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브코딩 4주차: AI 앱 기획부터 상용화까지 풀코스

25.09.26 / JUN

20차수로 예정된 우리 바이브코딩 과정이 어느새 12일차에 접어들었습니다. 이번 4주차에는 바이브코딩으로 앱서비스를 구현하고 제품화, 상용화하는 전 과정을 경험합니다.

  • 12일차: 앱 마켓 리서치 >> 3대 아이템 선택 >> 아이디어 구체화, 차별화 >> 제품화 명세서 작성 (카테고리, 핵심제안가치, 타겟유저, 기술스택) ! Base44
  • 13일차: 앱 UX 리서치 (경쟁 제품 벤치마킹) >> UX 설계 (페르소나, UX Flow) >> UI 디자인 (와이어프레임, 스크린디자인) ! Figma
  • 14일차: Cursor, Copilot, v0, Base44 등 기능, 역할별 바이브코딩 도구 선정 >> 앱 개발/구현위한 아키텍처 설계 (정보구조도) >> FE, BE 구현 >> Auth, Pay 등 세부 모듈 추가 >> 개발자 문서화 (노션)
  • 15일차: 웹, 노션, WP, 크롬, X, iOS, Android 등 타겟 플랫폼에 앱 배포 >> 100만명 이상의 유료 회원을 보유한 플랫폼 탐색 >> 앱, 플러그인, 테마, 익스텐션, 템플릿 등 다양한 기술 요소에 맞춰 배포
  • 16일차: 미니 프로젝트 아이디어 제출 >> 자체 미디어, 외부 미디어 등 앱 홍보 채널 추가 >> 앱 서비스 콘텐츠 제작 >> 채널 배포 >> 무료, 유료 홍보 시작 >> 고객 피드백, 성과 측정 >> 개선

마지막주 바이브코딩 미니 프로젝트 아이디어 제출
https://forms.gle/p5rjWAJasE3zTaui7

https://forms.gle/p5rjWAJasE3zTaui7

GenAI 앱 프로젝트 기획 양식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_9PsFVsOuYUHz56fb441cgZxyitlbhbWIEjRpmZRmnA/edit?usp=sharing

예시: Habitkit (iOS) 앱 서비스 기획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uSh0Rg0CQ9X5sx1xzCRirGhDdSQAvZXpkJ1nQRYLqZo/edit?usp=sharing

P1. 앱서비스 아이디어 도출부터 제품화까지의 12단계 여정

https://inoxoft.com/blog/stages-of-app-development/

1. 아이디어 발굴 & 구체화

  • 개인 경험·불편함에서 출발
  • 기존 서비스의 빈틈 분석
  • 문제 정의: “누구의 어떤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 핵심 가치 제안 정리

2.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

  • 목표 고객 정의 및 시장 크기 파악
  • 수익 모델(광고, 구독, 일회성 구매, Freemium 등)
  • 경쟁 서비스 조사 및 차별점 도출
  • 최소 실행 가능한 비즈니스(MVB) 설계

3. UX 리서치 & 페르소나 정의

  • 이상적인 고객 페르소나 2~3명 설정
  • 고객 여정 맵(Customer Journey Map) 작성
  • 인터뷰/설문으로 사용자 요구 확인
  • 핵심 기능의 우선순위 도출

4. UI/UX 디자인

  • Figma, Sketch, XD 등 협업 디자인 도구 활용
  • 와이어프레임 → 하이파이 디자인 시안 제작
  • 사용자 피드백 반영하여 반복 개선
  • 단순성, 접근성, 사용성 고려

5. 프론트엔드 구현(v0, Cursor 활용)

  • v0: 신속한 시각적 프로토타이핑
  • Cursor: AI 기반 코드 작성 및 리팩토링
  • HTML/CSS/JS 또는 React/Vite 등 선택
  • 코드 협업: GitHub/GitLab 저장소 운영

6. 백엔드 & API 연동

  • Firebase, Supabase, AWS, Vercel 등 선택
  • 인증, 데이터 저장, 알림 기능 구현
  • 외부 API(OpenAI, Stripe 등) 연동
  • 간단한 서버리스 아키텍처 활용

7. 결제 및 수익화(Stripe 예시)

