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1.13 / JUN
이번 강의 개요
- KOITA 회원사를 위한 GPT와 NotebookLM 활용 입문 강의, 경영지원·기획·보고서 자동화를 실습으로 배우는 6시간 과정
- 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NotebookLM 실습을 통해 기업 문서 자동화 및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AI 입문 교육
- 2025 AX 트렌드 분석부터 글로벌 기업 사례까지, 안전하고 효율적인 생성형 AI 활용법을 배우는 경영지원 특화 과정
- 일시: 25.09.16 화 10:00~17:00 (6H)
- 장소: 대구스케일업허브 DASH (동대구로)
- 일시: 25.11.13 목 10:00~17:00 (6H)
- 장소: 부산디자인진흥원 (해운대 센텀)
이 과정은 KOITA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회원사 임직원을 위한 AI 실무 입문 교육으로, GPT와 NotebookLM을 중심으로 최신 생성형 AI(GenAI) 도구의 업무 자동화 및 경영지원 활용법을 다룹니다.
참여자는 AX(산업전환) 트렌드, LLM(대규모언어모델) 원리,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 기업 문서 자동화 사례를 학습하고, 실습형 워크북을 통해 기획서, 보고서, KPI 리포트, 홍보자료 작성 등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AI 활용 역량을 습득하게 됩니다.
또한 AI 활용 시 필요한 윤리적·법적 주의사항과 보안 가이드라인도 함께 학습하여, 기업의 안전한 AI 도입을 지원합니다.
1. 수강고객 디지털 교재 다운로드 (PDF / 90p / 44MB / 열람암호필요)
지금은 다운로드 기간이 아닙니다. (11월 부산 수강고객은 naebon@naver.com으로 교재 요청 메일 주세요.)
2. AX 인사이트: 생성형 AI 실무활용 워크북
https://docs.google.com/document/d/1lrSmAwa1OYOzJFFfT9BBtndMRDXbyi_lldFGM2dOnyA/edit?usp=sharing
3. KOTRA 글로벌 공급망 빅데이터
https://www.kotra.or.kr/bigdata/marketAnalysis
참고자료
이미지 예시: 복잡한 이미지 정보 기반의 정리 및 추론
아래 이미지를 LLM에게 전달하고 정리와 요약, 추론과 예측을 요청해보세요.

Kaggle | Mercedes-Benz Greener Manufacturing
GPT, Gemini, Claude를 이용해서 머신러닝의 5대 특성치를 파악해보세요.
https://www.kaggle.com/competitions/mercedes-benz-greener-manufacturing
UCI | Condition Based Maintenance of Naval Propulsion Plants
GPT, Gemini, Claude를 이용해서 설비유지보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를 파악해보세요.
https://archive.ics.uci.edu/dataset/316/condition+based+maintenance+of+naval+propulsion+plants
지식 기반 예시 | 2025 정부 R&D 예산 편성 분석 (PDF 10편)
아래 링크에 있는 10여편의 정부 예산 편성 보고서를 GPTs, NotebookLM에 업로드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해보세요.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RdhNZ6Joe5g88EONcoySaBw7so92rzlJ?usp=sharing
산출물 | 자동원심분리기 시장 및 기술 분석 (AutoCentrifuge Market & Tech Insights GPTs)
https://chatgpt.com/g/g-69156b888b308191be8c6a043469b002-autocentrifuge-market-tech-insights-gpts
산출물 | 글로벌 기업들의 업무 도구로서 AI 도입 사례 분석: 쉐브론, AES, 모더나
https://notebooklm.google.com/notebook/901fe8fd-de28-47aa-bf63-fc1e3e89ac46
산출물 | PBS 폐지에 따른 탄소산업진흥원 연구 및 예산관리 대응전략 보고서
