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무료로, 소스 코드까지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AI 모델, 세 가지를 추천해 드릴께요.
—
먼저, 인스타그램으로 유명한 Meta에서 만든 LlAMA가 있어요. 2022년 봄에 출시됐고, 지금은 버전2인 LlAMA2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요. AI의 능력치인 파라미터 수를 기준으로 7B, 13B, 70B가 있는데, 7B는 70억 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해요.
—
다음, 생성형 AI의 성지라고 부르는 HuggingFace의 Open LLM 리더보드에서 1위를 차지한 Smaug가 있어요. Smaug의 다양한 버전중 최신의 가장 강력한 버전은 Smaug-72B이고요, 무려 720억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해요.
—
마지막으로, 최근에 추가된 Open LLM으로 구글 Gemma가 있어요. 구글은 치열한 생성형 AI 경쟁 속에 Gemini를 출시했는데요, Gemini의 오픈소스 버전이 Gemma라고 할 수 있어요.
Gemma는 구글 계정만 있으면 누구나 Colab 노트북에서 바로 실행해 볼 수 있어요.
“유럽 여행 가서 뭘 하면 좋을까?”에 대한 Gemma의 대답이 궁금하다면,
아래 구글 코랩 노트북으로 직접 확인해 볼까요?
GenAI 01: Gemma 모델의 튜닝 전후 성능 비교.ipynb
#OpenLLMbyGoogle #Keras #LoRA / 240222 / 동준상.넥스트플랫폼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pGBgSIf5EsbLLveStyaNIUIl8ea0KgcZ?usp=sh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