  • Stripe 계정 등록 및 테스트 결제 플로우 구현
  • 구독/일회성 결제 플랜 설정
  • 보안·법적 요건(개인정보, 환불 정책) 준수
  • 거래 데이터 기반 개선 포인트 분석

8. 배포 & 출시

  • 웹앱: Vercel, Netlify, GitHub Pages
  • 모바일앱: App Store, Google Play
  • 플러그인: Chrome Web Store, WordPress.org 등
  • 배포 후 초기 사용자 확보 전략

9. 홍보 & 마케팅

  • 자체 채널: 블로그, 유튜브, 뉴스레터
  • 외부 채널: Product Hunt, Reddit, 커뮤니티 게시판
  • SNS 광고 및 인플루언서 협업
  • 첫 사용자 후기 수집 및 반영

10. 고객 지원 & 피드백 루프

  • FAQ, 챗봇, 이메일 대응 체계 마련
  • 초기 고객 인터뷰 진행
  • 이슈 트래킹(Jira, Notion 등)으로 빠른 대응
  • 반복 개선 사이클(Feedback → Update → Test)

11. 유지 보수 & 성장 전략

  • 버그 수정, 보안 업데이트 주기적 관리
  • 기능 개선: 고객 요청 기반 우선순위
  • 로드맵 수립: 단기·중기·장기 계획
  • 확장 전략: 해외 진출, 다른 플랫폼 이식

12. 전체 여정 요약 & 체크리스트

  • 아이디어 → BM → UX → UI → 개발 → 결제 → 배포 → 홍보 → 지원 → 유지 보수
  • 각 단계별 체크리스트 항목 정리
  • “작게 시작하고, 빠르게 검증하며, 반복적으로 개선”
  • 최종 목표: 아이디어를 지속가능한 제품으로 성장

P2. 바이브코딩 4주차 워크북

주제: 앱서비스 아이디어 도출부터 제품화까지

앱 서비스 아이디어 도출 → UX/UI → 개발 → 배포 → 홍보·개선의 풀사이클 제품화 여정 체험 주간


4주 1일차: 아이디어 구체화 & 제품화 명세서 작성

목표: 시장 이해와 차별화된 아이디어 확보

워크북

  • 앱 마켓 리서치: App Store, Google Play, Product Hunt, IndieHackers
  • 최신 트렌드: AI 기반 앱, 웰빙·습관 관리, 크리에이터 툴, API 연결형 유틸리티
  • 상위 3대 아이템 후보 선정 (문제 정의 + 해결 가치 중심)
  • 제품화 명세서 작성
    • 카테고리: Productivity, Fintech, EdTech 등
    • 핵심 제안 가치 (UVP): “사용자에게 어떤 새로운 가치를 주는가?”
    • 타겟 유저: 초보 크리에이터, 중소기업 팀, 글로벌 1인 기업 등
    • 기술 스택: FE(React/Vite), BE(Supabase, Firebase), AI API(OpenAI, Perplexity)

체크리스트

  • 앱스토어·구글플레이 10개 인기 카테고리 리서치
  • Product Hunt 최신 Top 10 확인
  • 팀별 3대 아이템 선택
  • 아이디어 차별성 정리 (경쟁 대비)
  • 제품화 명세서 초안 작성

구름 우수성취 | ETF HOLIC: 스마트 ETF 비교 플랫폼
https://etf-holic-edfef752.base44.app/

구름 우수성취 | 출제자를 위하여: AI의 도움을 받아 더 나은 시험 문제 출제
https://chulje-research-lab-94c8a46c.base44.app/

https://chulje-research-lab-94c8a46c.base44.app/

구름 프로젝트 | HabitGrid: 좋은 습관을 강화하는 습관추적기
https://habit-grid-a6141f17.base44.app/

제니스 타이머 (by Base44)
https://zenith-focus-7d965d8b.base44.app


4주 2일차: UX 리서치 & UI 디자인

목표: 사용자 중심 설계와 초기 디자인 확보

워크북

  • UX 리서치: 경쟁 앱 벤치마킹 (Streaks, Notion, Sync2Sheets, HabitKit 등)
  • UX 설계:
    • 페르소나 2~3명 (학생, 직장인, 1인 창업자)
    • UX Flow: 가입 → 첫 사용 → 반복 사용 → 피드백
  • UI 디자인:
    • 와이어프레임 (Figma/Whimsical)
    • 주요 스크린 디자인 (홈, 설정, 결제, 리포트 등)
  • 최신 트렌드: 미니멀리즘, 다크모드, 모션 UI, iOS/Android 네이티브 감성

