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필수 도구 설치
2) 새 프로젝트 생성
- Android Studio → New Project → 템플릿 “Empty Activity”(또는 “Empty Compose Activity” 권장) 선택.
- 패키지명(예:
com.example.myapp
), 언어(Kotlin 권장), Minimum SDK(보통 API 24~26) 지정 → Finish.
- Gradle 동기화가 끝나면 기본 앱 골격이 준비됨.
3) UI & 코드 작성 (Jetpack Compose 예시)
app/src/main/java/.../MainActivity.kt
에서 화면 구성:
class MainActivity : ComponentActivity() {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 {
androidx.compose.material3.Text("Hello, Android!")
}
}
}
- 리소스는
app/src/main/res/
에(아이콘, 문자열 등).
- 의존성 추가는
build.gradle.kts
(Module: app)에서 관리.
4) 실행: 에뮬레이터 또는 실제 기기
- 에뮬레이터: Toolbar의 Device Manager → Create Virtual Device → Pixel 기기 + 최신 Android 이미지 선택 → Run ▶️.
- 실제 기기:
- 휴대폰에서 개발자 옵션 활성화(‘빌드 번호’ 7회 탭) → USB 디버깅 ON
- PC와 USB 연결(Win은 OEM 드라이버 필요할 수 있음)
- 상단 기기 선택 드롭다운에서 디바이스 선택 → Run ▶️
5) 서명 & 빌드 산출물 만들기 (테스트/스토어용)
- 앱 서명 키 생성:
Android Studio → Build > Generate Signed Bundle / APK…
- Android App Bundle (AAB) 선택(Play 스토어 권장 형식)
- 신규 Key store 생성(경로, 비번, 키 별칭 기록 보관)
- Build Variant: 보통
release
선택 → AAB 생성.
- 내부 테스트(스토어 외 배포): APK도 같이 생성 가능.
6) Google Play 배포
- Play Console(개발자 등록) → 새 앱 생성.
- 앱 세팅: 스토어 등록 정보(이름/설명/스크린샷/등급/정책/개인정보처리방침 URL) 작성.
- 앱 서명/릴리즈: Production 또는 Internal testing 트랙에 AAB 업로드 → 심사 제출.
- 내부/폐쇄 테스트로 먼저 배포 후, 단계적 Rollout 권장.
✅ 빠른 체크리스트
- Android Studio 설치 + SDK 구성 완료
- 새 프로젝트(Empty/Compose) 생성 & 기본 화면 표시
- 에뮬레이터 or 실제 기기에서 실행 성공
- 서명 키스토어 생성 & AAB 빌드
- Play Console 등록정보 작성 & 테스트 트랙 배포
🛠️ 자주 막히는 포인트(해결 팁)
- 에뮬레이터 느림 → 하드웨어 가속(AVD 설정에서 Graphics: Hardware), x86_64 이미지 사용.
- USB 디바이스 미인식(Win) → 제조사 USB 드라이버 설치, 케이블 변경.
- 버전 코드/네임 충돌 →
build.gradle
의 versionCode
는 릴리즈마다 증가.
- 심사 거절 → 개인정보/권한(카메라, 위치 등) 사용 이유를 스토어 설명과 앱 내 권한 안내에 명확히 표기.
Views: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