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AI 트랜드리더’ 과정에 포함된 모듈입니다.
이번 인포그래픽 보고서의 핵심 내용
- 연구 규모: 대학생 이메일 계정으로 연결된 100만 개의 익명화된 Claude 대화에서 학업 관련 574,740개 대화를 분석한 대규모 실제 AI 사용 패턴 연구
- 학문 분야별 사용 분포: 컴퓨터 과학 전공자가 가장 높은 비율(학위 비중 5.4%에 비해 36.8%의 대화)로 Claude를 사용하며, STEM 분야가 전반적으로 높은 채택률을 보이는 반면, 경영학, 보건, 인문학 분야는 상대적으로 낮은 채택률 보임
- 학생-AI 상호작용 패턴: 네 가지 상호작용 패턴이 비슷한 비율(각 23-29%)로 나타남 – 직접적 문제 해결, 직접적 결과물 생성, 협력적 문제 해결, 협력적 결과물 생성
- 주요 사용 목적: 학생들은 주로 교육 콘텐츠 생성 및 개선(39.3%), 기술적 설명 및 솔루션 제공(33.5%),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11%)에 AI를 활용


















- Bloom의 분류체계 기준 인지 작업: AI는 주로 높은 수준의 인지 기능(창조 39.8%, 분석 30.2%)을 수행하고 있어, 학생들이 기초 인지 능력 발달 저해 우려 발생
- 부정행위 가능성: 약 47%의 대화가 최소한의 상호작용으로 답변이나 콘텐츠를 구하는 ‘직접적’ 대화였으며, 일부는 시험 답안 제공, 표절 방지 회피 등 학문적 진실성 문제 제기
- 학문 분야별 차이: 자연과학/수학은 문제 해결 중심, 컴퓨터과학/공학/자연과학은 협력적 대화 선호, 교육학은 결과물 생성(74.4%)이 압도적으로 많음
- 연구의 한계: 초기 채택자 중심 데이터, 타 AI 도구 사용 미포함, 분류 오류 가능성, 18일 기간 분석, 학습 성과와의 연관성 미흡, 기관별 AI 정책 차이 등 한계 존재
PDF 다운로드
100만건의 채팅으로 알아본 대학생들의 Claude 사용 현황 인포그래픽 (19p)
https://drive.google.com/file/d/1PChCbtKDAaKe2cQjyKt62aqqnvwDPoDL/view?usp=sharing
영상 콘텐츠
‘생성형AI 트랜드리더’ 과정
과정개요
- ‘생성형AI 트랜드리더’ 과정은 급변하는 생성형 AI 기술과 시장 동향을 집중 탐구하는 8시간 교육입니다.
- ChatGPT, DALL-E 등 주요 모델부터 최신 오픈소스 도구까지 살펴보고, 산업별 적용 사례를 분석합니다.
- 참가자들은 실습을 통해 AI 도구를 직접 활용하며 자사 비즈니스에 적용할 전략을 수립합니다.
수강대상
- 본 과정은 생성형 AI를 통해 조직의 혁신과 성장을 이끌고자 하는 기업의 경영진, 중간관리자, 혁신 담당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인 기업의 의사결정자, 마케팅/기획/R&D 부서 리더, 스타트업 창업자, AI 도입을 검토 중인 공공기관 관계자에게 적합합니다.
- IT 전문 지식 없이도 수강 가능하며, 생성형 AI를 활용해 실질적인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모든 분야의 전문가를 위한 과정입니다.
수강 방법: 온드맨드 강의
이번 과정은 수강생 요청에 따라 개강시기와 장소, 방법이 결정되는 온디맨드 강의입니다. 아래와 같은 네 가지 방식으로 강의가 진행됩니다.
- 오프라인 집합고객 (전문교육기관 강의실)
- 오프라인 사내교육 (기업지정장소 세미나실)
- 온라인 비대면교육 (ZOOM, 팀즈 등)
- 온오프라인 통합교육 (세미나실 + ZOOM)
수강을 희망하시는 분 또는 기업/기관의 교육기획자께서는 원하시는 강의 방식과 수강예정인원을 정하시어 아래의 방식으로 문의해 주세요.
- 문자메시지 (30분내 간단하게 회신) 010-4801-4118
- 이메일 (2시간내 상세하게 회신) naebon@naver.com
- 카카오톡 (30분내 회신) 카카오톡에서 ‘동준상’ 또는 ‘jun4118’ 검색

재직자의 업무역량 향상을 위한 또 다른 과정
- 챗GPT와 엑셀로 하는 해외시장조사 및 분석 (유럽/중동/남미)
- 챗GPT와 엑셀로 하는 수요예측 및 소비자행동예측
- 챗GPT와 파워포인트로 하는 발표자료/홍보자료 업그레이드
- 챗GPT와 Canva로 하는 홍보문구 작성 & 홍보시안 디자인
- 2025 AI기반의 산업전환 트랜드 분석 (AX 시리즈)
- 생성형AI 시대에서 ‘나’의 성공적인 경력관리 전략 (개인관점)
- 생성형AI 시대에서 ‘우리 회사’의 성공적인 변화관리 전략 (조직관점)
콘텐츠 제작자를 위한 생성형AI 실무활용 과정
- 챗GPT와 워드로 하는 웹소설 스토리창작
- 챗GPT와 Mapify로 하는 영화/드라마 각본작성
- 챗GPT와 미드저니로 하는 그래픽노블 스토리시각화
- 챗GPT와 미드저니로 하는 웹툰 스토리보드 작성
- 챗GPT와 미드저니, 런웨이로 하는 영상콘텐츠 제작
- 2025 AI기반의 미디어 산업전환 트랜드 분석 (AX 시리즈)
- 생성형AI 시대에서 창작자의 콘텐츠 제작 전략 (개인관점)
- 생성형AI 시대에서 창작자의 애청자(팬) 관계 전략 (커뮤니티관점)
끝 / 감사합니다. / 동준상.넥스트플랫폼 /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