체크리스트

  • 경쟁 앱 UX 비교표 작성
  • 페르소나 & 사용자 시나리오 정의
  • UX Flow 다이어그램 작성
  • Figma 와이어프레임 제작
  • 핵심 스크린 3~5개 디자인 완성

Figma Site | Jun & Blue Studio
https://www.figma.com/site/3woMQoqCTlyP8bbOQIZZGD/Jun—Blue-Studio?node-id=0-1&t=kRsGgl9kvB4TxSWi-1

https://www.figma.com/site/3woMQoqCTlyP8bbOQIZZGD/Jun—Blue-Studio?node-id=0-1&t=kRsGgl9kvB4TxSWi-1

Figma | One UI Design Kit
https://www.figma.com/design/IJMOTT16vMOqpfB79Arw2L/One-UI-Design-Kit–Community-?node-id=744-3363&t=0fz1EzeQTE0JNxP3-1

https://www.figma.com/design/IJMOTT16vMOqpfB79Arw2L/One-UI-Design-Kit–Community-?node-id=744-3363&t=0fz1EzeQTE0JNxP3-1

Framer | Jun & Alter Studio
https://framer.com/projects/Alter-copy–vBQKUd5Shuzll9rCx7g9-4WsT1

https://framer.com/projects/Alter-copy–vBQKUd5Shuzll9rCx7g9-4WsT1

4주 3일차: 개발 아키텍처 설계 & 구현

목표: 기능 중심 아키텍처 설계와 프로토타입 구현

워크북

  • 도구 선정: Cursor(AI 코딩), Copilot(자동완성), v0(시각적 프론트엔드), Base44(API 활용)
  • 아키텍처 설계:
    • 정보 구조도(IA)
    • 데이터 흐름(유저 → DB → 대시보드)
  • FE 개발: React/Vite, Next.js, Flutter 등 선택
  • BE 개발: Supabase/Firebase/Node.js 기반
  • 모듈 추가: Auth(로그인), Pay(Stripe, Toss), Notification(Firebase FCM)
  • 개발자 문서화: Notion + GitHub Wiki

체크리스트

  • 프론트엔드/백엔드 기술스택 확정
  • 정보구조도 & 데이터 플로우 작성
  • Auth 모듈 구현 (OAuth/Email Login)
  • Pay 모듈 구현 (Stripe/Toss 테스트 결제)
  • 개발자 문서화 첫 버전 작성
웹페이지의 전형적인 사이트맵 구조 / https://mobisoftinfotech.com/resources/blog/mobile-information-architecture
모바일앱의 네비게이션 흐름을 반영한 구조
사용자 접속, 정보 흐름, 기술요소를 모두 반영한 모바일 앱 시스템 구조 (아키텍처)

4주 4일차: 배포 & 플랫폼 확장

목표: 실제 사용자 접근 가능하도록 배포

워크북

  • 웹 배포: Vercel/Netlify/GitHub Pages
  • iOS 배포: Xcode + TestFlight → App Store Connect
  • Android 배포: Play Console → 내부 테스트 → 프로덕션 릴리즈
  • 확장 채널:
    • 플러그인(WordPress, Chrome Extension)
    • 테마/템플릿(Notion, Figma, Airtable)
  • 대규모 플랫폼 탐색: Product Hunt(1M+ 유저), Notion Integrations Gallery, Slack/Discord Marketplace

체크리스트

  • 웹앱 Vercel 배포 완료
  • iOS TestFlight 빌드 제출
  • Android 내부 테스트 빌드 업로드
  • Product Hunt/Notion Gallery 배포 준비
  • 크로스 플랫폼 확장 가능성 검토

