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개요
- 일시: 2021.7.21
- 장소: 서울대학교 대학행정교육원 (또는 ZOOM)
- 강연기획: KPC 한국생산성본부 박혜경 위원 (hkypark@kpc.or.kr)
- 강연진행: NXP 넥스트플랫폼 동준상 대표 (naebon1@gmail.com)
강의 목표
- 오프라인 업무 환경의 온라인 전환 지원
- 업무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과정 이해
- 개발팀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 제공
강의 목차
- 온라인 서비스 개발 프로세스 개요
- 온라인 서비스의 소프트웨어적인 특성
-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의 정립
-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문서화
- 소프트웨어 테스트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구글 애자일 SPRINT
시시각각 변화하는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하고, 표준 기술과 혁신 기술이 혼재된 IT 환경에서 웹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젝트를 무사히 마치는 일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개발을 맡은 누군가는, 예를 들어 PM 또는 PL은 ‘어떻게든’ 프로젝트를 잘 마쳐야 합니다.





이번 과정은 서울대학교 대학행정교육원 주관으로 진행되며, 웹서비스의 또 다른 이름인 온라인 서비스 개발 프로젝트의 성공 수행 전략에 대해 알아봅니다.
현대 웹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젝트 수행이 뭐 그리 어려운 일이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네이버도, 카카오도, 구글한테도 여전히 어려운 일이 개발입니다. 운영과 개발이 분리된 전형적인 대기업에서 요구사항과 일치하는 개발 성과를 얻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입니다.
이번 과정은 프로젝트 수행이 어려운 이유를 지난 50년간 발전해온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개발 모델, 방법론, 정책과 문서화, 테스트를 매우 매우 간단하게 네 시간만에 정리해 드리는 ‘간략하면서도 우아한’ 개발의 이해 과정입니다.
- 강연 참가 문의: KPC 한국생산성본부 박혜경 위원 (hkypark@kpc.or.kr)
- 강연 관련 문의: NXP 넥스트플랫폼 동준상 대표 (naebon1@gmail.com)
참고자료
Great Code Vol.3 개발자는 어떻게 소프트웨어를 완성하는가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aver?bid=20771117