가 검색 엔진에 노출되는 방식을 관리하고 SEO를 개선합니다.

    ◦ 기본 SEO/OG 태그: 검색 엔진 최적화 및 소셜 미디어 공유 시 표시되는 정보를 설정하는 데 중요합니다.

9. 기타 유틸리티 및 보조 도구

    ◦ Midjourney: 앱 로고 및 아이콘을 빠르게 생성하는 AI 이미지 생성 도구입니다. 다른 AI 아트 생성기도 활용 가능합니다.

    ◦ VS Code: Cursor 외에 보조 에디터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Slack: 자동화 운영 대시보드에서 에러 알림 등 알림 기능에 활용됩니다.

    ◦ 구글폼/Typedream: 커뮤니티 피드백을 수집하기 위한 폼 연결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술 스택은 “바이브코딩”이 AI 도구의 강력한 기능을 활용하여 개발 진입 장벽을 낮추고, 빠른 프로토타이핑과 배포를 가능하게 하는 전략을 추구함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최소한의 코딩 경험으로도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고 시장에 제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입니다.


이 포스트에는 수강생 특화 콘텐츠가 포함돼 있습니다. / 첫 포스팅: 25.08.29 / 포스트 문의: JUN (naebon@naver.com)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