4주 5일차: 홍보, 피드백 & 개선

목표: 사용자 유입 및 개선 사이클 실행

워크북

  • 홍보 채널:
    • 자체 채널 (YouTube Shorts, 블로그, 뉴스레터)
    • 외부 채널 (Product Hunt, IndieHackers, Reddit)
  • 콘텐츠 제작: 튜토리얼 영상, 블로그 글, 인포그래픽
  • 무료 홍보: SNS, 커뮤니티, 리뷰 요청
  • 유료 홍보: Google Ads, Meta Ads, TikTok Ads
  • 성과 측정: Google Analytics, Amplitude, Firebase Analytics
  • 개선 사이클: 피드백 → 업데이트 → 재배포

체크리스트

  • 자체 홍보 채널 콘텐츠 1개 이상 배포
  • 외부 홍보 채널 등록(Product Hunt/Reddit 등)
  • 첫 사용자 피드백 수집
  • 성과 지표(GA, Firebase) 설치
  • 개선 사항 정리 & 다음 Sprint 계획

참고자료

iOS and iPadOS 26 Kit
https://www.figma.com/community/file/1527721578857867021/ios-and-ipados-26

Material 2 Design Kit
https://www.figma.com/community/file/778763161265841481/material-2-design-kit

One UI Design Kit
https://www.figma.com/community/file/1456035621603784201/one-ui-design-kit


사례분석: Sync2Sheets 제품화 여정

https://sync2sheets.com/

1. 아이디어 발굴 & 구체화

  • Notion은 데이터 관리에 뛰어나지만, 수식·차트·자동화 기능이 부족
  • Google Sheets는 강력한 데이터 분석·시각화 도구지만 협업/문서화에 약점
  • “Notion + Sheets = 최적의 워크플로우”라는 문제 정의
  • 핵심 가치: Notion에 Google Sheets의 슈퍼파워 부여

2.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

  • 목표 고객: Notion을 쓰면서 고급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개인/팀
  • 주요 활용 사례: 백업, 실시간 대시보드, 지표 시각화, 페이지 자동 생성
  • 수익 모델: 구독 기반 (Free Trial 7일 → 유료 전환)
  • 경쟁 우위: 공식 Notion Integration, 실시간 동기화 지원

3. UX 리서치 & 페르소나 정의

  • 페르소나 1: 스타트업 데이터 매니저 (Sheets로 분석, Notion으로 팀 공유)
  • 페르소나 2: 프리랜서/개발자 (투자 포트폴리오, 업무 기록 자동화)
  • 페르소나 3: 글로벌 팀 매니저 (다양한 협업 툴 연결)
  • 고객 인터뷰/리뷰: “수작업 내보내기-불러오기 문제 해결”, “워크플로우 단순화”

4. UI/UX 디자인

  • 간결한 웹페이지: “Give Notion the superpowers of Google Sheets” 한 줄 메시지
  • 주요 기능별 설명(업데이트, 페이지 생성, 대시보드, 차트, 백업 등)
  • 신뢰 확보: Wix, UPS, Canva, L’Oréal 등 브랜드 로고 배치
  • 사용성 최적화: 7일 무료 체험 → 바로 실행 버튼

5. 프론트엔드 구현 (v0, Cursor 활용 가능)

  • 웹사이트와 애드온 인터페이스 단순화
  • 사용자 친화적인 온보딩 프로세스 (Notion API 인증 → Google Sheets 연결)
  • v0 같은 툴로 초기 프로토타입 → 빠른 기능 검증
  • Cursor로 코드 리팩토링 및 빠른 버전 업데이트

6. 백엔드 & API 연동

  • Notion API + Google Sheets API 기반 양방향 연동
  • 실시간 데이터 싱크 처리 (새로운 행, 삭제된 행 자동 반영)
  • 안정성: 링크, 포맷, 관계 유지
  • 서버리스 아키텍처로 운영 비용 최소화

7. 결제 및 수익화 (Stripe 활용)

  • Stripe 기반 구독 결제 모델
  • 무료 체험 → 프리미엄 플랜 전환 유도
  • 가격 정책: 개인/팀/기업 맞춤형 플랜
  • 부가가치: 실시간 백업 + 고급 기능 제공

8. 배포 & 출시

  • 공식 웹사이트(sync2sheets.com) 공개
  • Notion Integrations Gallery에 등록
  • Google Workspace Marketplace Add-on 제공
  • Product Hunt, Notion 커뮤니티 등에서 홍보