https://www.notion.so/PBS-25b915d11a8b80d1a826e357e5db5d1a?source=copy_link









이번 강의 키워드
- GPT와 NotebookLM을 활용한 경영지원 자동화
- KOITA 회원사를 위한 AI 실무 과정
- 기업 임직원을 위한 GPT 입문 교육
- 생성형 AI로 효율적인 업무 문서 작성
- AI 기반 경영지원 혁신 사례
1. 강의 개요
- 목적: 기업 임직원이 AI 입문 단계에서 GPT, NotebookLM 같은 최신 GenAI 도구를 활용해 기획·보고·분석·자료정리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AX(산업전환) 트렌드 속에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 특징:
- 최신 글로벌 AI 활용사례와 한국 기업 적용사례를 동시에 소개
- “실습 위주” 접근: 단순 이론 → 즉시 업무적용 가능
- NotebookLM을 통한 보고서·분석 문서 자동화 체험
- AI 활용 시 주의해야 할 윤리·보안·법적 이슈 강조
2. 수강 대상
- KOITA 회원사 경영지원·기획·연구개발·홍보·인사 부서 실무자
- AI 기초 지식이 부족하지만 업무 효율 향상을 원하는 임직원
- 보고서, 발표자료, 홍보콘텐츠 등 문서 기반 업무가 많은 담당자
- 최신 AI 동향을 빠르게 학습하고 업무 적용 인사이트를 얻고 싶은 관리자
3. 커리큘럼 (총 8시간)
🔹 1부: 트렌드 & 기본 이해 (2H)
- 2025 상반기 AX 트렌드 분석
- 산업별 AI 도입 현황 (제조, 금융, 에너지, 의료, 유통 등)
- 글로벌 기업 활용 사례: 모더나, 벤츠, 쉐브론, AES, 삼성전자
- AI가 바꾸는 경영지원 업무 (보고/계획/협업 방식 변화)
- 현대 4대 AI 기법 이해
- 머신러닝(ML)·딥러닝(DL)·강화학습(RL)·생성형AI(GenAI)
- ChatGPT와 같은 LLM의 기본 작동 원리 (토큰·파라미터·학습데이터)
🔹 2부: 업무도구로서의 활용 (3H)
- GPT 실무 활용: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기획서·보고서 초안 생성
- 경영지원용 데이터 정리 (회의록, 이메일, 계약 요약)
- “잘 쓰는 프롬프트 vs 못 쓰는 프롬프트” 비교
- NotebookLM 실습
- 내 자료(보고서, 매뉴얼, 연구성과)를 업로드 → Q&A, 요약, 보고서화
- 협업용 문서 자동화: 팀별 문서 → 대시보드형 분석
- [실습] 실제 회사 보고서를 NotebookLM에 적용해보기
🔹 3부: AI 활용 주의점 & 윤리 (1H)
- AI 기술 활용 시 주의사항
- AI 오남용 사례: 허위 정보 생성, 표절, 개인정보 유출
- AI 범죄 동향과 대응 방안
- 기업 차원에서의 AI 보안 가이드라인
🔹 4부: 종합 실습 & 정리 (2H)
- 실무 프로젝트형 워크숍
- 팀별 미니 프로젝트 수행: “우리 회사 업무를 AI로 바꿔보기”
- 예: 출장비 정산 보고서 자동화, 월간 KPI 리포트 초안, 신규 제품 홍보자료
- 발표 & 피드백
- 팀별 미니 프로젝트 수행: “우리 회사 업무를 AI로 바꿔보기”
- Wrap-up & Q/A
- 당장 적용할 수 있는 GPT + NotebookLM 활용법 체크리스트
- 추가 학습 리소스 안내 (무료/유료 도구, 온라인 자료)
4. 실무 워크북 초안
📒 워크북 구성 (참여형)
- Part 1. 프롬프트 실습
- 예제: “OO 기업의 신사업 제안 보고서 목차 작성해줘”
- 변형 실습: “보고서 목차를 CEO 보고용 / 팀장 보고용으로 각각 수정”
- Part 2. NotebookLM 실습
- 자료 업로드: 최근 회사 내부 문서(홍보자료, 보고서 발췌본)
- 실습:
- [질문 예시] “이 문서에서 핵심 KPI만 요약해줘”
- [질문 예시] “이 자료 기반으로 3분 발표용 스크립트 작성해줘”
- Part 3. 미니 프로젝트
- 팀별로 자사 업무문서를 활용해 자동화 사례 만들기
- 결과물: AI 기반 문서 → 발표자료 슬라이드 초안 → 공유
- Part 4. 체크리스트
- ✅ 오늘 배운 GPT/NotebookLM 실무 적용 포인트
- ✅ 우리 회사에 바로 적용 가능한 업무 Top 3
- ✅ 보안/윤리 체크 항목
Tag
#GPT #NotebookLM #GenAI #경영지원AI #업무자동화 #프롬프트엔지니어링
#KOITA #AI입문교육 #LLM #산업전환AX #AI윤리 #보고서자동화
#기업혁신 #AI실무활용 #AI트렌드2025
첫 포스팅: 25.08.28 / 포스트 문의: JUN (naebon@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