9. 홍보 & 마케팅

  • 고객 리뷰/추천어로 신뢰 구축 (WeTransfer, Canva, L’Oréal 등 글로벌 기업 사례)
  • 블로그 운영: “Notion vs Google Sheets”, “Send emails from Sheets” 등 튜토리얼 콘텐츠
  • 커뮤니티 입소문: Reddit, Twitter, Notion 사용자 그룹
  • USP 강조: “Notion loves Google Sheets”

10. 고객 지원 & 피드백 루프

  • 웹사이트에 FAQ & Need Help? 섹션 운영
  • 창업자(Leandro)의 직접적이고 빠른 고객 지원 → “개발자와 바로 소통” 장점
  • 고객 피드백: “완전 게임 체인저”, “지원이 매우 빠르고 친절”
  • 지속적인 기능 개선 (예: 차트 임베드, 새 키워드 기반 페이지 생성)

11. 유지 보수 & 성장 전략

  • 정기적 버그 수정 및 동기화 안정화 업데이트
  • 신규 기능 롤아웃 (예: 실시간 차트 임베드, 고급 필터링)
  • 가격 정책 최적화 및 기업 고객 확대
  • 글로벌 사용자 기반 확장 (164k+ 사용자 확보)

12. 전체 여정 요약

  • 아이디어: Notion의 한계 보완 + Sheets의 장점 연결
  • 제품화: 공식 Notion Integration, Add-on 개발, 웹서비스 출시
  • 고객 확보: 글로벌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16만+ 유저 신뢰
  • 성장 전략: 실시간 동기화·백업·차트 기능 강화, 고객 피드백 기반 개선
  • 결론: 솔로프리너가 만든 툴이 전세계 Notion 파워유저들의 필수 툴로 자리매김

사례분석: HabitKit 제품화 여정

https://apps.apple.com/us/app/habit-tracker-habitkit/id6443918070

1. 아이디어 발굴 & 구체화

  • 문제 정의: 좋은 습관을 만들고 유지하기 어렵다
  • 기존 습관 관리 앱은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동기부여 요소 부족
  • 단순하면서도 시각적 성취감을 주는 앱이 필요
  • 핵심 가치: “습관을 게임처럼, 시각적으로 성장시키기”

2.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

  • 목표 고객: 자기계발에 관심 있는 개인, 학생, 직장인
  • 수익 모델: Freemium → 앱 내 결제(프리미엄 기능)
  • 주요 경쟁 앱: Habitica, Streaks, Loop 등
  • 차별화 포인트: 미니멀리즘 디자인 + 성취감 중심 UI

3. UX 리서치 & 페르소나 정의

  • 페르소나 1: 매일 공부 습관을 만들고 싶은 대학생
  • 페르소나 2: 운동 루틴을 꾸준히 지키고 싶은 직장인
  • 페르소나 3: 자기계발, 독서를 습관화하려는 프리랜서
  • 유저 피드백 반영: “사용법이 단순해서 꾸준히 쓸 수 있다”

4. UI/UX 디자인

  • 디자인 원칙: 심플, 직관적, 시각적 보상
  • 캘린더 기반 체크 → 완료 시 아이콘·색상 변화
  • 성취감 제공: 진행률 시각화, 일간·주간 리포트
  • iOS 네이티브 감성 살린 디자인 (애플 앱스토어 피처드)

5. 프론트엔드 구현 (v0, Cursor 활용 가능)

  • Swift 기반 iOS 앱 개발
  • 초기 MVP: 습관 등록 + 체크 UI
  • 반복 테스트: 팀 내부 & 소규모 베타 유저
  • UI 개선 → 미니멀리즘 유지하면서 시각적 보상 강화

6. 백엔드 & 데이터 관리

  • Core Data / iCloud Sync 활용 (로컬+클라우드 동기화)
  • 데이터 백업 및 기기 간 연동 지원
  • 푸시 알림으로 습관 리마인더 제공
  • 개인정보 최소 수집 → 개인정보 보호 강화

7. 결제 및 수익화

  • Freemium 모델: 기본 기능 무료 제공
  • 앱 내 결제: 다중 습관 관리, 위젯, 상세 리포트, 색상 커스터마이즈
  • 구독 모델: 월간/연간 플랜
  • Apple App Store 인앱 결제 시스템 적용

8. 배포 & 출시

  • iOS App Store 정식 출시 (2022년 말)
  • 소규모 독일 개발팀 제작 → 글로벌 사용자 확보
  • 애플 앱스토어 추천(Featured) 선정 → 다운로드 급상승
  • 사용자 리뷰 기반 개선 주기적 업데이트

9. 홍보 & 마케팅

  • 앱스토어 최적화(ASO) → 키워드: habit, tracker, productivity
  • 앱스토어 리뷰 마케팅: “★★★★★ 4.9점 이상 유지”
  • SNS·Reddit 자기계발 커뮤니티에서 입소문
  • 글로벌 확산: 영어 중심 → 다국어 지원 준비

10. 고객 지원 & 피드백 루프

  • 앱 내 “피드백 보내기” 기능 제공
  • 사용자 리뷰 모니터링 → 빠른 업데이트
  • 긍정 리뷰: “가장 심플하면서 강력한 습관앱”
  • 개선 요청 반영: 알림 최적화, 다크 모드 지원

11. 유지 보수 & 성장 전략

  • 정기 업데이트로 UI/UX 개선
  • 신규 기능 도입: 홈 화면 위젯, 다중 목표 리포트
  • 글로벌 시장 확대(다국어 지원)
  • 장기적으로 Android 버전 확장 고려

12. 전체 여정 요약

  • 아이디어: 습관 만들기를 시각적·심플하게 풀어낸다
  • 제품화: 독일 소규모 팀 → Swift 기반 iOS 앱 개발
  • 고객 확보: 앱스토어 피처드, 수만 건 다운로드, 평점 4.9+
  • 수익화: Freemium + 인앱 결제 모델 정착
  • 성장: 글로벌 확장, 지속적 업데이트, 충성 유저 기반 확보

📊 HabitKit 마케팅 믹스 (4P)

1. Product (제품)

  • 핵심 기능: 습관 생성 및 추적, 타일 기반 시각화 대시보드
  • 차별화 포인트: 직관적·미니멀 UI, 시각적 성취감(컬러 타일 누적) 제공
  • 부가 기능: 위젯, Siri Shortcuts 연동, 색상/아이콘 커스터마이즈
  • 확장 가능성: iCloud 동기화 강화, MacOS/Android 버전 출시, 팀 단위 협업 습관 관리

2. Price (가격)

  • 기본 모델: Freemium (기본 기능 무료 제공)
  • 프리미엄 플랜: 인앱 결제(예: $2.99/월 또는 $19.99/연)
    • 다중 습관 관리, 고급 리포트, 맞춤 대시보드, 추가 위젯
  • 가격 전략: 경쟁 앱 대비 합리적·저가 전략 유지 (Streaks, Habitica 등 대비 접근성↑)
  • 추가 전략: 학생 할인, 한시적 무료 체험(7일/14일) 제공

3. Place (유통/채널)

  • 주요 플랫폼: iOS App Store (글로벌 사용자 대상)
  • 확장 채널:
    • MacOS App Store / Android Play Store (향후 확장)
    • 앱 추천 플랫폼(Product Hunt, IndieHackers, Reddit Productivity 커뮤니티)
    • 헬스/웰빙 플랫폼(Apple Health, Fitbit 등) 제휴 가능성
  • 직접 채널: HabitKit 웹사이트, 뉴스레터

4. Promotion (프로모션)

  • 브랜드 메시지: “작은 습관이 큰 변화를 만든다”
  • 디지털 마케팅:
    • 앱스토어 최적화(ASO): “habit tracker”, “productivity”, “self improvement” 키워드 강화
    • YouTube Shorts/TikTok → 습관 관리 팁 + 앱 활용 사례 콘텐츠
    • 블로그 운영 → 자기계발·습관 관리 관련 키워드 공략 (SEO + LLM SEO)
  • 커뮤니티 마케팅: Reddit, Notion 커뮤니티, 생산성 툴 커뮤니티에서 입소문 확산
  • 리뷰/평판 활용: 앱스토어 ★★★★★ 리뷰 기반 홍보 (평점 4.9 이상 강조)
  • 협업: 자기계발 인플루언서, 웰빙 크리에이터와 제휴

이 포스트는 바이브코딩 교육생 특화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첫 포스팅: 25.09.22 / 포스트 문의: JUN (naebon@naver.com)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